[K-series "I Like K"] K-Scissors
해외문화홍보원이 친근한 한국문화 소개를 위해 2015년 제작한 온라인용 영상입니다. 친근하게 만나는 한국의 문화 두 번째는 가위편입니다.한국에선 주방의 조리용품으로 가위를 사용합니다.삼겹살, 냉면, 김치를 썰 때 여러분도 낯설지만 도전해보시겠어요? 2016.01.11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전체 148건
페이지 15 / 15쪽
[K-series "I Like K"] K-Scissors
해외문화홍보원이 친근한 한국문화 소개를 위해 2015년 제작한 온라인용 영상입니다. 친근하게 만나는 한국의 문화 두 번째는 가위편입니다.한국에선 주방의 조리용품으로 가위를 사용합니다.삼겹살, 냉면, 김치를 썰 때 여러분도 낯설지만 도전해보시겠어요? 2016.01.11[K-series "I Like K"] K-Subway
해외문화홍보원이 친근한 한국문화 소개를 위해 2015년 제작한 온라인용 영상입니다. K-POP으로 만났던 한국의 문화를 좀 더 친근하게 보여드립니다.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한국의 모습입니다. 물론 달리는 지하철안에서도요.K-시리즈는 계속됩니다. 2016.01.11세계인에게 들어봅니다. '나에게 대한민국이란?
대한민국 국가브랜드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미국 주요 인사들의 ;한국다움;에 관한 인터뷰 내용을 담은 릴레이 영상입니다.인터뷰 내용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매기 시스킨드(Maggie Siskind) / 파슨스 대학 재학/Fascinating/ 한국인들은 뭐든 정확한 것을 추구한다는 느낌을 친구들을 통해 받았다. 정말 멋진 것 같다.마조리 실바(Marjorie Silva) / 한식요리경연대회 우승자/Welcoming/ 문화적으로 앞서 나가는 나라라고 생각한다.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것에도 언제나 열려있다는 인상을 받았다.카이샤 존슨(Kaisha Johnson) / 비영리단체 컬처럴센터의 디렉터/Respect/ 스스로의 역사와 문화를 존중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모든 일에 완벽을 추구한다.제프 벤자민(Jeff Benjamin) / 빌보드 케이팝 칼럼리스트/Boundless/ 케이팝은 음악장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문화이다.신 진(Jean Shin) / 설치미술작가/Passion/ 한국정통 미술작품, 공예를 보면 완벽함을 추구할 정도로 끝까지 매달리는?열정이 있다. 모든 분야에 해당되는 민족적 특성이라 생각한다.찰스 암스트롱(Charles Armstrong) / 컬럼비아대학교 한국역사 교수/Dynamic/ 문화적인 역동성을 품고 있는 나라. 늘 변화를 추구하며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고 접목하는 것에도 능숙하다.루시 앤 마일즈(Ruthie Ann Miles) /브로드웨이 뮤지컬 배우/Heritage/ 가족을 중시하는 문화가 특히 많은 정신적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정통적으로 이어져 내려오는 소중한 유산이라 알고 있다.서 희(Hee Seo) / 아메리칸 발레 씨어터 수석 발레리나/Art/ 뭐든?굉장히 뛰어나거나 좋은 것을 표현할 때 '예술이다'라는 표현을 쓰듯 대한민국은 나에게 예술이다. 나의 고국이자 늘 가슴벅찬 존재다. 아직까지 애국가만 들어도 눈물이 난다. 내 자리에서 나의 분야의 일을 열심히 하는 것이 애국심이라 생각한다.에린 조(Erin Cho) / 파슨스 교수/Subtlety/ 다양한 문화적 시도뿐만이 아니라 굉장한 섬세함을 추구하는 장점이 있다. 이제 그것에 격을 높이는 노력을 더 한다면 좋겠다.변 경희(Kyunghee Pyun) / FIT 동양미술학 교수/Dynamic/ 동양의 미술, 그중에서도 한국의 미술이 가지고 있는 월등함은 바로 역동성 있는 흐름이 느껴진다는 것이다. 우리 민족 고유의 역동성에서 기인한 것이고 그것이 바로 세계적인 경쟁력, 우리만이 가지고 있는 강점이라 생각한다.조슬린 클락(Jocelyn Clark) / 가야금 연주자, 배재대학교 교수/Leisure/ 다른 나라의 것을 쫒기보다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정통문화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여유를 가지고 우리의 것을 들여다보아야 한다. 여유가 없으면 문화가 살 수 없다.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Emanuel Pastreich) /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 저자, 경희대 교수/Continuity/ 문화적 지속성을 가지고 있는 나라. 역사적으로도 그렇고 대단히 중요한 요소라 생각한다. 2015.09.29[CF] 한국이 함께하는 가치를 창조합니다.
