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활동

전체 9,822

페이지 1 / 983

게시물검색영역
  • 한일 음악의 우아함과 정취로 이어가는 문화교류

    한일 음악의 우아함과 정취로 이어가는 문화교류

    올해는 한국과 일본이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이하는 해로, 주일한국문화원에서는 이를 기념한 다양한 교류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이를 기념하는 첫 무대공연으로‘한일음악의 우아함과 정취’가 지난 3월 5일 주일한국문화원 한마당 홀에서 개최되었다.이 공연은 양국 전통 예술계의 신구 세대의 교류 무대로 일본은 샤미센계를 대표하는 혼조 히데타로와 그 제자들, 한국은 판소리 명창 조주선과 차세대 예술가들의 대금, 가야금 무대 그리고 양국 협연 무대를 선보였다.양국의 문화교류를 기념하는 이 공연은 많은 관심을 얻어 주한일본대사 재직 시절(1997~1999년) 조주선 명창에게 판소리를 배운 오구라 카즈오 전 주한일본대사를 비롯한 외무성 관계자, 언론인, 문화인들이 다수 관람하였다.▲한국 전통 공연 무대▲한일 전통 공연 협연 무대올해 상반기에 두 차례 더 한일 전통 예술 무대를 개최할 예정으로 4월 5일에는 한일전통무용 교류 무대를, 4월 18일에는 한일 청년 전통 예술가들의 교류 공연을 앞두고 있다. 주일 한국문화원 | 2025.03.27
    상세보기
  •  LA한국문화원, 광복 80주년 기념 '한국영화로 본 광복이야기'...개막작 <항거:유관순 이야기> 성황리 상영

    LA한국문화원, 광복 80주년 기념 '한국영화로 본 광복이야기'...개막작 <항거:유관순 이야기> 성황리 상영

    LA한국문화원, 광복 80주년 기념 '한국영화로 본 광복이야기'...개막작 <유관순 열사> 성황리 상영 영화 <항거:유관순 이야기>를 관람하고 있는 관객들LA한국문화원(원장 정상원)이 3월 13일 광복 80주년 기념 '한국영화로 본 광복이야기'의 개막작 <항거: 유관순 이야기>(2019)의 상영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영화는 3.1 만세운동과 여성 역사의 달을 기념하기 위해 선정된 작품으로, 유관순 열사의 독립운동과 여성들의 저항 정신을 흑백과 칼라로 카메라에 담아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했다. 일부 관객은 영화가 끝난 뒤 남은 여운에 한동안 자리를 뜨지 못하기도 했다. 정상원 문화원장은 "이 특별 상영회는 단순히 영화를 관람하는 자리가 아니라, 항일 운동의 역사와 독립운동가들의 희생을 되새기고 기억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의미 있는 작품들을 통해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5월 14일에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보스턴 1947>(2023)을 상영할 예정으로, 손기정 선수와 서윤복 선수의 뜨거운 도전과 감동적인 이야기를 전할 예정이다. 모든 상영은 LA 한국문화원 아리홀에서 진행되며, 사전 예약은 문화원 웹사이트(www.kccla.org)를 통해 가능하다. 주로스앤젤레스 한국문화원 | 2025.03.27
    상세보기
  • [전시]

    [전시] "사랑해요, 대한민국" 아트 전시회

    4월 5일부터 30일까지, 자폐 인식의 달을 기념하여 주브라질한국문화원이 "사랑해요, 대한민국" 아트 전시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자폐인 예술가 11명이 창작한 46점의 작품을 선보이며, 각자의 방식으로 한국에 대한 사랑을 표현합니다.이번 전시는 비영리 단체 Eyecontact – Lives Shaped by Autism의 설립자인 그라지 가디아(Grazi Gadia)가 큐레이팅을 맡았으며, 참여 작가는 아르투르 지 올린다(Arthur de Olinda), 베르나르도 요리(Bernardo Yori), 다비 히베이루(Davi Ribeiro), 두두 메모리자(Dudu Memoriza), 가비 홍(Gabi Hong), 가비 하욘(Gabi Hayon), 이사 고메스(Isa Gomes), 제시 블루(Jessye Blue), 줄리아 말크(Júlia Malc), 마리 고메즈(Mary Gomes), 요 크루주에(Yo Cruzue) 등 총 11명입니다. 작품들은 한국문화원 2층 도서관 공간에서 전시됩니다. 전시 기획자이자 참여 작가의 어머니인 수자나 배(Susana Bae)는 "대한민국을 주제로 한 작품을 창작함으로써, 자폐인 예술가들이 간접적으로 한국 문화를 경험하고, 예술적 표현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라고 전시의 의미를 전했습니다. 아트 전시회 “사랑해요, 대한민국”●날짜: 2025년 4월 5일 ~ 30일●운영 시간: 화요일 ~ 금요일, 13시 ~ 18시; 토요일, 10시 ~ 18시 30분 (점심시간 12시 ~ 13시)●장소: 주브라질한국문화원 2층 도서관●주소: 상파울루/상파울루, 벨라 비스타, 아베 파울리스타 460●연령대: 전체 관람 가능●입장: 무료●• 문의: contato@kccbrazil.com.br 특별 프로그램●개막식○일시: 2025년 4월 5일(토) 15:00~16:00○장소: 주브라질 한국문화원 도서관○주소: Av. Paulista, 460. Bela Vista, São Paulo/SP○연령 제한: 없음 (모든 연령 참여 가능)○입장: 무료 (선착순 입장, 좌석 제한 있음)○설명: 전시 개막 행사에서는 Clínica Aptos의 루시아나 페로우드와 대인 관계 전문가 에릭 쿠퍼티노의 강연이 진행됩니다.더 자세한 내용은 링크(클릭)를 통해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주브라질 한국문화원 | 2025.03.27
    상세보기
  • 국제학교 제 2외국어 한국어 수강 학생 대상 한국문화체험 운영

