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활동

전체 10,568

페이지 1 / 1057

게시물검색영역
  • KREW 12기와 함께하는 ‘K-Culture Afternoon Delight’...주필리핀한국문화원, 떡볶이 요리대결 (Cook-Off)로 창의력과 우정 다져

    KREW 12기와 함께하는 ‘K-Culture Afternoon Delight’...주필리핀한국문화원, 떡볶이 요리대결 (Cook-Off)로 창의력과 우정 다져

    KREW 12기와 함께하는 ‘K-Culture Afternoon Delight’- 주필리핀한국문화원, 떡볶이 요리대결 (Cook-Off)로 창의력과 우정 다져 -▲KREW 12기와 졸업생들의 단체사진주필리핀한국문화원(원장 김명진, 이하 ‘문화원’)은 지난 8월 1일, 문화원 자원봉사단인 KREW 12기 및 졸업생들과 한국 문화 토론회 ‘K-Culture Afternoon Delight’ 행사를 진행했다.이번 행사는 필리핀 내 한국 문화 트렌드를 논의하고 문화원 하반기 행사를 소개하며 단원들 간의 단합심을 다지기 위해 개최되었다. 또한 문화원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KREW 단원들을 격려하고 감사를 전하며 앞으로 예정된 다양한 행사에도 KREW의 지속적인 참여와 협력을 요청했다.이번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KREW 12기와 졸업생들이 팀을 이루어 참여한 떡볶이 Cook-Off (요리 대결)였다. 25명의 단원들이 참여해 요리 실력뿐만 아니라 창의력과 팀워크를 뽐내는 시간을 가졌다. 참가자들은 떡볶이라는 동일한 주제로 자신들만의 특별한 요리법을 선보이며 경쟁을 펼쳤다.▲ 떡볶이를 준비하는 KREW▲소떡소떡 스타일 떡볶이를 먹는 참가자들한 팀은 계란과 대파를 더해 정통 떡볶이 스타일을 완성했으며, 또 다른 팀은 떡갈비를 활용한 퓨전 요리를 선보였다. 소떡소떡 (소시지와 떡꼬치)에서 영감을 받은 팀은 어묵, 소시지, 떡을 매콤한 양념에 조화롭게 버무린 독창적인 요리를 완성했다. 특히 한 팀은 필리핀 대표 음식인 롱가니사(Longganisa)를 크림 소스와 결합한 로제 떡볶이를 선보이며 현지의 맛과 한국 고유의 매운맛을 조화롭게 담아냈다.이번 요리대결은 단순한 요리 대결을 넘어 KREW 단원들이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한국 음식에 대한 애정을 나누는 교류의 기회가 되었다. 참가자들은 팀원들과 함께 요리하며 서로의 요리법을 평가하고 요리 팁을 공유하는 등 유쾌한 분위기 속에서 의미 있는 시간을 보냈다.▲KREW가 함께 요리한 떡볶이 요리문화원은 앞으로도 이와 같은 체험형 프로그램을 통해 KREW 단원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와 교류의 기회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주필리핀 한국문화원 | 2025.10.15
    상세보기
  • 인트라무로스에서 전하는 한국의 음악과 빛...주필리핀한국문화원, 한-필 공연 예술가 교류 콘서트 개최