'Korea: it's worth sharing' 저작물은 2013년에 제작한 영상입니다.당신과 우정을 함께합니다.당신과 기회를 함께합니다.당신과 풍요로움을 함께합니다.당신과 순간을 함께합니다.당신과 행복을 함께합니다.당신과 즐거움을 함께합니다 한국이 함께하는 가치를 창조합니다. 2014.07.17한국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아리랑
문화체육관광부와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 함께 아리랑세계화사업의 일환으로 2014년에 제작한 영상입니다.[자막]조선시대[내레이션]아리랑을 처음 부른 사람은 알 수 없습니다. 아주 오래 전 어느 때 부터인가 한국의 산촌마을에서 입으로 전하던 노래. 긴 세월이 지난 후, 아리랑이 인류가 지켜야 할 문화적 가치를 갖게 될 것이란 사실을 아무도 알지 못했을 것입니다.[내레이션]한국 젊은이들은 아리랑을 다양한 방식으로 즐기고 있습니다. 아리랑은 같은 민족이라는 정체성을 드러내고 공유하는 일종의 문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내레이션]한국에서 아이들은 아리랑을 악보로 배우지 않습니다. 할아버지, 할머니, 부모가 부르는 아리랑를 듣고, 자연스럽게 그 리듬이 익숙해집니다.[내레이션]어려서부터 자연스럽게 형성된 아리랑의 독특한 정서는 한국인들의 창작원천이 되기도 합니다.[자막]미술, 영화, 문학, 공연[내레이션]한국에는 정말 다양한 아리랑이 존재합니다.[자막]노래 이춘희 명창 (무형문화재 제 57호 경기민요 인간문화재)[자막];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내레이션]하지만 기성세대에게 아리랑은 또 다른 의미가 있는 노래입니다.[자막]"밭 매다 힘들면 부르는 노래도 있고, 시집살이가 고되면 하는 노래도 있고;[자막]"첩첩이 쌓인, 가슴 안에 첩첩이 쌓인 설움 때문에 그래;[내레이션]가난했던 나라에서 팍팍한 삶을 살았던 이들에게 아리랑은 자신에게 스스로에게 불어주었던 위로의 노래였습니다.[자막];내가 슬플 때나 즐거울 때나 무조건 이 아리랑은 부르게 되요. 내 안에서 나도 모르게 자연스럽게 나와 버려요;[내레이션]누구나 한번쯤 겪고 넘어가는 사랑과 이별의 가슴앓이처럼 누구나 넘어야 할 인생의 고개가 있습니다. 그 인생길 굽이굽이 삶의 희노애락을 타고 넘을 때 불렀던 노래. 절망을 희망으로 이어가고자 불렀던 노래가 바로 아리랑입니다.[자막]일제 강점기 1910~1945[내레이션]제국주의시대 한반도는 일본의 식민 지배를 받았습니다.[자막]항일 독립투사[내레이션]일제의 혹독한 통치에 시름 했으며, 나라를 되찾기 위한 저항의 물결도 거세졌습니다.[자막]영화 [아리랑] 식민사회 삶의 어려움과 아픔을 형상화[내레이션]그 당시 나온 영화 <아리랑>은 뜨거운 공감을 불러 일으켰고, 그 후 아리랑은 저항의 상징이 되었으며, 단순한 노래가 아닌 정신이 되었습니다.[자막]1945년 광복[내레이션]식민통치에서 벗어난 한민족은 분단과 전쟁을 겪어야 했습니다.[자막]분단과 전쟁[내레이션]20세기 한민족은 가장 혹독한 시련을 겪은 민족 중 하나였습니다. 불과 60여년 전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가난했던 나라였습니다.