    국제학교 제 2외국어 한국어 수강 학생 대상 한국문화체험 운영

    주멕시코한국문화원은 지난 2월 19일 웨스트힐 국제학교 제 2외국어 한국어 수강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문화체험 행사를 열었다.웨스트힐 국제학교는 6학년~10학년까지 학년별 제2외국어 한국어 수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어 수강하는 학생은 약 30명이다.문화원을 찾은 학생들은 한국문화원 전시실 견학, 한복입기 체험, 자개풍경 만들기, 한식레시피 수업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웨스트힐 국제학교 한국어 교사는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한국문화 및 한국어에 대한 흥미를 꾸준히 유지하고 학습동기를 유발하고자 문화원의 한국문화체험 프로그램을 신청했다며 참가 동기를 밝혔다.참가학생들은 한식레시피 수업을 통해 잡채 레시피를 배우고, 잡채를 비롯한 김치, 밥을 함께 시식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주멕시코 한국문화원 | 2025.03.27
    상세보기
  • [전시] 국제콘텐츠 공모전 톡톡코리아 2024 수상작 전시

    [전시] 국제콘텐츠 공모전 톡톡코리아 2024 수상작 전시

    주브라질문화원은 2025년 4월 2,3일부터 6월 30일까지 국제 콘텐츠 공모전 '톡톡코리아 2024 수상작 전시'를 개최합니다. '한국 본연의 아름다움을 경험하다'라는 주제로 한국을 사랑하는 전 세계엔이 참여한 2024 Talk Talk Korea콘테스트는 프로모션 비디오, 아트앤크래프트, 모션그래픽, 포토북, 밈앤 트랜드 등 5가지의 종류의 콘텐츠를 통해 한국만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아름다움과 특별한 즐거움을 담았습니다. 특히 포토북 부문에서 브라질 국적 참가자 다니엘라 크란츠 모레이라 (Daniela Kranz Moreira)가 제목 - 서울: 잊지 못할 풍경 (Seoul: An Unforgettable View)으로 1등을 수상한 작품과 함께2024년에 입상한 80여개의 작품을 2개의 코리아 코너에서 전시합니다. 분야별 1등 수상 작품 및 작가 소개분야별 1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프로모션 비디오 부문o이름: 우이히네 (Uhiene)o국적: 나이지리아o제목: 일확천금을 찾아서 (The Search for a Pot of Gold) 아트 앤 크래프트 부문o이름: 마조리 디아즈 (Marjorie Diaz)o국적: 파나마o제목: 음식을 통해 한국을 만나다 (Discovering Korea Through Food) 모션 그래픽 부문o이름: 안드레이 루그투 (Andrei Lugtu)o국적: 필리핀o제목: 한국을 발견하다 (Discover Korea) 포토북 부문o이름: 다니엘라 크란츠 모레이라 (Daniela Kranz Moreira)o국적: 브라질o제목: 서울: 잊지 못할 풍경 (Seoul: An Unforgettable View) 밈 앤 트렌드 부문o이름: 가히르 (Gahir)o국적: 인도o제목: 밈과 트렌드 (Meme and Trend) 국제콘텐츠 공모전 톡톡코리아 행사와 관련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관련 홈페이지를 참조 바랍니다.홈페이지: https://www.talktalkkorea.or.kr/국제콘텐츠 공모전 톡톡코리아 2024 수상작 전시날짜/기간: 2025년 4월 3일(USP대학), 2일(PUC-Campinas대학) ~ 2025년 6월 30일운영시간: 월 ~ 금 10시 ~ 16시장소: 상파울루대학(USP) 코리아코너, PUC캄피나스대학 코리아코너주소:o상파울루대학 코리아코너: Avenida Prof. Lúcio Martins Rodrigues, 310, Bloco B, 1° andar, Butantã, São PaulooPUC캄피나스대학 코리아코너: H13 - Pav. Superior, Edifício - Parque dos Jacarandás, Campinas/SP연령대: 전 연령 관람가능입장료: 무료연락처:oUSP대 코리아코너: USP International Office: aucani.ara@usp.broPUC캄피나스대 코리아코너: 인스타그램DM @koreacornerpuccampinas 주브라질 한국문화원 | 2025.03.26
    상세보기
  • 오사카에서 만나는 작가 박신양의 작품세계