    인트라무로스에서 전하는 한국의 음악과 빛...주필리핀한국문화원, 한-필 공연 예술가 교류 콘서트 개최

    인트라무로스에서 전하는 한국의 음악과 빛- 주필리핀한국문화원, 한-필 공연 예술가 교류 콘서트 개최 -▲ 연주자 및 행사 참가자 단체사진 주필리핀한국문화원(원장: 김명진, 이하 ‘문화원’)은 9월 30일 인트라무로스 뮤지엄(Museo de Intramuros)에서 ‘한-필 공연 예술가 교류 콘서트’(Harmony Continues)를 개최했다. 9월 필리핀 창조산업의 달을 기념해 필리핀 문화예술위원회(National Commission for Culture and the Arts, NCCA)와 함께 개최한 이번 행사는 한국과 필리핀의 젊은 공연 예술가들이 한 무대에서 서로의 음악을 나누는 교류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에서는 국악 그룹 달음과 소프라노 스테파니 퀜틴 아빌라(Stephanie Quentin-Avila)이 공연을 펼쳐 관객들의 환호를 받았다.▲ 박물관 내 조성된 진주 실크등 전시특히 이번 공연은 필리핀의 유구한 역사를 담고 있는 인트라무로스(Intramuros) 지역 내 산 이그나시오 성당(San Ignacio Church)을 개조해 만들어진 인트라무로스 뮤지엄에서 진행되어 더욱 의미를 더했다. 또한 올해 진행된 문화원 전시 중 많은 인기를 끌었던 진주 실크등을 뮤지엄 내 전시해 방문자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 달음 공연▲ 소프라노 스테파니 퀜틴 아빌라 공연한국에서 초청된 ‘달음’은 거문고 연주자인 황혜영, 가야금 연주자인 하수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올해 스페인에서 라 마르 데 무시카스(La Mar de Musicas) 참가 등 국내외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번 행사에서는 자작곡인 ‘탈 (Tal)’, ‘Dot’, ‘Alive’ 등을 연주하며 국악기의 매력과 공연단의 음악성으로 관객들을 매료시켰다. 한편 필리핀의 소프라노 스테파니 퀜틴 아빌라는 ‘Bituing Marikit’, ‘Ang Maya’ 등 필리핀 작곡가들의 쿤디만(Kundiman)을 노래하며 관객들에게 필리핀 가곡의 아름다움을 소개했다. 더불어 두 공연단은 서로의 민요를 – 바하이 쿠보 (Bahay Kubo)와 아리랑 – 연주하는 특별 무대를 선보이며 교류의 의미를 더했다. 문화원은 현지 문화예술기관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현지에 국악을 비롯한 K-음악과 한국의 예술가들을 알리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다가오는 10월 25일에는 필리핀 필하모닉 오케스트라(Philippine Philharmonic Orchestra) 협업하여 K드라마 OST를 선보이는 공연을 진행할 예정이다. 주필리핀 한국문화원 | 2025.10.15
    상세보기
  • 코리아 페스티벌,  필리핀 민다나오의 마음을 사로잡다 “City of Golden Friendship” 카가얀 데 오로 에서 최초 개최

