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동영상

전체 148

페이지 11 / 15

  • KOREA, Beyond your Thoughts, Beyond your Senses - Wind

    KOREA, Beyond your Thoughts, Beyond your Senses: Wind

    대한민국 브랜드와 연계해 국가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해 해외문화홍보원이 제작한 영상입니다. 물, 빛, 흙, 바람 누구나 어디에서나 만날 수 있는 자연입니다. 그 자연에 창의를 담아 한국이 만들어지고 변화되고 있습니다. 자연에서 시작된 한국의 창의를 만나보세요 바람편입니다. [자막] What has made Korea what it is today? [자막] Wind [자막] Korean characters that perfectly balance simplicity and logic [자막] Wind... and colors that embody Asia’s picturesque beauty [자막] Wind, creates Korean culture [자막] Discovering something new in so many different areas, [자막] Korea is a nation that lives and breathes creative passion 2016.12.29
    상세보기
  • KOREA, Beyond your Thoughts, Beyond your Senses

    KOREA, Beyond your Thoughts, Beyond your Senses

    대한민국 브랜드와 연계해 국가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해 해외문화홍보원이 제작한 영상입니다. 물, 빛, 흙, 바람 누구나 어디에서나 만날 수 있는 자연입니다. 그 자연에 창의를 담아 한국이 만들어지고 변화되고 있습니다. 자연에서 시작된 한국의 창의를 만나보세요 [자막] What has made Korea what it is today? 오늘의 한국을 만든 건 과연 무엇일까요? [자막] 바람, 흙, 빛, 물, 불, 사람 Wind, Earth, Light, Water, Fire, People [자막] The journey to find the answer begins now 그 답을 찾기 위한 여정이 지금 시작됩니다 [자막] Korean characters that perfectly balance simplicity and logic 문자 속에 담긴 단순함과 과학성의 절묘한 조화 [자막] Wind... and colors that embody Asia’s picturesque beauty 바람으로 그리고 색감으로 완성한 한 벌의 동양화 [자막] A passion for innovation that has led to cutting edge technology 첨단 기술을 이끌어 낸 새로움을 향한 열정 [자막] Natural foods that are cultivated over time with care 시간으로 빚고 정성으로 완성한 자연의 음식 [자막] Korean entertainment that is enjoyed around the world 우리의 즐거움, 한국을 넘어선 세계의 즐거움 [자막] Korean athletes taking their place on the world stage 세계 최고의 자리를 지켜가는 한국의 스포츠 [자막] Unique creativity that has contributed to Korea’s prosperity and modern lifestyle 더 나은 삶을 만들어 내는 독특한 창의력 [자막] Wind, creates Korean culture 바람, 한국적인 아름다움의 원천 [자막] Earth, creates Korean technology 흙, 한국의 기술력이 태어난 곳 [자막] Light, creates Korean cuisine 빛, 한국 음식에 깃든 따듯한 정성 [자막] Fire, creates Korean passion 불, 한국인이 품은 열정의 꽃 [자막] Water, creates Korean spirit 물, 한국의 거침없는 도전정신 [자막] People, create Korean creativity 사람, 한국적 창의력의 시작 [자막]Discovering something new in so many different areas, 수많은 조화 속에 새로움을 찾아내는 나라 [자막] Korea is a nation that lives and breathes creative passion 한국은 창조적인 열정이 살아 숨쉬는 나라입니다. 2016.12.29
    상세보기
  • [휴먼스토리 'OURS'] Ep.14. 어느 멋진 날, 빅데이터

    [휴먼스토리 'OURS'] Ep.14. 어느 멋진 날, 빅데이터

    해외문화홍보원이 주요정책 소개를 위해 제작 지원한 아리랑TV의 휴먼 다큐멘터리 영상입니다. 2016.12.29
    상세보기
  • [휴먼스토리 'OURS'] Ep.13. 한식세계화, 어머니의 손맛

    [휴먼스토리 'OURS'] Ep.13. 한식세계화, 어머니의 손맛

    해외문화홍보원이 주요정책 소개를 위해 제작 지원한 아리랑TV의 휴먼 다큐멘터리 영상입니다. 2016.12.28
    상세보기
  • [휴먼스토리 'OURS'] Ep.12. 올림픽을 준비하는 사람들