[자막]세계에서 가장 가난했던 나라[내레이션]하지만,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습니다.[내레이션]농업국에서 공업국으로 원조 받는 나라에서 원조하는 나라로 그 희망을 향해 새벽부터 밤까지 달렸고, 마침내 해냈습니다.[내레이션]세계인들은 이것을 한강의 기적이라고 불렀습니다.[자막]한강의 기적[내레이션]한국인에게는 강하고 질긴 생명력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서로가 서로에게 불러 주며, 위로와 희망을 준 아리랑도 있었습니다. 아리랑의 생명력은 한국인의 그것과 닮아 있었습니다.[자막]2002 한일 월드컵[자막]2002 Korea-Japan World Cup[내레이션]2002년 한.일월드컵 승리를 열망하는 한국인의 함성은 아리랑이 되었습니다.[자막]69회 베니스영화제/감독상 김기덕 감독[내레이션]영화제에서 감독상을 받은 한국인 감독은 수상소감을 대신해 아리랑을 부릅니다.[자막]21회 벤쿠버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김연아[내레이션]세계 정상에 오른 한국인 피겨선수는 아리랑으로 조국에 대한 존경심을 표현합니다.[내레이션]아리랑은 이제 성취를 위한 열정과 기쁨을 표현하는 노래가 되었습니다.[내레이션]아리랑은 외국인의 감성을 울리기도 합니다.[자막]피아니스트 조지윈스턴;아리랑은 블루스적인 느낌도 가지고 있고, 문화나 국가를 초월한 감성이 깃들어 있는 곡이다;[자막]재즈싱어 잉거 마리;이 노래가 가진 정서가 내 가슴을 울려온다. 아리랑은 매우 감성적이고 호소력 짙은 세계적인 노래다;[자막]2012년 아리랑 유네스코 등재[내레이션]2012년 아리랑은 세계인류무형유산에 등재 되었습니다.[내레이션]한국인들은 지구촌 사람들에게 아리랑을 불러주려 합니다. 한국인에게 그랬듯이 아리랑은 지구촌 사람들에게도 위로와 희망이 되어줄 수 있을 것이라 믿습니다.[내레이션]평범한 한국인의 가슴에서 흘러나온 노래 아리랑. 스스로에게 그리고 서로에게 불러주며, 시대라는 고개를 넘어 정신이 되고 희망이 되었습니다. 지금 한국인은 지구촌을 위해 아리랑을 부릅니다. 2014.05.23문화융성, 행복한 대한민국
10월은 문화의 달-문화융성, 행복한 대한민국[자막] 세상에서 가장 큰 예술작품성우: 누군가가 칠한 작은 벽에서 마을 전체로[자막] 주민들의 손끝에서 시작된 문화가성우: 주민들의 손끝에서 시작된 문화가 모두에게 전해져 사람들의 마음을 열었습니다.[자막] 사람들의 마음을 열었습니다.성우: 카페를 만들고 공방을 열고 문화는 공동체를 풍요롭게 만들었습니다.[자막] 카페를 만들고 공방을 열고 문화는 공동체를 풍요롭게 만들었습니다.성우: 아시아에서 가장 아름다운 감천마을[자막] 아시아에서 가장 아름다운 감천마을 성우: 사람을 행복하게 하고[자막] 사람을 행복하게 하고 경제 성장을 이끌며 세계와 함께하는 문화의 나라가 되는 것성우: 모두를 하나로 만들고, 경제성장을 이끌며 세계와 함께하는 문화의 나라가 되는 것 바로 문화융성입니다.[자막] 10월은 문화의 달-문화융성, 행복한 대한민국 2013.09.27독특한 전통, 한국의 명절 2부 - 특별한 추수감사절, 추석