    코리아 페스티벌, 필리핀 민다나오의 마음을 사로잡다 “City of Golden Friendship” 카가얀 데 오로 에서 최초 개최

    코리아 페스티벌, 필리핀 민다나오의 마음을 사로잡다-“City of Golden Friendship” 카가얀 데 오로 에서 최초 개최-▲ 2025 코리아 페스티벌 카가얀 데 오로 행사장 전경주필리핀한국문화원(원장: 김명진, 이하 ‘문화원’)은 9월 20일부터 21일까지 카가얀 데 오로 시(Cagayan de Oro City)에 위치한 대형 쇼핑몰 SM 카가얀 데 오로 다운타운 프리미어(SM Cagayan de Oro Downtown Premier)에서 코리아 페스티벌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On the Go”를 주제로, 한국 문화 애호가들을 직접 찾아가는 축제의 의미를 담았다. ▲ 한복을 입고 사진 찍는 방문자들한복, 한글 등 한국 전통문화 체험과 더불어 이번 행사에는 현대자동차, LG 전자, 이니스프리, 한국관광공사(KTO), 한국저작권보호원(KCOPA) 등 현지 진출 기업 및 공공기관이 참여해 한국의 문화와 상품을 폭넓게 선보였다. 또한 넷플릭스 화제작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등장한 갓과 매듭 만들기 체험, 그리고 ‘오징어 게임’에서 소개된 전통 놀이 릴레이 게임을 진행하며 글로벌 인기 프로그램을 통해 알려진 한국 문화를 직접 체험 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한필 문화교류의 의미를 더하기 위해 한국의 퓨전 국악 그룹인 여백과 카가얀 데 오로 출신 Liceo Folkloric Dance Troupe 필리핀 전통 무용단이 공연을 펼쳤으며, K팝 커버댄스 페스티벌인 ‘모두의 케이팝 – 카가얀 데 오로’가 개최되어 민다나오(Mindanao) 지역의 K팝 애호가들이 모여 춤과 노래 실력을 선보였다. 행사의 하이라이트로, 대한태권도협회 시범단이 격파와 고공 동작을 선보여 관객들의 탄성을 자아냈으며 특히 세계태권도품새선수권대회 17세 이하 자유 품새 부문 금메달리스트 변재영 선수의 단독 공연은 청중들의 뜨거운 호응을 이끌어냈다. ▲ 대한태권도 협회 축하 공연 9월 20일 개최된 개막식에는 주필리핀한국대사관 이상화 대사, 필리핀 관광부(Department of Tourism, DOT) 페르디난드 주마파오 차관 (Undersecretary Ferdinand Jumapao), 미사미스 오리엔탈주(Misamis Oriental) 줄리엣 우이 주지사(Governor Juliette Uy), 카가얀 데 오로 한인회 이진욱 한인회장 등이 참석했다. 주필리핀한국대사관 이상화 대사는 “이번 행사는 즐거움을 넘어 양방향 문화교류를 활성화하는 계기”라며 “한국과 필리핀이 서로의 문화를 함께 나누고, 공감하며, 즐기는 과정 속에서 우정이 더욱 돈독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필리핀 관광부 페르디난드 주마파오 차관은 “문화와 관광은 떼어놓을 수 없으며, 서로를 알아가고 연결하는 문이 된다”고 말했으며, 미사미스 오리엔탈주 줄리엣 우이 주지사는 “이번 행사는 문화 교류와 소통의 장이 되어 양국의 깊은 우정을 다지는 든든한 다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5 코리아 페스티벌 카가얀 데 오로 개막식문화원은 대다수의 문화 행사가 집중된 메트로 마닐라를 넘어, 필리핀 전역에서 더 많은 현지인들이 한국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찾아가는 문화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2023년 다바오(Davao), 2024년 세부(Cebu)에 이어 올해 카가얀 데 오로까지 발걸음을 넓히며 다양한 콘텐츠로 지역의 K-컬처 애호가들과 소통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주필리핀 한국문화원 | 2025.10.15
    상세보기
  • 마닐라에서 전하는 K-문학의 힐링