    [휴먼스토리 'OURS'] Ep.12. 올림픽을 준비하는 사람들

    해외문화홍보원이 주요정책 소개를 위해 제작 지원한 아리랑TV의 휴먼 다큐멘터리 영상입니다. [자막] Pyeongchang Winter Olympics to draw global spotlight 세계인의 주목을 받을 평창 동계올림픽 [내레이션]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will draw the spotlight of the entire world. 세계인이 주목하는 평창 동계 올림픽 [자막] Extravagant techniques embroidering the Winter Olympics 동계 올림픽을 수놓는 화려한 기술 [내레이션] There are people who are working hard away from the public eye to make sure that everything goes perfectly at the Olympics when this extravagant event begins. 화려한 환호 뒤에서 올림픽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내레이션] There are people who are working hard away from the public eye to make sure that everything goes perfectly at the Olympics when this extravagant event begins. [내레이션] Shining supporting roles that make the stars stand out 그들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빛나는 조연 [현장음] It's a very meaningful event to me because of its publicity. It will be a wonderful opportunity to publicize Korean culture and art. 국민들에게 많이 알리는 이 행사가 저에게는 굉장히 의미가 깊고 한국의 문화 예술을 알리는 좋은 계기가 될 것 같습니다. [자막] Host of the Winter Olympics Pyeongchang, Gangwon-do Province 동계올림픽이 열릴 강원도 평창 [자막] Building a stage where world athletes are eager to compete 세계인의 꿈의 무대를 완성해갑니다. [내레이션] People building a stage where athletes from around the world are eager to compete... 동계올림픽, 그 꿈의 무대를 만들어가는 사람들 [현장음] 세계 선수들에게 보란 듯이 보여주는 것 그게 제 각오라고 할 수 있습니다. I am determined to proudly show off our Olympic venues to athletes from all over the world. [현장음] 제 2의 국가대표가 되겠다는 생각으로... I believe that what I do here is similar to representing my country. [자막] Hidden Heroes Representing Korea “ 제 2의 국가대표, 당신이 주인공입니다” [내레이션] The morning dawns in Pyeongchang. 평창의 아침이 밝아옵니다 [자막] Alpensia Cross-country Center 알펜시아 크로스컨트리 센터 [내레이션] At the cross-country center, everyone is busy preparing for the test event that is just around the corner. 크로스컨트리 경기장엔 코앞으로 다가온 테스트이벤트 준비에 모두들 여념이 없습니다 [자막] People preparing for successful hosting of Winter Olympics 성공적인 대회 개최를 준비하는 사람 [내레이션] A man is busy checking every detail in the work site. Aged 33, Mr. IM Ui-gyu was born and bred right here in Pyeongchang. 현장을 분주히 오가는 이 남자. 이곳 평창에서 낳고 자랐다는 평창토박이 33살의 임의규씨입니다 [인터뷰] 임의규 경기부/크로스컨트리종목담당관 IM Ui-gyu / Sport Department, Manager in charge of cross-country games 이 대관령이라는 곳이 한국 스키의 발상지인데 제가 다니던 초등학교가 전교생이 50명 밖에 안 되는 곳이었요 그런데 50명 중에 50명이 크로스컨트리스키를 탄다고 보면 되거든요 쉬는 시간에도 타고 , 점심시간에도 타고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타게 됐고 매일 매일 스키를 타는 게 너무 즐겁고 23년 동안 크로스컨트리 스키를 단 한 번도 벗거나 포기하거나 놓지 않았던 거 같아요 Daegwallyeong is the birthplace of Korean skiing. In my elementary school, there were only 50 students. But all 50 of them could cross-country ski. We would ski when we had free time and during lunchtime. It wa natural for us. We enjoyed skiing on a daily basis. I never once wanted to give up cross-country skiing over 23 years. [자막] A cross-country skier for 23 years Manager Im Ui-gyu 23년간 크로스컨트리 선수로 활약했던 임의규 매니저 [자막] Cross-country Skiing Skiing marathon on snow-covered terrain over courses of various lengths and heights 크로스컨트리 스키 : 설상 마라톤으로 평지, 언덕, 내리막으로 이루어진 코스를 주행하는 종목 [내레이션] Once an active cross country skier, he no longer participates in competitions. It's a reason the upcoming Olympics has a special 한때는 경기장을 거침없이 누비던 선수였지만 지금 그가 서있는 곳은 경기장이 아닙니다. 그래서 의규씨에게 이번 올림픽은 더욱 남다른 의미가 있습니다. [인터뷰] 임의규 경기부/크로스컨트리 종목 담당관 IM Ui-gyu / Sport Department, Manager in charge of cross-country games Q. 선수가 아닌 매니저로 일하게 된 계기? ( 제가 있던 ) 지역에서 올림픽이 개최가 됐구요. 크로스컨트리 종목 저변 확대와 발전을 위해서 매니저로 일하게 됐습니다. What motivated you to become a manager? The next Winter Olympics will take place in my hometown. I want to expand the horizons of cross-country skiing and promote this sport. [자막] Alpensia Cross-country Center 알펜시아 크로스컨트리 센터 [내레이션] This is the venue of test events that will be held ahead of the Winter Olympics. 정식 올림픽 개최 전에 열리는 테스트 이벤트 경기가 예정 된 이곳 [내레이션] Because he had been an athlete himself, he knows what they need, so he is more meticulous in his preparations. 선수생활을 경험했고 선수들의 입장을 잘 알기에 그의 준비는 세심할 수 밖에 없습니다 [자막] Test Events Events held to check the preparedness of game venues and raise public awareness of winter sports 테스트 이벤트 : 올림픽 개막에 앞서 대회 시설과 운영 등의 사항을 점검하고 동계 종목의 국민적인 관심을 끌어올리는 의미에서 열리는 경기 [인터뷰] 임의규 경기부/크로스컨트리종목담당관 IM Ui-gyu / Sport Department, Manager in charge of cross-country games 제가 올림픽을 선수로 준비할 때는 저만 잘하면 됐었고 제 성적만 내면 됐었는데 이제 스포츠 매니저로서 올림픽을 준비하다 보니까 선수들 입장에서도 준비해야 되고 그 선수들을 담당하는 모든 사람들의 입장을 생각해야 되는 것도 있고 그래서 최선을 다하고 있고 사명감도 상당히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When I prepared for Olympic games as an athlete, I only had to care about my own performance. But as a sports manager, I must prepare from the standpoint of athletes as well as from the standpoint of people who manage the athletes. That's why I do my best and feel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자막] Cross-country test event to be held in February 2017 2017년 2월 ,크로스컨트리 테스트 이벤트 개최 [내레이션] One of Mr. Im's responsibilities is to meticulously check the venue in preparation for the cross country test event. 크로스컨트리테스트 이벤트를 대비해 경기장을 세심하게 체크하는 것도 그의 몫입니다. [자막/ 현장음] 팀장님 안녕하세요. 적어도 13일 전에는 해야 할 것 같은데 가능하시겠어요? 2.5km Hello, sir. We must finish this by the 13th. Can you finish the 2.5km section by then? [자막/ 현장음] 2.5km는 가능하지 Sure. [내레이션] The best quality of snow leads to a safe and competent athletic performance. 최상의 설질은 안전하고 좋은 경기력으로 이어집니다 [인터뷰] 김현장 / 2018 동계올림픽 제설 팀장 KIM Hyeon-jang / Manager of snow clearing team, 2018 Winter Olympics 동계올림픽이다 보니 가장 중요한 것이 경기장인데 눈과 관련된 부분들이 때문에 최상의 설질을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보입니다. Game venues must be in excellent condition when it comes to winter sports, which involve snow. The quality of snow is crucial. [인터뷰] 이홍재 경기국장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회 LEE Hong-jae / Director, Sports Bureau, Pyeongchang Winter Olympics Organizing Committee 2018 동계올림픽 대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서 프리 올림픽 게임이라고 하는 종목별 테스트 이벤트를 하고 있습니다. 테스트 이벤트는 숙소운용 , 수송, 경기진행을 통해서 문제점을 찾아내고 그 문제점을 해결해서 본 대회에서는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We hold pre-Olympic test events for each Olympic event to ensure a successful hosting of the 2018 Winter Olympics. Test events are aimed at identifying problems in lodging facilities, transportation and game hosting, and solving them to eliminate any obstacles. [자막] Test Event Calendar 테스트 이벤트 경기일정 Snow-boarding November Short-track December 2016 스노보드 11월 쇼트트렉 12월 Test Event Calendar 테스트 이벤트 경기일정 Cross-country February Nordic Combined February Freestyle Snow-boarding February 2017 크로스컨트리 2월 노르딕복합 2월 프리스타일 스노보드 2월 [자막] Pyeongchang Organizing Committee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자막] Test events began in November 2016 484 athletes from 47 countries to participate in 5 competitions 2016년 11월부터 시작된 테스트 이벤트 총 5개 대회, 47개국 484명의 선수 참여 [내레이션] 484 athletes from 47 countries will participate in five test events, which began in November 2016 and will last until February 2017. 