제목자막: 독특한 추수감사절, 추석남자> 가을이 시작 될 즈음이면 한국인들이 모두 이동하는 날이 있습니다.여자> 뿔뿔이 흩어져 살고 있던 가족들이 고향이나, 부모님이 계신 곳에서 만나는 날! 한국인들의 '추수감사절' - 추석입니다.남자> 저는 처음 한국에 왔을 때, 이런 이색적인 모습에 깜짝 놀랐죠여자> 외국인이 알지 못하는 한국의 명절, 추석에 얽힌 독특한 이야기가 궁금해 지는데요.남자> 즐겁고, 행복하고, 감동이 있는 한국의 명절, 추석~여자> 그 문을 열어 볼까요?제목자막:송편을 아시나요?'송편' 을 아시나요?한국의 들판이 황금빛으로 물드는 계절.. 한 해 농사를 감사히 생각하며 만들어 먹는 추석의 특별 음식, 송편! 송편은 햅쌀가루를 반죽하여 콩, 깨, 밤, 녹두를 넣고 쪄내는 떡인데요.그 모양새가 달을 닮았습니다.달이 생성, 성장, 소멸의 단계를 거치듯 한 해의 농사도 그 단계를 거쳤다는 의미가 닮겨 있죠.자막: 달의 모양을 닮은 [송편]음력 8월 15일. 한국의 추석.한국의 고서《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신라 3대 유리왕은 두 왕비에게 1달 동안 길쌈 대결을 하게 하였고8월 15일에 승자를 축하하며 가무를 즐겼다는 역사 깊은 유래가 있습니다.자막: 음력 8월 15일 [한국의 추석]자막: [신라 유리왕/서기28년] 길쌈대결을 하여 승자를 축하하라이처럼 그 시작이 오래된 '추석'은 '설날'과 함께 한국인에게 가장 큰 2대 명절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고향으로, 가족에게로 찾아가는 민족 대이동이 일어나는 날이기도 합니다.남자> 처음엔 '송편'을 먹기 위해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고향으로 가나~ 했다니까요?여자> 알고보니 추석은 흩어져 있던 가족들이 모여서한 해의 풍요로운 수확의 기쁨을 나누는 날이었군요~제목자막: 가을이 주는 '최고의 아침 '한국의 가을을 느껴보셨나요?추석이 되면, 한국은 온통 가을빛으로 물듭니다.자막: 한국의 가을 [9월~11월]설날처럼 추석에도 한국인들은 차례를 지냅니다.조상들에게 수확의 기쁨과 감사를 돌리는 의미이기도 하고,수확한 곡식과 과일을가족, 이웃과 함께 나누는 '가을 최고의 날' 이기도 합니다.자막: 명절날 조상에게 올리는 감사의 의례 [차례]그래서 한국 사람들은 배불리 먹고 즐겁게 놀 수 있는 이 날을 일컬어'더도 덜도 말고 추석만 같았으면 좋겠다' 고 말한답니다. 재미있는 표현이죠?자막: "더도 덜도 말고 추석만 같았으면 좋겠다"송편과 함께 차례상에 올리는 토란국! 쇠고기 육수에 끓여낸 토란국은밥이나 송편을 먹을 때 목이 메이는 것을 방지하기도 합니다.살찐 닭을 잡아 '닭찜'도 올립니다.푸짐한 추수감사용 차례상으로 조상에게 감사를 표한 뒤에는함께 나누어 먹습니다.남자> 정말 이보다 좋은 날이 없는 것 같아요.여자> 그렇긴 한데. 추석 음식을 먹고 나면, 다이어트 걱정을 안 할 수가 없네요.제목자막: 추석 세리머니 '성묘'추석에는 차례를 지내고 나서 가족들 모두 특별한 곳으로 향합니다.바로 조상의 묘가 있는 곳이죠. 조상들에게 감사의 뜻을 표하는 추석 차례 지내기처럼,조상의 묘지가 잘 보존되고 있는지 살펴보고간단하게 차례를 지내며 그 은혜와 덕을 기립니다.