    오사카에서 만나는 작가 박신양의 작품세계

    주오사카한국문화원(원장 김혜수, 이하 문화원)은 한국 신진·우수 예술가의 해외 진출과 교류를 지원하고 다양한 분야의 한국 미술을 현지에 소개하기 위해 ‘K-아트와 만나다 : 박신양 – 제 4의 벽’ 전시 및 연계행사를 개최하여 일본 내 미술 관계자 및 일반 시민들의 많은 호응을 받았다.▲ 전시 연계행사 ‘아티스트 토크 : 한일미술교류’ 모습 최근 일본에서는 케이팝, 드라마를 벗어나 예술, 만화 등 다양한 분야의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문화원은 한국에서 주목받는 작가를 일본에 소개하고 미술을 통한 한일 문화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K-아트와 만나다' 사업을 올해 새롭게 시작하게 되었다.▲ 갤러리 관람객 모습 이번 전시는 'K-아트와 만나다' 기획의 첫 번째 사업으로 10년 넘게 묵묵히 미술작업을 이어온 미술 작가이자 1세대 한류 배우인 박신양의 박신양 작가의 독특한 예술 철학이 담긴 유화 14점과 판화 5점을 전시하였다. 박신양 작가는 본인의 연기 경험을 기반으로 미술 작품의 감상을 통한 감정의 작용에 주목하는 독특한 예술 철학을 실천해 왔다. 또한 작품에 담긴 이야기를 전달하며 관객과 교류·교감하는 것에 집중하기 위해 작품 판매를 하지 않아 화제가 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점이 본 사업의 취지와 일치하여 전시가 실현되었다.▲ 갤러리 관람객 모습 개막 하루 전날인 2월 14일(금)에는 한국 작가의 미술관을 공유하고 양국이 미술을 바라보는 시선에 대해 교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계 행사 '아티스트 갤러리 토크'를 개최하였다. 최초 50명을 모집하였으나 220명이 넘는 응모가 접수되어 추첨으로 참가자를 선발하였으며 오사카 지역 주요 화랑 관계자, 방송 저널리스트, 미술 전공 학생 등과 함께 전국 각지에서 모인 일반 시민들이 참석하였다.▲ 아티스트 토크 참가자 모습 동 행사에서는 박신양 작가와 일본에 한국 미술을 꾸준히 소개해 온 카제 아트 플래닝의 이즈이 치에 대표가 등장하여 작가의 미술 철학이나 전시 작품의 감상, 한일 양국의 미술을 바라보는 시선 및 표현 방식의 차이 등을 공유하는 대담을 진행하였다.▲ 아티스트 토크에서 패널리스트에게 질문하는 참가자 모습대담 종료 후에는 질의응답과 작가가 직접 작품을 소개하는 도슨트도 진행되어 참가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박신양 작가의 도슨트 모습 ㅇ 행 사 명 : K-아트와 만나다 : 박신양 - 제 4의벽  ㅇ 일 시 : 2025.2.15.(토) ~ 2025.3.22.(토) ㅇ 장 소 : 오사카한국문화원 미리내갤러리 ㅇ 주 최 : 주오사카한국문화원 주오사카 한국문화원 | 2025.03.26
    상세보기
  • 동아시아 국제전람회 in TOKYO 2024-2025

    동아시아 국제전람회 in TOKYO 2024-2025

    주일한국문화원에서는 사단법인 아시아민족조형학회, 일본 일반사단법인 동아시아역사문화연구소와 공동으로 한국과 일본, 중국의 전통 공예들을 소개하는 전시회 「동아시아 국제전람회 in TOKYO 2024-2025」를 2024년 12월부터 2025년 2월 18일까지 갤러리 MI에서 개최하였다.이번 전시회에는 동 학회 회원인 무형문화재 보유자과 전수교육조교, 이수자, 대한민국명장, 각 대학의 교수 및 문하생 등 약 68명과 일본과 중국의 각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중국 예술인 10명, 일본 예술인 25명 등 총 103명이 전시에 참여하였다.비슷하면서도 다른 한국, 일본, 중국 각국의 전통공예의 문화를 재인식하는 기회가 되어 많은 이들이 전시를 관람하였다.▲전시 전체 풍경▲카라쿠리라 불리는 움직임이 재미있는 일본 작품▲전시작품 - 한지로 만든 문진 주일 한국문화원 | 2025.03.26
    상세보기
  • 주멕시코 한국문화원, 웃음으로 하나되는 '설날 한마당' 성황리에 마쳐