지난 11월부터 시작되어 2017년 2월까지 이어진 테스트 이벤트는 총 5개 대회 47개국 484명의 선수들이 참여합니다. [내레이션] It takes the efforts of many people to make sure that the test events proceed smoothly. 이 테스트 이벤트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해 참 많은 사람들이 밤낮을 가리지 않고 준비 중이죠 [인터뷰] 니콜라이 벨로크린킨(Nikolay Belokrinkin)/ 경기부/ 알파인스키종목 담당관 Nikolay BELOKRINKIN / Sport Department, Manager in charge of alpine skiing 제 생각에 우리는 모두 잘 해내고 있고 훌륭히 경기를 치러낼 수 있도록 모든 것이 준비될 것입니다. [인터뷰] 제가 선수 출신이기도 해서 그런지 모든 포커스가 선수들이 정말 즐길 수 있고 안전하게 최선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는 그런 대회를 준비하고 만드는 게 저의 가장 큰 목표이고 다짐입니다. As a former athlete, I focus on organizing the games in a way so that athletes can enjoy them and show off their skills without suffering injuries. That's my primary goal. [내레이션] Pyeongchang busy preparing with utmost care to receive visitors 빈틈없는 손님맞이 준비에 분주한 평창 [자막] Stadium wher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will open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열리게 될 경기장 [자막] Athletes participating in test events 테스트 이벤트에 참가할 선수들 [내레이션] Athletes who will participate in the test events arrive at the stadium. Im's hidden efforts will prove its worth. 테스트 이벤트에 참가할 선수들이 경기장에 도착했습니다. 의규씨의 숨은 노력들이 이제 곧 빛을 보겠죠? [인터뷰] 임의규 경기부/크로스컨트리종목 담당관 IM Ui-gyu / Sport Department, Manager in charge of cross-country games 대회가 한 5일 정도 남았어요 선수들이 오늘 첫 훈련을 시작했는데 훈련하기 상당히 좋은 설질인 것 같고, 대회하기에는 더없이 좋은 설질인 것 같습니다. Five days are left before the event. The athletes began training today. The quality of the snow is ideal for training. It's perfect for holding games. [내레이션] The cross-country athletes went through intense training in the summer to prepare for the winter in Pyeongchang. 크로스컨트리 선수들에게는 평창의 겨울을 준비했던 혹독한 여름훈련이 있었습니다. [자막] Athletes train hard in summer as well 여름에도 쉬지 않는 선수들 [자막] Managers' efforts to create prime conditions for athletes 선수들을 위한 매니저의 노력 [내레이션] Cross-country athletes continue to train hard even in summer, when there is no snow. 눈이 없는 여름에도 연습을 멈추지 않았던 크로스컨트리 선수들 [내레이션] Their effort and passion have a very special place in Mr. Im's heart as a former member of the national cross country ski team. 그들의 노력과 열정은 제2의 국가대표 의규씨의 가슴 깊숙한 곳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인터뷰] 임의규 경기부/크로스컨트리종목 담당관 IM Ui-gyu / Sport Department, Manager in charge of cross-country games 선수로서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참가하지는 못하지만 정말 제2의 국가대표가 됐다는 그런 마음가짐으로 최선을 다해서 올림픽을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Although I cannot compete in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s an athlete, I'll do my best as a hidden representative of my country to organize the games. [자막] Seoul, Korea 서울(대한민국) [자막] Gwanghwamun Square, Seoul 서울 , 광화문 광장 [내레이션] After another colorful and busy day, darkness falls in downtown Seoul. 화려했던 낮의 모습을 뒤로하고 서울도심 에 어둠이 내립니다. 그리고 서울의 낮 모습만큼 화려한 밤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내레이션] These are those people. What could they be preparing for? 바로 이 분들인데요, 지금 준비하시는 게 무엇일까요? [자막] Media facade artists looking nervous 긴장된 모습의 미디어 파사드 아티스트 [내레이션] The two men appear quite nervous. Their hands busily work the equipment. 두분 얼굴에 긴장된 표정이 역력 하고 손길은 더욱 바빠지고 있습니다. [자막 / 현장음] 오늘은 그래도 조명이 많이 꺼져 가지고 왜냐면 색이 어떻게 나오는지 모르니까 Many lights are off today. You never know how the colors will come out. [자막 / 현장음] 자, 이제 시작합니다. Let's begin. [자막] Media facade show staged on tall building 고층 건물을 캔버스 삼아 펼쳐지는 미디어 파사드 [내레이션] [내레이션] It's a media facade performance. A media facade show is staged on a tall building in Gwanghwamun serving as a digital canvas. 미디어파사드 공연입니다. 광화문의 고층건물을 디지털캔버스로 삼아 비춰지는 미디어 파사드 [자막] Media Facades Combination of words "media" and "facade" Media performances staged on exterior surface of buildings 미디어 파사드 [ Media Facade ] 미디어(media)와 건물의 외벽을 뜻하는 파사드(facade)가 합성된 용어 건물의 외벽에 다양한 콘텐츠 영상을 투사하는 미디어 공연 [인터뷰]이정교 교수 / 미디어파사드 아티스트 LEE Jeong-gyo / Professor, Media facade artist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500일 전에 평창 올림픽 홍보를 하고 많은 국민들과 세계인들이 세계의 축제에 참여하는 것을 유도하고자 했으며 We want to publicize the 2018 Pyeongchang Olympics 500 days before the games, and invite many citizens and people from around the globe to take part in this global festival. [자막] Unified passion 하나 된 열정 [자막] Three primary colors of light 빛의 삼원색 [자막] Korean folk paintings 한국의 전통 민속화 [자막] Olympic images and symbols 올림픽 이미지와 상징들 [자막] Media facade show sending a message of hope for the Olympics 올림픽 희망을 전달하는 미디어파사드 [내레이션] The video images flashing on the building catch the eyes of passers-by. They send a message of hope for the upcoming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It's a culture olympic that everyone enjoys. 어둠이 내린 거리에 불을 밝힌 미디어 파사드 공연은 길 가던 사람들의 걸음을 멈추게 하고 곧 다가올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의 희망을 전달했습니다. 문화로 모두가 함께 즐기는 문화올림픽 [자막] Arts celebration enjoyed with citizens 시민과 함께 즐기는 예술축전 [자막] Media facade show sending a message of hope for the Olympics 올림픽 희망을 전달하는 미디어파사드 [자막 ] IOC, 「Cultural Olympiad Guide」Cultural Olympiad Multi-platform program featuring culture, entertainment, festivals and educational activities for people in the host-country and around the world to promote Olympic values 문화올림픽이란? 올림픽 가치를 통해 개최국 및 세계의 사람들이 참여하게 되는 문화, 엔터테인먼트, 축제, 교육활동을 포함하는 멀티 플랫폼 프로그램. [인터뷰] 박지수 / 경기도 양평 관객 PARK Ji-su / Gyeonggi-do Prov. resident 그동안 평창 올림픽 관심 많았다가 바빴다고 좀 잊고 있었는데 평창 올림픽이 이제 500일 전이라고 해서 다시 한번 기대를 많이 하게 되고 I forgot about the Pyeongchang Olympics because of my busy schedule. But this has reminded me that the games are just 500 days away. I look forward to the Olympics. [자막 / 인터뷰] 조애리 / 서울 평창동 JO Ae-ri / Seoul resident 다양한 장르의 영상을 볼 수 있어서 좋았고, 평창동계올림픽 잘 됐으면 좋겠습니다 It was good to see various genres of images. I hope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goes well. [인터뷰] 이정교 교수 / 홍익대 미디어파사드 아티스트 LEE Jeong-gyo / Professor, media facade artist, Hongik University 본 전시를 통해서 평창 올림픽을 세계에 알리고 한국의 문화 예술을 알리는 좋은 계기가 될 것 같습니다. This show is a good opportunity to publicize the Pyeongchang Olympics and Korean culture and art to the world. [자막] People organizing 2018 Winter Olympics 2018년 동계 올림픽을 준비하는 사람들 [내레이션] People working hard, away from the public eye, to prepare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The efforts and passion of these people will make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 success. 보이지 않는 곳에서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을 준비하는 사람들 이들의 노력과 열정이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을 만듭니다. [내레이션] The 2018 Winter Olympics represent the energy of Korea. 2018년 동계올림픽은 대한민국의 에너지입니다 [내레이션] The 2018 Winter Olympics symbolize a fresh start in life. 2018 동계 올림픽은 제 2의 출발점이다 [자막] Unified passion You are the hidden national representatives. 하나된 열정 당신이 제2의 국가대표입니다. -ours 2016.12.28
    상세보기
  • [휴먼스토리 'OURS'] Ep.11. 전통을 빚고 마신다, 미마지