    마닐라에서 전하는 K-문학의 힐링

    마닐라에서 전하는 K-문학의 힐링- 마닐라국제도서전 참가 및 황보름 작가 초청 북토크 진행 -▲ 황보름 작가 북토크 단체사진주필리핀한국문화원(원장: 김명진, 이하 ‘문화원’)은 9월 10일부터 14일까지 필리핀 최대 도서 축제인 마닐라국제도서전(Manila International Book Festival)에 참가했으며, 베스트셀러『어서오세요, 휴남동 서점입니다』의 황보름 작가를 초청해 문화원, 현지 대학교, 마닐라국제도서전에서 ‘한국 문학 작가와의 만남’ 행사를 개최해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행사는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개최됐으며, 필리핀 대표 서점 내셔널 북스토어(National Bookstore)와 필리핀 국립대학교 문헌정보학과(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School of Library Science)가 협력했다. ▲ 황보름 작가 북토크 (마닐라국제도서박람회) ▲ 황보름 작가와의 만남 (필리핀 국립대학교) 올해 ‘한국 문학 작가와의 만남’에 초청된 황보름 작가는 에세이와 소설을 다수 집필해온 작가로, 2024년 『어서오세요, 휴남동 서점입니다』로 <일본서점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특히 황보름 작가의 『어서오세요, 휴남동 서점입니다』는 필리핀 현지 서점에서 꾸준히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높은 인지도를 보이고 있다. 3일 간 이어진 프로그램에서 황보름 작가는 현지 언론인, 독서 클럽, 대학생 등 한국 문학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독자들과 만나 작품과 작가로서의 삶에 대해 이야기했다. 행사를 찾은 한 참가자는 “『어서오세요, 휴남동 서점입니다』가 제 인생을 바꿔놓았다”는 소감을 전하며, 책을 통해 위로와 힐링을 얻은 경험을 나누었다. ▲ 마닐라국제도서박람회 K-문학 부스한편 문화원은 마닐라국제도서박람회*에서 내셔널 북스토어와 협업하여 K-문학 홍보 부스(KCC Library)를 운영하였다. 내셔널 북스토어 전시장의 중앙에 위치한 K-문학 홍보 부스는 한국 도서를 직접 읽을 수 있는 작은 도서관과 좋아하는 글귀를 적어 공유하는 체험 존 등으로 구성되어 방문객들의 큰 인기를 얻었다. 특히 작은 도서관의 책 전시공간에서는 문화원 독서클럽 회원들의 짦은 책 소개를 함께 전시하여 한국 문학 작품을 더욱 친근하게 알렸다. 이와 함께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2024 대한민국 그림책상’의 수상작들도 소개하는 등 다양한 한국 도서를 필리핀 독자들에게 선보였다.* 마닐라국제도서박람회는 필리핀에서 가장 오래되고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도서 축제로, 2024년에는 200여개의 홍보 부스 설치했으며 최근 3년간 매년 약 16만 참가자들이 방문함. 김명진 문화원장은 “필리핀 내 한국문화에 대한 높은 인기에 힘입어 한국도서, 특히 K-문학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한국 문학을 필리핀 독자들에 소개할 수 있는 다양한 계기를 마련하겠다”라고 밝혔다. 주필리핀 한국문화원 | 2025.10.15
    상세보기
  • ‘느껴봐! 한국 전통춤의 Vibe: K-Dance 문화 속으로’

    ‘느껴봐! 한국 전통춤의 Vibe: K-Dance 문화 속으로’

    ‘느껴봐! 한국 전통춤의 Vibe: K-Dance 문화 속으로’- 주필리핀한국문화원, ‘2025 투어링 케이-아츠(Touring K-Arts)’ 한국 전통춤 강좌 진행▲강좌 참가자 단체사진지난 8월 30일, 주필리핀한국문화원(원장 김명진, 이하 ‘문화원’)은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에서 ‘느껴봐! 한국 전통춤의 Vibe: K-Dance 문화 속으로’ 강좌를 개최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과 함께 국내 우수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해외에 소개하기 위해 ‘2025 투어링 케이-아츠(Touring K-Arts)’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되었다. 강연은 아테네오 한국학 프로그램(Ateneo Korean Studies Program)과 퀘존시티2 세종학당(Ateneo King Sejong Institute) 참여 학생 8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강연자로는 코리안 디아스포라 춤문화 연구자이자 중앙대 중앙사학연구소 연구교수인 양민아 교수가 함께했다. ▲이론 강연 장면▲전통춤 공연 장면특히 이번 강좌에는 전통춤에 대한 역사 등 이론 강의뿐만 아니라 부채춤, 태평무 공연, 강강술래 체험 등 다양한 활동을 함께 구성하여 참여자들의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경험의 폭을 보다 넓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가자는 “역사에 대해 배우고, 실제 민속춤을 보고, 직접 체험해볼 수 있어서 한국 문화에 더 깊이 공감할 수 있었다. 특히 함께 춤을 추면서 춤의 공동체적인 측면을 잘 느낄 수 있었다.”며 참여 소감을 전했다.▲강강술래 체험에 함께하는 참가자들 (1)▲강강술래 체험에 함께하는 참가자들 (2)최근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이 급부상하고 있다. 앞으로도 문화원은 한국의 전통문화를 전파하기 위해 무용 및 음악 분야는 물론 체험, 놀이, 전통 회화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주필리핀 한국문화원 | 2025.10.15
    상세보기
  • 전통과 현대를 잇다, 주필리핀한국문화원 추석·한글날 기념 문화주간 ‘Protect the Honmoon’ 성료