자막: 조상의 묘를 살피고 간단한 차례를 지내는 [성묘]전통적인 장례문화가 변화하여 납골당을 찾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지만 특별한 날 조상과 함께하는 마음만은 한결같이 이어지고 있습니다.제목자막: 추석을 한층 즐겁게 하는 놀이들!추석연휴를 맞아 취미와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이 크게 늘면서 추석 명절의 풍속도도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테마파크와 공연장은 미리 예약을 해야 이용이 가능할 정도로 붐비고연휴를 즐기려는 사람들로 호텔, 레저, 외식업은 큰 호황을 맞고 있습니다.자막: 추석3일 휴일에 주말이 더해져 한층 여유로워지는 [추석연휴]한국의 추석날에는 대표적 전통놀이 '씨름'을 볼 수 있습니다. 옛날 농경사회에서 남자들이 힘자랑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자 보는 사람에게도 스릴과 즐거움을 주는 놀이인데요.우승자에게는 천하장사라고 호칭할 정도로 큰 명예가 주어집니다.자막: 상대방을 넘어뜨리면 이기는 한국의 전통기예이자 민속놀이 [씨름]줄다리기는 주민들이 편을 갈라 굵은 줄을 당겨서 승부를 가리는 집단적인 민속놀이 입니다. 승부만큼이나 집단의 결속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놀이의 긴장감은경기마다 최고조에 이릅니다.자막: 추석날 집단적인 놀이행사로 줄을 당겨 승부를 겨루는 [줄다리기]일 년 중 추석 때 주로 하는 소싸움은 두 마리 황소를 맞붙여 승부를 겨루는 놀이입니다. 소를 중요한 생산수단으로 여겼던 과거에소싸움은 어느 지역에서나 볼 수 있던 풍경 이었습니다.자막: 소를 중요한 생산수단으로 여겼던 옛날에 강한 소를 가렸던 놀이에서 유래 [소싸움]제목자막: 만월의 밤에 춤 추실래요?하루 종일 즐거운 일과 음식으로 최고의 풍요로움을 만끽하는 추석! 그런데, 추석날 밤에 더 큰 즐거움이 기다립니다. 특히 보름달이 뜨면 말이죠!자막: 보름달 밤 부녀자들이 둥굴게 손잡고 노래와 무용을 하는 풍습 [강강술래]음력으로 15일에는 둥근 보름달이 뜨죠.특히 추석날 밤에는 보름달을 보며 소원을 빌거나둥글게 손을 잡고 춤을 추는데 이 풍습을 강강술래라고 합니다.목청 좋은 여자가 앞소리를 메기면 모두들 '강강술래' 라는 후렴을 따라 하고 여러 가지 춤도 춥니다.정말 신이 나죠!이렇게 추석의 밤이 지나면 가을이 깊어질 것이고, 곧 겨울이 올 것입니다. 추석은 그래서 '한 해의 마무리를 잘 할 수 있도록 기원하는 날' 이기도 합니다.자막: 한 해의 마무리를 잘 할 수 있도록 기원하는 날 [추석]남자> 한국의 명절! 그 문을 여니, 한국이 훨씬 가깝게 느껴집니다!여자> 보름달이 뜬 추석이 되면 함께 강강술래 추실래요? 한국의 특별한 추수감사절, 추석을 함께 즐겨 보세요.한국의 특별한 추수감사절, 추석을 함께 즐겨 보세요.자막: 한국의 특별한 추수감사절, 추석을 함께 즐겨 보세요. 2012.01.06독특한 전통, 한국의 명절 1부 - 진짜 새해, 설날