    [휴먼스토리 'OURS'] Ep.11. 전통을 빚고 마신다, 미마지

    해외문화홍보원이 주요정책 소개를 위해 제작 지원한 아리랑TV의 휴먼 다큐멘터리 영상입니다. [내레이션] Gongju, a city where the spirit of Baekje lives and breathes.. 백제의 옛 숨결이 살아있는 도시, 공주 [자막] Gongju, home to Gongsanseong Fortres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인터뷰] 외국 관광객 공주는 정말 아름다운 도시예요, 경치는 놀라울 정도죠 [내레이션] This bucolic place attracts many people who want to discover the old taste and hear old stories. 옛 맛과 옛 이야기를 찾아 한적한 그 시골로 찾아드는 이들이 있습니다. [내레이션] People flocking to this bucolic place in search of traditions 그곳의 옛 이야기를 찾아 한적한 시골까지 찾아드는 사람들 [내레이션] Special taste and charm 그곳에 가면 특별한 맛과 멋이 있다 [인터뷰] 일본 관광객 건강까지 생각한 음식이라 정말 맛이 있습니다. It's very delicious because it's healthy. [내레이션] They are all fascinated by its timeless food. 그들을 매료시킨 건 시간을 담은 밥상 하나. [내레이션] Do Young-mi The messenger of traditional taste and culture 전통의 맛과 문화를 계승하고 있는 도영미씨 [인터뷰] DO Young-mi / CEO, Mimaji 도영미 미마지 대표 음식도 문화지 않습니까. 이 지역의 문화라든가 우리가 살고 있는 모습 자체가 이 지역의 삶을 보여주는 거니까 Food is also part of our culture. It represents local culture and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내레이션] The long-forgotten traditional taste awakens us. 잠자던 전통의 맛이 지금 우리를 깨웁니다. [내레이션] Creating Traditions with Food -- Farm Restaurant 맛으로 전통을 빚다, 농가맛집 [자막] 충남 공주시 의당면 Gongju, Chungcheongnam-do Province [내레이션] The serene farm soon becomes packed with customers who have come from afar. Today's guests are members of a club led by a Japanese medicinal food expert. 조용하던 농가가 분주해지고 금세 먼 곳에서 온 손님들로 가득 찹니다. 오늘 이곳을 찾은 이들은 일본의 약선요리 전문가가 이끄는 모임인데요 [인터뷰] 신카이 미야코 (약선요리 연구가) Miyako SHINKAI / Medicinal food expert 도영미 선생님은 밭에서 직접 음식 재료를 기르고 또 요리를 대하는 자세와 마음이 고스란히 음식에 반영돼 있어서 참 마음에 듭니다. I like Ms. Do's food because she cooks it using home-grown ingredients. Her attitude toward food can be felt in the food she serves. [내레이션] The origin of healthy meals served at this place and made with locally grown organic ingredients dates back to the time when Ms. Do Young-mi got married. 유기농 로컬푸드로 만드는 건강한 밥상, 그 시작은 운명과도 같은 결혼이었습니다. [내레이션] Farm Restaurant Farming-style dining business combining local cuisine and culture to generate profits in addition to farming 농가맛집 농업인의 농외소득 창출을 위해 향토음식과 지역문화를 접목하여 상품화한 농촌형 외식사업장 [내레이션] She worked as a flight attendant before she got married. She learned how to cook noble food from her grandmother-in-law. But serving that food to customers turned out to be a challenge. 스튜어디스로 일하다 심씨 가문의 맏며느리가 된 도영미씨. 시할머니로부터 직접 반가의 음식들을 배웠는데요. 하지만 그 밥상을 세상에 내놓는 일은 또 다른 문제였죠. [인터뷰] 도영미/ 미마지 대표 DO Young-mi / CEO, Mimaji (종갓집이라) 집안 손님들이 오시니까, 어르신들을 대접해 드리기 위해서 배운 음식들이었기 때문에 영업으로 갈 수 있는 그런 준비가 안 되어 있어서 참 당황스러운 일들이 사실 많았어요. I learned how to cook in order to serve elders who visited our family. I wasn't prepared to run a business, which resulted in many perplexing incidents. [내레이션] It took Ms. Do about ten years to learn how to run a restaurant. It would have been even harder without the support of her family, who was always there for her through thick and thin. 일일이 발품 팔아가며 자리 잡기까지 10여 년. 사실 가족이 없었다면 더 힘들었을 이야기죠. 체면치레 하지 않고 도와준 가족은 그 무엇보다 든든한 지원군이었습니다. [인터뷰] 심하용(남편) SHIM Ha-yong / Husband 남하고 하는 것보다는 가족끼리 하는 게 좋죠. It's better to do this with your family than with a total stranger. [내레이션] The simple yet healthy taste of food prepared by Ms. Do soon began to draw tourists from Korea and abroad. 소박하지만 단단한 전통의 맛, 오래지 않아 그 맛은 국내외 관광객들을 불러 모았는데요. [내레이션] Her ideas resulted in menus that captivated customers. 그 속에 농가맛집의 주인, 도영미씨의 아이디어도 새롭게 더해졌습니다. [인터뷰] 요시코(일본) Yoshiko / Japan 일본에서는 생밤 먹을 기회가 없어서 여기 밤 음식들이 다 맛있네요. We don't eat chestnuts much in Japan, but they taste good here. [내레이션] She decided to use local produce to make her restaurant stand out. 바로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승부수였죠. [인터뷰] 도영미/ 미마지 대표 DO Young-mi / CEO, Mimaji 농촌에서는 1차 생산물 가지고는 사실 수익을 만들어 내기가 정말 어려워요 아주 큰 농사 규모가 아닌 이상은요.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을 되게 많이 했어요. To be honest, it's difficult for farms to make a profit with primary produce only, unless you have a really big farm. I thought a lot about ways to enhance added value. [내레이션] Gongju has been long well-known for its superb chestnuts. The love for local chestnuts helped this farm restaurant develop a new program for tourists. 예로부터 유명한 공주의 밤, 그 밤에 대한 애정은 농가맛집의 새 방향이기도 했습니다. [인터뷰] 도영미/ 미마지 대표 DO Young-mi / CEO, Mimaji 지역에서 많이 있는 것을 활용하면 좋잖아요 밤 껍질에서 좋은 물이 많이 나온다는 걸 알게 됐어요 그걸 가지고 염색을 한 번 해보자 해서 체험 프로그램으로 시작을 했는데... It's good to make use of local produce. I learned that chestnut shells can be used as dye. So we launched a natural dye program for tourists. [내레이션] Despite worries, the response from customers turned out to be better than expected. 기대 반 걱정 반으로 시작한 일은 의외로 반응이 좋았는데요. [내레이션] Chestnuts not only taste good inside, but their shells are also good for your health. We're going to dye handkerchiefs using chestnut shells. 밤 알맹이를 먹는 것도 좋지만 껍질도 굉장히 (몸에) 좋습니다. 손수건으로 직접 염색을 해 보실 겁니다. [내레이션] The synergistic effect of local produce, food and culture was enormous. Many people come here these days on familiarization tours in efforts to develop a tourism program centered on this place. 지역 농산물과 음식과 문화의 만남, 그 시너지는 대단했습니다. 지금은 이곳 중심의 관광코스를 개발하기 위해 팸투어를 오는 이들도 많은데요. [인터뷰] 유달선(관광가이드 팸투어 참가자) YU Dal-seon / Tour guide, participant of familiarization tour 우리나라 사람들이 와도 괜찮을 것 같고 외국인들도 당연히 괜찮을 것 같고요 이런 것을 할 수 있는 곳이 많이 없으니까요 This is a nice place for domestic tourists and even better for foreign tourists. There are few places where you can try this. [내레이션] In other words, it has become a new model for rural tourism. 한마디로 농촌관광의 새로운 모델이 된 것이죠. [인터뷰] 체험자 너무 내실이 있어서 대만족입니다 I like it a lot. It's very rewarding. [내레이션] This restaurant also features a folk museum. It is part of the cultural heritage that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Seeing a restaurant and a folk museum together is quite unusual. 맛집 한켠에는 민속극박물관도 있습니다. 대대로 내려온 또다른 유산인데요. 맛집과 박물관의 더부살이, 좀 독특하죠? [자막] Gongju Folk Museum 공주민속극박물관 [인터뷰] 심하용(남편, 공주민속극박물관 관장) SHIM Ha-yong / Husband, Curator of Gongju Folk Museum 우리의 문화, 그리고 우리의 삶, 우리의 먹거리... 