    전통과 현대를 잇다, 주필리핀한국문화원 추석·한글날 기념 문화주간 ‘Protect the Honmoon’ 성료

    주필리핀한국문화원(원장 김명진)은 지난 10월 6일(월)부터 11일(토)까지 한국의 대표 명절인 추석과 한글날을 기념하는 문화주간 행사 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넷플릭스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한국 전통과 현대 문화를 결합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현지 참가자들의 높은 호응을 얻었다.▲ 추석·한글날 기념 포스터전통과 현대문화의 만남이번 행사는 추석이 지닌 가족·감사의 의미와 한글날이 상징하는 창의성과 정체성을 함께 조명했다. 동시에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혼문’을 문화적으로 재해석해 ‘혼문을 지킨다’는 것이 곧 한국의 문화와 전통을 지켜내는 것과 같다는 의미를 담았다. 각 프로그램을 통해 이러한 상징과 한국 문화의 가치를 동시에 체험할 수 있었다.주요 프로그램문화주간 동안 ‘매듭 장식 만들기’, ‘국악 클래스’, ‘한글 캘리그라피’, ‘민화 워크숍’ 등 네 가지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매듭 장식 만들기 체험 영화 속 주인공 루미가 진우에게 건넨 매듭 팔찌에서 착안해 한국 전통 매듭을 직접 만들어 보는 프로그램으로, 한국 공예의 섬세함과 상징성을 전했다. ▲ 매듭 장식 만들기 체험 국악 클래스 가야금, 판소리, 전통 무용을 결합하여 <케이팝 데몬 헌터스> 곡을 함께 감상하고 연주법, 전통 리듬과 춤을 배우는 프로그램이다. 익숙한 곡을 바탕으로 국악을 친근하게 배우며 전통 음악의 매력을 새롭게 느꼈다. ▲ 국악 클래스 한글 캘리그라피 워크숍 , 등 영화 수록곡의 한국어 부분 가사를 캘리그라피로 직접 쓰고 읽으며 의미를 탐구하는 프로그램이다. 한글의 조형미를 체감했다. ▲ 한글 캘리그라피 워크숍 까치호랑이 민화 워크숍 영화 속 캐릭터 더피(호랑이), 서씨(까치)과 전통문화의 연계를 이해하고, 작호도를 기반으로 민화를 직접 그려보는 프로그램이다. 전통미술의 상징성과 창의성을 확장했다. ▲ 까치호랑이 민화 워크숍 이번 추석 및 한글날 기념 문화주간 행사 는 총 177명이 참여했으며,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프로그램으로 현지 참가자들의 큰 관심을 모았다. 주필리핀한국문화원은 앞으로도 문화 교류의 장을 넓히고 한국 문화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알리는 활동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주필리핀 한국문화원 | 2025.10.15
    상세보기
  • 해피 추석 인 타일랜드 행사

    해피 추석 인 타일랜드 행사

    한국의 대표적인 명절, 추석인 10월 6일 문화원은 ‘해피 추석 인 타일랜드’ 행사를 개최했습니다. 추석의 대표적인 음식인 송편만들기 체험에 앞서 이선주 문화원장은 환영사를 통해 가을걷이의 풍요로움을 즐기는 한국의 추석 문화를 소개했습니다. 또한 지역마다 모양과 재료가 다른 송편들처럼 참가자들이 자유롭게 태국식 송편을 만들어보기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이날 송편만들기 워크숍 외에도 추석과 관련된 한국문화에 대한 지식을 겨룬 OX퀴즈대회, 송편 시식, 한복과 전통놀이 등 다양한 한국문화 체험 활동이 펼쳐졌습니다. 한국의 추석문화를 태국에서 함께 즐길 수 있어 특별한 시간이었습니다. 주태국 한국문화원 | 2025.10.15
    상세보기
  • 제13회 태국 왕실공주컵 국제태권도 대회 개최