제목자막: 진짜 새해, '설날' 남자> 한국에서 생활한지 3년. 나에게는 한국의 매력에 빠진 특별한 날이 있습니다. 여자> 미국에서 12월 31일 밤, 뉴욕 타임즈 스퀘어의 신년볼이 떨어지는 것을 보거나, Rose parade 를 보는 것과는 또 다른 한국의 새해! 남자> 한국인들은 신년 첫날을 서울의 보신각 종소리와 함께 시작합니다.외국인들에게 새해는 하루! 그러나~ 한국은요 여자> 또 한 번의 새해가 있습니다. 달의 주기로 만든 '음력'이 가리키는 새해, 바로 설날인데요. 남자> 이 날은 단순한 휴일이 아닌, 한국인들의 독특한 스토리가 있는 명절날입니다. 설날 속에 숨겨져 있는 그 특별한 이야기를 시작해 볼까요? 제목자막: 가래떡과 무병장수 쪄낸 쌀가루 반죽을 떡매나 기계로 찰지게 한 후 가늘고 길게 만들어내는 가래떡. "떡 만드는 거죠? 저도 해볼 수 있을까요?" "와~ 무겁네요" 자막: 설날에 먹는 명절음식 떡국의 주재료 [가래떡] 가래떡은 설날에 먹는 명절음식 떡국의 주재료로 한국에선 하얗고 가느다란 떡을 만들면서 설날을 준비합니다. 특히 가래떡을 길게 만드는 것은 가족 모두의 무병장수를 기원한다는 의미입니다. 자막: 가족 모두의 무병장수를 기원 [가래떡] 한국의 설날은 서기 488년 신라 21대 소지왕 때 제사를 지내고 몸과 마음을 조심히 했다는 삼국유사의 기록이 있을 정도로 그 유래가 깊습니다. 전통적으로 이 날은 세속 생활을 떠나서 조상을 숭배하는 성스러운 시간입니다. 자막: [신라 소지왕/서기 488년] 제사를 지내고 몸과 마음을 조심히 하라 설날에 가족들과 같이 지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고향으로 가는데 길은 막히지만 마음만은 설레임으로 가득 찹니다. 자막: 설날 귀향길 오랜만에 만나는 가족 그리고 지인에게 반가움과 고마움의 뜻으로 선물도 준비하는데 그 때문에 백화점과 시장은 큰 호황을 맞기도 합니다. 자막: 반가움과 고마움의 선물준비로 [설특수] 설날 전날, 재미있는 풍습 중 하나는 밤잠 없는 귀신이 신발을 신고 갈 수도 있다는 전설 때문에 신발을 방안에 들여놓고 자기도 합니다. 제목자막: 설날, 감사와 나눔의 의례 드디어! 한국의 진짜 새해, 설날의 아침. 자막: 설날에 입는 새 옷 [설빔] 한국인들은 설날, 특별한 옷을 입습니다. 새 옷이란 뜻으로 '설빔' 이라고 하는데요, 한국의 전통적인 옷, 한복이 대표적입니다. 한국인들은 조상의 기일에 추모의 의미로 "제사를 지내는데 비슷해 보이기는 하지만 명절에는 "차례"라고 하여 조상에 대한 감사의 의미를 담아 의례를 치룹니다. 자막: 조상의 기일에 추모하는 의례 [제사] 설날의 차례상에는 건강하게 오래 살라는 의미로 가래떡을 썰어 끓여낸 떡국과 겨울 내내 귀하게 저장해 놓은 과일, 그리고 식재료들로 만든 전과 적을 올립니다. 자막: 명절날 조상에게 올리는 감사의 의례 [차례] 대부분 이날에는 돌아가신 4대 조상을 모두 모시는데 조상에 대한 감사의 마음이 담긴 설날의 차례는 '한국인의 효 사상' 를 엿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의식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자막: 조상에게 올렸던 술을 마시며 덕을 물려받는다 [음복] 차례 후에는 '음복'이라고 하는 풍습이 있는데 꼭 참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상에게 올렸던 술을 마시면서 그 덕을 물려받는다는 의미가 있기 때문이죠. 