이런 것들을 다 세상에 보여주고 자랑하자는 뜻이 있기 때문에 그 일부분이 박물관이라고 해도 전혀 이상할 것 없고 낯설지 않은 개념이라고 생각합니다. We want to show and publicize to the world our culture, life and food. One of the ways to do so is through a museum, which is not strange or unfamiliar at all. [인터뷰] 그레이스 말린 디나타 (인도네시아) Grace Marlyn DINATA / Indonesia 도영미 대표님과 관장님이 맛집뿐 아니라 많은 예술품이 있는 박물관도 정말 잘 만드셨네요 [내레이션] Farm restaurants are no longer the primary consumers of agricultural produce, but the leaders of the promising senary industry. 농가맛집은 이제 1차 농산물의 소비자가 아니라 희망을 여는 6차 산업의 선도자가 되었는데요. [내레이션] The senary industry is a combination of the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It refers to farms, which only used to cultivate produce, expanding their business areas to the service sector to generate higher added value. 6차 산업은 1,2,3차 산업이 합쳐진 산업을 뜻합니다. 농산물을 생산만 하던 농가가 서비스업으로 확대돼 높은 부가가치를 만드는 것을 의미하죠. [자막] 1차 산업 Primary Industries 농산물 생산 Agricultural production 특산물 생산 Specialties production 기타 유 무형 자원 Other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자막] 2차 산업 Secondary Industries 식품제조 가공 Foodstuff production and processing 특산물제조 가공 Specialties production and processing 공산품 제조 등 Industrial goods production, etc. [자막] 3차 산업 Tertiary Industries 유통판매 Distribution and sales 체험 관광 축제 Experience events Tourism Festivals 외식 숙박 컨벤션 Restaurants Lodging Conventions 치유 교육 등 Healing Education, etc. [자막] 6차 산업 Sixth Industries 지역경제 활성화 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부가가치 증대 Increase of added value 공동체 회복 및 생산적 복지 Restoration of community and productive welfare [내레이션] Ms. Do has successfully transformed her business into the senary industry with the help of a special place. 6차산업으로 성공적인 변신을 한 도영미씨, 그 속에는 숨은 조력자가 있다는데요. [인터뷰] 도영미/ 미마지 대표 충남연구원에 6차산업센터가 있어요 거기서 회의가 있어서 참석하러 가는 거예요. There is a senary industry center at the Chungnam Institute. I'm on my way there to attend a meeting. [내레이션] This center, which exists in every region of Korea, helps farmers enter the senary industry. 지역별로 마련돼 있는 센터에서는 농가의 6차 산업 전환을 돕고 있는데요. [인터뷰] 권오성(충남연구원 농어업6차산업화 센터장) KWON Oh-sung / Director, Senary Industry Support Center, Chungnam Institute 농림축산식품부의 위탁을 받아서 ‘6차 산업 사업자인증’이라고 하는 그런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심사를 통해서 선정될 수 있도록 도와드리고 있구요, 전문가를 지원하는 ‘현장코칭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저희가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We have a program commission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o certify senary industry farmers. We help select them through screening. We also support a field coaching program involving experts. [자막] 6차산업 유통활성화 사업 매출현황 Revenue Table of Senary Industry Circulation Promotion Business Antenna Shop 288,394(2015) / 806,233(2016) Special Sales Project 168.215(2015) / 339,696(2016) Government Expo 19,131(2015) / 260,801(2016) 2015 Total 475,740 2016 Total 1,406,730 자료출처 : 충남도청 Source: Chungnam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내레이션] Thanks to the efforts of Ms. Do to publicize traditional food and the proact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his farm restaurant has grown steadily. 전통의 맛과 멋을 알리려는 도영미씨의 노력과 정부의 지원은 잘 맞물려 농가맛집은 꾸준한 성장을 해왔습니다. [내레이션] Last year, its popularity soared after historic relics of the Baekje Kingdom were inscribed on the UNESCO World Cultural Heritage list. 그리고 작년... 지역의 백제 유적들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면서 도영미씨의 바람은 조금 더 커졌는데요 [내레이션] Together, the well-preserved local cuisine and culture have the power to impress the world. 잘 이어온 향토 음식과 문화는 어쩌면 세계를 사로잡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 [자막] Gongju Gongsanseong Fortress (UNESCO World Heritage) Built during the Baekje period, measures 2,450m in circumference. Features beautiful structures (Jinnamru, Gongbukru, Yeonji) and a pond. Inscrib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in 2015 alongside Baekje relics in Buyeo and Iksan. 공주 공산성(유네스코 세계유산) 백제시대 세워진 산성으로 총 둘레 약 2450m. 진남루, 공북루, 연지 등 아름다운 건축물과 연못이 남아있는 유적으로 부여, 익산의 백제 유산과 함께 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 [자막] 공주 송산리 고분군(유네스코 세계유산) 백제시대 왕과 왕족들의 무덤이 모여 있는 곳. 무령왕릉으로 대표되는 고분들에서는 화려한 백제의 유물들이 출토돼 그 사료적 가치가 높은 유적으로 부여, 익산의 백제 유산과 함께 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 Gongju Songsan-ri Royal Tombs (UNESCO World Heritage) Tombs of Baekje kings and royal families. Represented by King Muryeong's tomb. Contain priceless Baekje relics. Inscrib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in 2015 alongside Baekje relics in Buyeo and Iksan. [내레이션] What's especially exciting is the growing interest among young people. 더욱 더 반가운 건 젊은 청년들의 관심입니다. [자막] 농림축산식품부 현장실습교육장(WPL) Workplace Learning of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농업인, 농고, 귀농희망자 등에게 맞춤형 현장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Customized program designed to train farmers, students at agricultural high schools and people who want to start their own farms in rural areas [인터뷰] 권서린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2학년 GWON Seo-rin / Student, Gongju Life Science High School 다른 애들은 이 나이 때 이런 거 못하잖아요. 공주 특산물을 이용한 상 차리는 것도 배우고 그래서 좀 더 의미가 있는 것 같아요 다른 가게들보다. Few of my peers have this opportunity. I can learn how to cook using the local produce of Gongju. It's more meaningful than programs offered in other places. [내레이션] Food has become a part of culture. If the power of traditions can change today's farms, they may also be able to build a more hopeful future. 밥상은 문화가 되었습니다. 그 전통의 힘이 오늘의 농가를 바꾸고 있다면 내일의 희망도 열어갈 수 있지... 않을까요... [인터뷰] 도영미/ 미마지 대표 DO Young-mi / CEO, Mimaji 우리 지역에 있는 거, 또 우리 문화를 알리는 역할이라고 저는 정말 생각해요 누군가는 꼭 해야 되는 일이고 근데 그 일이 저는 정말 재미있거든요 이 일을 저는 계속 할 거고 많은 분들이 공유하면 좋겠다 생각합니다 I believe that my role is to publicize my region and its culture. Someone must do it, and I really enjoy it. I want to continue doing it. I hope that many people will share their experience received on my farm. [자막] Farm Restaurant A new future opened through traditions 농가맛집, 전통으로 여는 새로운 미래입니다 -OURS 2016.12.28
    상세보기
  • [휴먼스토리 'OURS'] Ep.10. 희망을 싣고 달린다, 푸드트럭