    제13회 태국 왕실공주컵 국제태권도 대회 개최

    2025년 9월 27일 오전 10시, 박용민 주태국 대사와 이선주 문화원장은 마히돈대학교 살라야 캠퍼스에서 열린 ‘제13회 태국 왕실공주컵 국제태권도대회’ 개막식에 참석했습니다. 재태한인사범연합회와 재태국한인회 주최, 문화원 후원으로 진행된 이번 대회는 태국을 비롯한 각국 선수 및 관중 3,000여명이 한 자리에 모여 태권도의 인기를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개막식에는 김상진 아시아태권도연맹 회장, 이명식 세계한인태권도사범협회 회장, 젯 짠타라사남 태국 국방부장관 고문 등 많은 인사들이 참석해 자리를 빛내주었습니다. 박 대사는 축사에서 “태권도는 케이팝과 마찬가지로 전 세계에서 함께 즐기고 공유하는 공동의 것이 되었으며 단순한 무예를 넘어 평화와 존중의 철학이 담긴 세계인의 무형유산으로 발돋움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외에도 개막식에는 태국 전통공연과 신민원 소프라노의 노래, 다이나믹 태권도시범단 공연이 펼쳐져 행사의 열기를 더했습니다. 태권도를 매개로 한태 양국의 오랜 우호관계가 한층 더 발전하기를 고대합니다. 주태국 한국문화원 | 2025.10.15
    상세보기
  •  2025 대한민국대사배 베트남 전국 한국어 말하기 대회 결선 개최 

     2025 대한민국대사배 베트남 전국 한국어 말하기 대회 결선 개최 

    🥰 이번 주말 호치민시에서 개최되는 '2025 대한민국대사배 베트남 전국 한국어 말하기 대회' 결선 홍보영상을 소개합니다. 행사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날짜 : 2025년 10월 11일 (토), 오후 1시 30분📌 장소 : 호치민시 한국국제학교 가온홀 (Ho Chi Minh시, Tan My 동, Tan Phu 거리 21번) 🎊 대회 참가자들의 멋진 실력을 뽐낼 수 있도록 열정적으로 응원하고 싶은 분들을 환영합니다. 💜 응원하기 위해 참석하시는 모든 분들을 위한 다양한 기념품도 준비되어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https://youtu.be/QTBvv92xNBI 주베트남 한국문화원 | 2025.10.15
    상세보기
  • [찾아가는 K-컬처] 다낭외국어대학교와 협력하여 2025 사물놀이 공연 행사 개최

    [찾아가는 K-컬처] 다낭외국어대학교와 협력하여 2025 사물놀이 공연 행사 개최

    9월 30일(화), 주베트남한국문화원은 다낭외국어대학교와 협력하여 2025 사물놀이 공연 행사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한국과 베트남 양국의 전통 문화가 어우러진 다채로운 공연을 통해, 감동과 여운이 가득한 특별한 예술의 장이 되었습니다. 행사에는 한국 공연단 유희스카가 함께하여, 한국 전통 사물놀이 장단과 자메이카 스카·레게 리듬을 결합한 독창적인 무대를 선보이며 에너지 넘치고 매력적인 공연으로 관객들을 사로잡았습니다. 또한, 다낭외국어대학교 학생들이 준비한 다양한 무대가 이어졌으며, 그중에는 학생들의 사물놀이 공연도 포함되어 현장의 열기를 더하고 문화 교류의 장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었습니다. 주베트남한국문화원은 이번 공연을 통해 학생들이 한국 전통과 현대 문화의 조화를 더욱 깊이 이해하고, 뜻깊은 경험을 쌓는 시간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주베트남 한국문화원 | 2025.10.15
    상세보기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