남자> 한 해를 보내는 동안, 복과 덕이 많아지라는 기원의 의미라고 하는데요, 여자> 그렇다고 너무 많이 먹으면~ 취하니 조심해야죠! 제목자막: 설날 세리머니 '세배' 설빔을 입고 어른들에게도 절을 하는데, 이 풍습을 세배라고 합니다. 세배는 살아계신 어른들에게 존경과 건강을 기원하는 풍습입니다. 자막: 설날 어른들에게 드리는 새해 인사 [세배]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자막: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세배를 받은 어른들은 그 답례로 한해를 잘 보내라는 뜻으로 덕담과 세뱃돈을 줍니다. 아이들에겐 집안에 어른들이 많을수록 세뱃돈이 많아지니 더욱 설날이 행복해 집니다. 새해의 행복과 행운을 기원하는 또 하나가 있습니다. 바로 복조리입니다. 원래 '조리' 는 쌀을 씻을 때 이물질을 걷어내는 도구인데요, 이 '조리'를 집 안에 걸어두면 1년 내내 좋은 일, 복된 일이 집안으로 들어온다고 합니다. 그래서 '복조리'를 살 때는 값을 깎지도 물리지도 않습니다. 자막: 1년 내내 좋은 일, 복된 일이 집안으로 들어온다 [복조리] 제목자막: 설날 놀이의 즐거움 '함께 그리고 행복' 설날 차례와 세배를 마친 가족들은 다함께 고궁이나 박물관, 놀이공원 등지로 나들이를 나갑니다. 자막: 설날 차례와 세배를 마치고 다함께 [가족나들이] 이곳들은 대부분 설날에 무료개방 하거나 특별이벤트가 펼쳐져 즐거움을 한층 더 북돋아 주죠. 요즘엔 연휴를 이용해 가족여행을 떠나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자막: 특별행사를 즐기거나 여행을 떠나는 [설날 신풍속] 설날에 한국인들이 즐기는 전통놀이는 다양합니다. 제기차기는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놀이로 누가 더 오랫동안 제기를 땅에 떨어뜨리지 않고 차느냐에 따라 상과 벌을 나눕니다. 자막: 전을 종이나 헝겊으로 싸서 발로 차는 [제기차기] 4개의 윷이 엎어지느냐, 젖혀지느냐에 따라 말판에 말을 놓아 빠르게 한바퀴 돌면 이기는 게임, 윷놀이도 유명합니다. 자막: 4개의 윷을 던져 빠르게 말판을 통과하는[윷놀이] 가족 또는 마을 사람들이 모여 함께 즐기는 윷놀이는 많은 사람이 같이 할수록 화합과 그 재미가 더 합니다. 설날놀이의 특별한 즐거움이 또 하나 있습니다. 바로 연날리기 입니다. 누가 더 멀리, 더 높이 나는지를 겨루기도 하고, 연싸움을 벌이기도 합니다. 나쁜 운이 있는 사람은 연에 이름을 적어 멀리 날려 보내면 행운이 찾아온다고 합니다. 자막: 연을 날리며 복을 기원하는[연날리기] 남자> 겉으로만 보았을 때는 단순한 공휴일 설날인 줄 알았는데... 여자> 자세히 알고 보니 한국의 새해, 설날은 가족과 이웃과 함께 나누어 먹고, 즐기면서 복된 한해를 기원하는 날이었습니다. 남자> 어떻게 하죠? 벌써 내년 설날이 또 기다려지는데요. 한국의 진짜 새해, 설날에 여러분을 초대 합니다 2012.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