    [휴먼스토리 'OURS'] Ep.10. 희망을 싣고 달린다, 푸드트럭

    해외문화홍보원이 주요정책 소개를 위해 제작 지원한 아리랑TV의 휴먼 다큐멘터리 영상입니다. [내레이션] Flavors that delight people's palates gather in one place. 사람들의 입맛을 사로잡는 행복한 맛이 모입니다. [자막] Diverse food cooked by top chefs 최고의 쉐프들과 다양한 음식들이 모였다 [인터뷰] 모든 음식이 맛있어 보이네요 [내레이션] This place celebrates the joy of togetherness. 함께하는 즐거움도 가득합니다. [자막] Venue of cultural events and performances 그곳에 가면 문화와 공연이 있다 [인터뷰] 많은 사람들이 왔으면 좋겠어요. 여기는 재미있고 귀가 즐겁네요 [내레이션] It's a place of young burning passion......where only the sky is the limit. 그곳에서, 청춘의 열정은 철판보다 뜨겁다고 외치고 ! 청춘엔 브레이크가 없다며 달리는 이들 ! [자막] Delights for the palates and the eyes 먹고 보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곳 [인터뷰] 넘치는 에너지를 쏟을 곳이 필요했는데.. I needed a place to release my explosive energy. [인터뷰] 내가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을 한꺼번에 만족시킬 수 있는 This is where I can show what I like and what I'm good at. [내레이션] This is a story of young people who are eager to discover hope, as they carry their dreams in their small trucks. 한 평 공간에 꿈을 싣고. 희망을 달리는 청춘들의 이야깁니다. [자막] Discovering Hope in Trucks Full of Dreams 한 평의 꿈, 희망이 달린다 ! [자막]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동 Gangseo-gu, Seoul [내레이션] Every morning, a young man drives his truck in this residential neighborhood in Seoul. 서울의 한 주택가. 매일 아침 트럭을 몰고, 골목길을 나서는 청년이 있습니다. [내레이션] He is Ju-ram, the owner of a food truck, known as a "mobile restaurant." 주람씨는 달리는 맛집, 푸드트럭 사장님입니다. [자막] “스타트럭이 되는 그날까지 달린다” Running until my truck becomes a star [자막] 푸드트럭 2년차, 청년반점 대표 정주람 2 years of food truck experience, owner of Cheongnyeon Banjeom Jeong Ju-ram [현장음] 사장님, 청년반점인데요~ Hello. This is Cheongnyeon Banjeom. [내레이션] Ju-ram delved into this business, full of hope, two years ago. 설레임을 안고 시작한 도전! 이 길을 달린지도 벌써 2년입니다. [인터뷰] 정주람 / 푸드트럭 청년반점 대표 JEONG Ju-ram / Owner of Cheongnyeon Banjeom Food Truck 엄청 설레었죠. 진짜 내가 이걸 몰아서 가서 돈을 진짜 벌 수 있을까. 걱정도 많았고 I was very nervous at first. I worried a lot over whether I would make money by doing this. [내레이션] He has been driving his truck toward his dreams all along. As always, he begins his day by buying ingredients. 꿈을 향해 달려온 시간들~ 오늘도 그의 아침은 장보기로 시작됩니다. [강서구] 강서농산물도매시장 / 서울시 강서구 Gangseo Agricultural Wholesale Market / Gangseo-gu, Seoul [현장음] 안녕하세요~ Hello. 좋은 걸로 주세요~ Give me the freshest produce, please. [내레이션] No matter how tired or busy he is, Ju-ram makes sure to buy the freshest ingredients possible. Perhaps that's why his food truck is so popular. 아무리 힘들고 바빠도, 00130 레몬 고르는 신선한 재료를 고집해온 덕분에 주람씨의 푸드트럭은 늘 인기만점입니다. [인터뷰] 정주람 / 푸드트럭 ‘청년반점’ 대표 JEONG Ju-ram / Owner of Cheongnyeon Banjeom Food Truck 사용량이 생각보다 많아요 그날그날 사야 가장 싱싱하니까 아침에 일찍 나오죠 I use more ingredients than I expect. I have to buy fresh ingredients every day. So I come here early in the morning. [인터뷰] 황정희 / 상인 HWANG Jeong-hee / Vendor 젊고, 패기 있고 성실하고. 아주 똑 부러지죠. He's young, passionate and diligent. He's good at what he does. [내레이션] To Ju-ram, the food truck business was an opportunity. He quit his job, and decided to take a more difficult path. 주람씨에게 푸드트럭은 기회였습니다. 잘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고생도 자청했습니다. [인터뷰] 정주람 / 푸드트럭 ‘청년반점’ 대표 JEONG Ju-ram / Owner of Cheongnyeon Banjeom Food Truck 회사 생활에 좀 지칠 때 내 사업을 해보자는 생각이 있었는데 가진 돈이 2천만 원 남짓 밖에 없었어요 할 수 있는 게 많지 않더라구요. 그래서 알아보던 찰나에 푸드트럭이 활성화가 됐다고 해서 (시작하게 됐어요) When I grew tired of working for a company, I wanted to start my own business. But I only had around US$ 17,000. There wasn't much I could do with that money. Then, one day, I learned about food trucks, and decided to go for it. [자막] 여의도 한강공원 물빛광장 / 서울시 영등포구 Mulbit Square, Hangang Park, Yeouido / Yeongdeungpo-gu, Seoul [내레이션] Three times a week, Ju-ram visits a special place. 일주일에 3번 주람씨의 푸드트럭이 달려가는 곳이 있습니다. [내레이션] All kinds of food trucks arrive one by one, catching people's eyes. To food trucks, this place is like a dream-come-true. 사람들의 시선을 끌며 개성 넘치는 트럭들이 하나 둘 모여드는 이곳, 푸드트럭에겐 꿈의 무대라는데요~ [내레이션] Ju-ram earned a spot here by winning a fierce competition. 치열한 경쟁을 뚫고 입성한 주람씨의 일터입니다. [자막] 서울밤도깨비 야시장 Seoul Bamdokkaebi Night Market 문화융합형 프로그램으로 상인과 고객, 문화를 잇는 새로운 장터 축제를 만들기 위해 기획된 신개념 야시장 브랜드 A new night market brand launched to bring together vendors and customers, and promote culture [인터뷰] 정주람 / 푸드트럭 ‘청년반점’ 대표 JEONG Ju-ram / Owner of Cheongnyeon Banjeom Food Truck 서울시에서 크게 하는 사업에 참여하고 싶었어요 I wanted to take part in a large project carried out by the Seoul City government. 오프라인 가게로 치면 거의 명동상권 같은 곳이죠. 꿈의 무대죠 It's tantamount to opening a store in the Myeong-dong commercial district. It's a highly coveted project. 들어가기만 한다면 기본 이상은 할 수 있다고(생각했죠) I thought it would help me a lot if I joined it. [내레이션] Ju-ram continues to do his best. 오늘도 주람씨의 도전, 기대해 볼까요? [내레이션] Food trucks full of youthful dreams can be seen in the heart of Seoul as well. 청년들의 꿈을 실은 푸드트럭은 서울 도심 한복판도 비껴가지 않습니다. [자막] 광화문 광장 / 서울시 종로구 Gwanghwamun Square / Jongno-gu, Seoul [내레이션] This unusual food truck is owned by two passionate 23-year-olds from Gyeongsang-do Province. They are Dong-gyu and Jun-seop. 열정이 넘치는 경상도 사나이들이 뭉친 이색 푸드트럭의 주인공 ! 스물 셋, 동갑내기 친구 동규씨와 준섭씨입니다. [자막] “우리의 열정은 불판보다 뜨겁다” 푸드트럭 5개월차, 열정을 실은 머스마둘 김준섭 (좌) 노동규 (우) "Our passion is hotter than any pan!" 5 months of food truck experience, "Passionate Guys" Kim Jun-seop Noh Dong-gyu [내레이션] It has been five months since these two pals have been living on their own, without their parents' help. 부모님의 그늘을 떠나 과감하게 홀로서기를 시작한 지 5개월. [내레이션] It was a tough choice because of opposition from other people who know them, but they believed in their youth and their dreams. 주변의 반대에 힘든 선택이었지만, 젊음과 꿈이 있기에 가능했습니다. [인터뷰] 노동규 / 푸드트럭 ‘열정을 실은 머스마둘’ 대표 NOH Dong-gyu / Co-owner of food truck "Passionate Guys" 대학교를 졸업해서 사회가 정해놓은 길을 가기 싫다는 생각을 하게 된 찰나와 함께 After finishing college, I wanted to take a less conventional path in life. 넘치는 에너지를 어딘가 풀고 싶었습니다 I wanted to release my explosive energy. 청년실업에 대한 해결책 푸드트럭이란 기사도 접하게 되었습니다 I saw a news article about food trucks being a solution to youth unemployment. [인터뷰] 김준섭 / 푸드트럭 ‘열정을 실은 머스마둘’ 대표 KIM Jun-seop / Co-owner of food truck "Passionate Guys" 6개월 동안 돈을 친구와 같이 모았습니다 We saved money over six months. 6개월동안 모은 돈을 다 투자를 하는거라 부모님과 친구들이 많이 걱정을 했어요 Our parents and friends were worried about us investing all our savings in the food truck business. [내레이션] In the beginning, the two had a hard time, because it was difficult to find a place where they could run their business without much stress. 처음 거리로 나섰을 땐, 맘 편히 영업 할 장소가 없어 힘들었다는 두 사람~ [내레이션] since regulations regarding food trucks were lifted, they have been able to sell food anywhere, as long as there were customers to buy it. 하지만, 푸드트럭 규제가 풀리면서, 사람들이 모이는 곳이면 어디든 그들의 무대가 됐답니다. [내레이션] This is a culture and art festival in downtown Seoul. 