    주멕시코 한국문화원, 웃음으로 하나되는 '설날 한마당' 성황리에 마쳐

    주멕시코한국문화원은 지난 1월 29일 설날을 맞이하여 '설날 한마당' 행사를 개최하였다.높은 참가 경쟁률을 뚫고 선발된 약 40여 명의 참가자들은 이번 '설날 한마당' 행사에서 2025년의 갑자년도인 푸른 뱀의 해 을사년에 대해서 짧은 특강을 듣고 다양한 설날문화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설날 한마당' 은 1, 2부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1부 설날문화특강, 떡국 레시피 수업, 2부 전통놀이 체험(윷놀이, 공기놀이, 제기차기)가 진행되었다.설날문화 특강에서는 갑자년도 세는 법, 설날 세배 문화, 세배하는 법 등을 다뤄 멕시코 주재국민들에게 올바른 설날 문화를 소개하였다. 이어 떡국 레시피 수업을 통해 설날에 먹는 떡국의 의미를 소개하고 시식하는 시간을 가졌다.행사 2부에서는 청, 백, 홍으로 팀을 나누어 오징어게임 2에 나와 현지에서 화제가 된 제기차기, 공기놀이과 설날하면 빼놓을 수 없는 윷놀이를 진행하여 참가자들 모두 열띤 승부를 펼쳤다. 설날 행사에 참가한 알레한드라는 설날을 맞이하여 한국 드라마에서 본 것 처럼 다같이 모여 게임도 하고 떡국도 먹는 기회를 갖게되어 매우 뜻깊고 즐거운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주멕시코 한국문화원 | 2025.03.26
    상세보기
  • 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 ‘제6회 글꽃’ 전시회 성황리 개최

    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 ‘제6회 글꽃’ 전시회 성황리 개최

    튀르키예한국문화원은 3월 17일(월)부터 4월 30일(수)까지 문화원 전시실에서 ‘제6회 글꽃 그룹 전시회’를 개최한다.▲ 튀르키예문화원 제6회 글꽃 전시 개막식동 전시에는 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 서화 강좌를 수료한 학생들이 그동안 갈고닦은 실력을 선보였는데, 서화 강좌 졸업생들은 동양화의 대표적인 소재인 매(梅), 난(蘭), 국(菊), 죽(竹)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거나, 한글 판본체와 궁서체를 주제로 작품을 완성했다. 이를 통해 한국 전통 서화의 아름다움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하며 개개인의 개성을 담아 표현했다.▲ 문화원장, 서화 강좌 학생 및 강애희 강사매년 우수학생들은 12지신 중 해당 연도의 띠를 주제로 민화 기법을 활용한 작품을 제작하는데, 올해는 을사년(乙巳年)을 맞아 ‘푸른 뱀’을 모티브로 한 다채로운 작품들이 전시되었다. 특히 뱀은 한국 전통 문화에서 지혜와 신비로움을 상징하는 동물로, 학생들은 이를 창의적인 방식으로 표현하여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감동을 선사했다.▲ 글꽃 전시회 관람하는 현지인 회원들▲ 제6회 글꽃 전시회 개막식 단체 사진한편 이번 전시를 지도한 강애희 서화 강사는 “학생들이 전통 서화의 기본을 충실히 익히면서도 개성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도해왔다”며, “이번 전시가 한국 서화의 매력을 널리 알리는 좋은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전승철 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장은 “글꽃 그룹전시는 한국 서화 강좌를 이수한 학생들의 졸업 전시이자, 우수학생들의 작품을 조명하는 뜻깊은 자리”라며, “전통과 현대가 조화롭게 어우러진 이번 전시를 통해 많은 분들이 한국 서화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주튀르키예공화국 한국문화원 | 2025.03.25
    상세보기
  • 한글 캘리그라피 특별 강좌

    한글 캘리그라피 특별 강좌

    한글 캘리그라피 특별 강좌3월 10일(월), 세종학당 학생들 대상으로 한글 캘리그라피 특별 강좌가 열렸습니다.수강생들은 본인이 가장 좋아하는 한글 문구를 ‘미생체’ 또는 ‘봄날체’로 적는 시간을 가졌습니다.여러분이 가장 좋아하는 한글 문구는 무엇인가요? 주이탈리아 한국문화원 | 2025.03.25
    상세보기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