서울 도심에서 열린 한 문화예술축제~ [자막] 2016 서울아리랑페스티벌 Seoul Arirang Festival 2016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2013년부터 시작된 국내 최초 민간 재원 중심의 문화예술 공공축제 Launched in 2013 to commemorate inscription of "Arirang" on UNESCO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First privately funded culture and art festival in Korea. [내레이션] The two young entrepreneurs, who are ready to go to any festival venue anytime, are also here today. 전국의 축제 현장이라면 어디라도 달려가는 초보사장님들도 한 켠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현장음] 조금만 더 기다려주세요~ Please, wait a little bit more. [내레이션] They deal with customers like pros. Their slick movements resemble top chefs'. The steak looks mouth-watering. They have their own secret to creating their taste. 노련하게 손님을 맞고~ 포즈만은 일류 요리사~ 노릇노릇 먹음직스런 스테이크~ 그 맛에도 나름의 비결이 있다는데요? [인터뷰] 노동규 / 푸드트럭 ‘열정을 실은 머스마둘’ 대표 NOH Dong-gyu / Co-owner of food truck "Passionate Guys" 고기집 사장님이 해주신 말씀이 “고기는 품질을 속이지 않는다” The owner of a meat restaurant told us once that it's impossible to conceal the quality of meat. “좋은 고기를 쓰면 맛있는 거고 나쁜 고기를 쓰면 맛없는 거다“라고 He said that good meat tastes good, whereas bad meat always tastes bad. 좋은 고기만 쓰면 비록 요리를 공부하지 않았지만 맛있는 음식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지 않을까 We believe that we can serve good food to our customers by using high-quality meat, even if we lack culinary expertise. [내레이션] These young men want to share everything they have with their customers based on their passion, which is hotter than any pan. What do customers think about their food? 불판보다 뜨거운 열정으로~ 아낌없이 나누고픈 청춘들의 푸드트럭 ! 손님들은 어떻게 화답해 줄까요~? [인터뷰] 알리 레이 / 미국 Ali RAY / USA 남자 친구와 서울을 여행하다가 푸드트럭이 있어 와보았는데 흥미롭고 음식이 맛있네요 [내레이션] To them, a food truck is not just a means to make a living, but a priceless opportunity to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which they receive by interacting with their customers. 그들에게 푸드트럭은 단순한 돈벌이가 아니랍니다. 돈으로도 살 수 없는 더 값진 배움이 있다는데요, 그건, 손님과의 소통을 통해 얻는 보람이었 습니다. [인터뷰] 노동규 / 푸드트럭 ‘열정을 실은 머스마둘’ 대표 NOH Dong-gyu / Co-owner of food truck "Passionate Guys" SNS를 주로 활용합니다. 고객님들의 반응을 보면 너무 맛있었다고, 또 다시 와달라고 그런 메시지를 받게 되거나 하면 정말, 정말 뿌듯합니다 We mostly use social media. When we receive messages praising our food and asking us to visit again, we feel an enormous sense of accomplishment. [내레이션] Food trucks run by young entrepreneurs have become more than a profession. They have emerged as a new icon of culture and tourism. 청년들의 푸드트럭은 이제, 일자리의 의미를 넘어 새로운 문화 관광 콘텐츠가 되고 있습니다. [내레이션] A good example is a night market in Seoul. 서울의 야시장이 좋은 본보기인데요~ [내레이션] Over the past six months, some 40,000 people visited it daily on average. 지난 6개월간, 이곳을 다녀간 하루 평균 방문객만 4만여명~ [자막] 2016 서울밤도깨비야시장 <여의도> Seoul Bamdokkaebi Night Market 2016, Yeouido - 총 개최횟수 55회 / 총 방문객 2224천명 / 1일 평균 방문객 40천명 Number of times open 55 Total number of visitors - 2.2 million ppl Average daily number of visitors - 40,000 ppl 자료출처 : 서울시청 Source: Seoul City Hall [내레이션] This place is popular among foreign tourists, because they can try food from all over the world and enjoy cultural performances. 세계 각국의 다양한 음식을 맛보고, 문화공연의 즐거움까지 누릴 수 있는 이곳은 외국인 관광객에게도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자막] “2016 외국인이 본 인상 깊은 서울시 정책 1위 선정” Most Impressive Policy of Seoul City Selected by Foreigners in 2016 [인터뷰] 에차와 신시아 / 미국 Echewa Cynthia / USA 한강 분위기 참 좋네요 사람들이 친절하고 따뜻해요 다들 재밌게 즐기고 있네요. [인터뷰] 존 / 미국 John / USA 음식이 정말 맛있어보여서 다 사먹어야겠어요. [내레이션] To young vendors with ingenious ideas, it was also a chance to realize their dream of starting their own business. 참신한 아이디어의 청년 상인들에겐 창업의 꿈도 이뤄줬습니다. [자막] 청년 일자리 창출 266명 266 jobs for young people created [인터뷰] 김정훈 / 핫도그 푸드 트럭 대표 KIM Jeong-hun / Owner of hot dog food truck 푸드 트럭하면서 이곳에서 장사한다는 것은 다른 사람들에게는 꿈의 무대인데 영광이라 생각하죠 I'm honored to be able to sell food here. It's a dream-come-true to others. [자막] Increase in Number of Food Trucks in Korea (as of Sept. 2016) Dec. 2014 / 1 Jun. 2015/ 17 Dec. 2015 / 81 Apr. 2016 / 184 Sep. 2016/ 295 자료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Sourc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내레이션] More young people could start their own food truck business because the government lifted regulations. 푸드트럭이 청년 창업의 물꼬가 된 것은 정부의 규제가 풀린 덕분입니다. [자막] Food Truck Owners by Age (As of Sept. 2016) 20s / 100 30s/ 83 40s / 57 50s / 40 Over 60 / 15 (20,30대 수치 강조) Total 295 [내레이션] Currently, more than 60% of the food trucks operating in Korea are run by people in their 20s and 30s. 현재 전국에서 운영중인 푸드트럭중 60% 이상이 2030 청년들인데요 [내레이션] Ju-ram's food truck, which swarms with customers the moment it's open, is one of them. 문을 열자마자 손님들이 끊이지 않는 주람씨의 푸드트럭도 그중 한곳입니다. [인터뷰] 정주람 / 푸드트럭 ‘청년반점’ 대표 JEONG Ju-ram / Owner of Cheongnyeon Banjeom Food Truck 작년부터 여기에 입점하기 위해서 콘셉을 잡고 푸드트럭 만들었기 때문에 붙기 전까지도 계속 떨렸고 여자 손님들을 잡기 위해서 메뉴를 개발하였는데 중식 콘셉 트럭이다 보니까, 고급 음식 중에서 동파육도 있습니다 I started preparing my food truck last year in order to earn a spot here. I was very nervous back then. I developed a menu catering to female customers. Because I specialize in Chinese cuisine, I found a high-end Chinese dish called "braised pork belly." [내레이션] Ju-ram's food truck has become a star in this area thanks to his efforts to cater to young palates. He has even received recognition from foreign customers. 젊은층을 공략한 메뉴 선정으로 이곳의 스타트럭이 된 주람씨~ 그 맛은 외국인들도 인정할 정도라네요~ [인터뷰] 캐서린 쳉 / 미국 Catherine CHENG / USA 소스가 새콤달콤 맛있고 새우가 바삭해서 좋아요 [내레이션] It's the busiest time of the day, but Ju-ram suddenly leaves his truck. Is something wrong? 한참 바쁜 시각, 주람씨가 황급히 트럭을 내려옵니다. 무슨 일이라도 생긴걸까요? [현장음] 정주람 죄송한데 여기 뒤론 드실 수가 없어요 I'm sorry, but people standing from here cannot buy food anymore. [현장음] 여성 손님 끝난거예요? Are you all sold out? [내레이션] Ju-ram has run out of ingredients today as well. 오늘도 준비한 음식 재료가 모두 팔렸답니다~ [인터뷰] 이복임 LEE Bok-im 재료가 다 떨어졌대요, 신선한 재료가 다 떨어졌다는데 남이 먹는 거라도 한번 봐야지 They have run out of ingredients. They don't have fresh ingredients anymore. I want to see others try their food. [현장음] 청년 ! 반점 ! 파이팅!! Cheongnyeon! Banjeom! Fight on! [내레이션] Everyone said it would be difficult, but they endured. It's all because of their youth, passion and an exciting future ahead of them. 모두가 힘들다했지만, 버텨냈습니다. 그들에겐 젊음과 열정이 있고 가슴 뛰는 내일이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노동규 / 푸드트럭 ‘열정을 실은 머스마둘’ 대표 NOH Dong-gyu / Co-owner of food truck "Passionate Guys" 내일이 기대가 되구요, 자기 전에 내일은 어떤 일이 있을까 내일은 어떤 행사를 가서 어떤 사람들을 만날까 그래서 참 설레는 거 같아요. 심장이 뛰고. I look forward to tomorrow. Every night when I go to bed, I think about what tomorrow holds for me and what kind of people I will meet tomorrow. It excites me. [자막] “꿈을 싣고 희망을 달리는 푸드트럭, 우리 시대 청년입니다” Food trucks carrying the dreams of young people of our era 2016.12.28
    상세보기
  • [휴먼스토리 'OURS'] Ep.9. 도전의 역사, 파라 아이스하키

    [휴먼스토리 'OURS'] Ep.9. 도전의 역사, 파라 아이스하키

    해외문화홍보원이 주요정책 소개를 위해 제작 지원한 아리랑TV의 휴먼 다큐멘터리 영상입니다. [내레이션] Pyeongchang is often called "the Alps of Korea." It has beautiful summers and even more fascinating winters. 한국의 알프스라 불리우는 평창 이곳은 아름다운 여름 , 그리고 더욱 눈부신 겨울의 찬란함이 있는 곳입니다. [내레이션] In 2018, Pyeongchang will host the Winter Olympics. There are people who are preparing to write a new chapter in the history of Korean winter sports in 2018.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이 열리게 될 이곳 , 새로운 도전의 역사를 만들어가고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인터뷰] 정승환 / 파라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선수 JEONG Seung-hwan / National Para Ice Hockey Player 그 동안의 경험들 , 그리고 노하우들을 완성형으로 보여드릴 수 있는 We will show our skills that have been perfected through experience and know-how. [내레이션] The fastest and fiercest ice sport in the world... 세상에서 가장 빠르고 격렬한 빙판 위의 스포츠 [자막] The fastest and fiercest ice sport in the world Para Ice hockey 세상에서 가장 빠르고 격렬한 빙판 스포츠 파라 아이스하키 [인터뷰] 최시우 / 파라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선수 CHOI Si-wu / National Para Ice Hockey Player 국가대표라는 타이틀이 부담이 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자랑스러운 .. It's a pressure to represent my country, but on the other hand, I'm proud of it. [자막] Another Challenge - Para Ice Hockey 또 하나의 도전 , 파라 아이스 하키 [자막] Uiam Ice Rink, Chuncheon 춘천 의암 빙상장 [내레이션] Winter Olympic events include several types of sledding sports. One of them is Para ice hockey. 동계 스포츠에는 썰매를 타는 종목이 있는데요 지금 보고 있는 파라 아이스하키도 썰매종목입니다 [자막] 파라 아이스하키 아이스하키를 장애인들이 즐길 수 있도록 변형한 경기이며 스케이트 대신 양날이 달린 썰매를 사용 [자막] 패럴림픽. Paralympic 국제장애인올림픽위원회(IPC)가 주최하여 4년 주기로 개최되는 신체장애인들의 국제경기대회 Paralympics Olympic games organized by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every four years for athletes with disabilities [내레이션] Para Ice hockey is regarded as the highlight of Winter Paralympics held for athletes with disabilities. 장애인 선수들을 위한 동계올림픽 , 패럴림픽의 꽃이라 불리는 파라 아이스하키 [내레이션] 누구보다 빠르고 강한 사람들 경기가 시작되면 더 이상의 편견도 , 벽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내레이션] 이들은 그 누구보다 강한 정신과 뜨거운 열정 , 원대한 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류지현 / 파라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선수 RYU Ji-hyeon / National Para Ice Hockey Player 장애인들도 할 수 있다는 것을 비장애인 분들에게 그런 인식을 더 더 많이 알려드리고 있습니다. I want to show people that athletes with disabilities can do it. [내레이션] 이 선수들이 깨고자 하는 것, 그것은 상대팀 보다는 자신과의 싸움일지도 모릅니다. [인터뷰]서광석 / 파라 아이스하키 국가대표 코치 SEO Gwang-seok / Head coach, National Para Ice HockeyTeam 되게 많이 열심히 노력을 많이 하고 있는데 참 안타까운 일도 많지만 그런 모습을 필드에서 보면서 뿌듯한 느낌을 받고 ... My team practices extremely hard. We face a lot of frustration, but it's rewarding to see them do their best. [자막] 2010년 밴쿠버동계장애인올림픽 6위 2010 - Finished 6th at Vancouver Winter Paralympics 2012년 세계선수권 준우승 2012 - Finished 2nd in World Championships 2014년 소치동계패럴림픽 7위 2014 - Finished 7th in Sochi Winter Paralympics 2015 Challenge cup 1위, 세계장애인아이스하키대회 1위 2015 - Won Challenge Cup 2015 and Ice Sledge Hockey World Championships 2016 일본 챔피언십 우승, IPC 환태평양선수권 3위 2016 - Won World Championships in Japan, finished 3rd in IPC Pan Pacific Championships [내레이션] Six years after Korea's first ice sledge hockey team for the disabled was founded, the team achieved a feat by finishing second in the World Championships in the A-pool category, the highest category in the sport. ‘국내 최초 장애인 실업팀이 창단된 이후 6년 만에 최고 단계인 A풀 세계 선수권대회에서 준우승을 거머쥐는 기적을 일궈냈습니다. [인터뷰] 이지훈/ 파라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선수 LEE Ji-hoon / National Para Ice Hockey Player 한 마음으로 열심히 하자는 마인드가 많았기 때문에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We were able to produce a good result because all of us were determined to do our utmost. [내레이션] 차가운 빙판 위 한계를 넘는 혹독한 훈련 속에서도 꿈을 포기하지 않은 사람들 [인터뷰] 양갑주 / 파라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선수 YANG Gap-ju / National Para Ice Hockey Player 제가 이 팀에서 나이가 제일 많습니다. 그래서 팀 선수들에게 누가 되지 않을까 하면서 들어왔거든요 . 하지만 제 나름대로는 올림픽이 목표입니다. 꿈이구요 I'm the oldest member of the team. When I just joined it, I was worried that I might be a burden to the team. But I also have a goal to win in the Olympics. It's my dream as well. [내레이션] The milestones set by the Korean national Para ice hockey team have written a new chapter in the history of Winter Paralympics. 대한민국 파라 아이스하키 대표팀의 승전 기록은 장애인 동계 스포츠사에 새롭게 쓰여지고 있는 꿈의 기록들입니다. [내레이션]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is where athletes will strive to make their dreams come true. It's where this team will turn its dream into reality. 원대한 꿈이자 도전의 장소 평창 동계 올림픽은 이들의 꿈이 이뤄질 무대가 될 것입니다. [자막] 춘천 주경기장 웨이트트레이닝장 Weight Training Center, Chuncheon Main Stadium [내레이션] Every step these people make will leave a new record. 이들이 내딛는 걸음 마다 새로운 도전의 기록들이 새겨지겠죠 [내레이션] In addition to the sticks that these athletes hold tight in their hands, they also need enormous physical strength and determination to win fierce battles against their opponents on the cold ice. 차가운 빙판의 추위와 상대 선수들과의 격한 몸싸움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손 안의 스틱만큼 중요한 필수 아이템 바로 단단한 체력과 정신입니다. [내레이션] Each moment of their preparation for the Winter Olympics is a new endeavor and hard work. 동계 올림픽을 준비하며 달려가는 매 순간 순간이 도전과 노력의 연속이죠 [내레이션] By achieving stunning results, these athletes have grown together. 선수들이 세운 놀라운 성장의 기록들 이들은 함께 해 온 시간 동안 성장했습니다. [인터뷰] 차광혁 / 파라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선수 CHA Gwang-hyeok / National Para Ice Hockey Player 사람들을 통해서 배울 점도 많이 느끼고 서로 소통하는 게 더 좋아진 것 같아요. 저는 그렇게 생각하고 있어요 I learn a lot from others. I think we have become better at communicating with one another. [내레이션] These athletes have come this far thanks to their strong belief that they can do it. 할 수 있다... 그 말을 가슴에 품고 달려왔습니다. [내레이션] I'm going to split you into blue team and white team. The blue team will wear blue uniforms and the white team will wear white uniforms. Each team will play twice in a fast break until the 5-0 break out. 파란 색이랑 흰색 조로 나눌 텐데 기본적으로 파란색 조는 파란 색 옷을 입고 흰색 조는 흰색을 입는데 각 조별로 기본적으로 5대 0 속공 플레이 블랙 아웃 나오는 거 보고 한 조당 두 번씩만 하고 끝낼 거구요 [인터뷰] 최기용 / 패럴림픽 통합부 부장 2CHOI Gi-yong / Pyeongchang Winter Paralympics Organizing Committee 선수들이 입장했을 때 모든 분들이 일어나서 기립박수를 하고 메달 수여식을 할 때도 들리던 그 환호 , 그것이 저희가 생각할 때는 선수들이 가진 용기, 자신의 신체적 , 육체적 장애를 극복하고자 하는 용기와 결단력에 대해 보내는 찬사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사회적 가치, 평등에 대한 이념을 어떻게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구현할 것인가 고민하고 있습니다. When people welcome the athletes with a standing ovation and cheer on them when they receive their medals, it shows their admiration for the athletes' courage and determination to overcome their physical disabilities. We have been looking for ways to promote social values and equality in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내레이션] Nothing is impossible. Anything is possible as long as you have a dream and can rise up to the challenge. 불가능은 없다. 꿈 꿀 수 있다면 도전 할 수 있다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내레이션] To these people, the ice rink is a place where they put everything at stake to achieve their goals and keep promises that they have made to themselves. 그들에게 이 빙판은 인생을 건 도전의 무대이고 스스로에 대한 약속입니다 [인터뷰] 나대석 / 파라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선수 NA Dae-seok / National Para Ice Hockey Player 아들한테 이야기 합니다. 아빠가 몸이 이렇지만 그래도 꿈을 위해서 너희들을 위해서 I always tell my son that despite my disability, I do my best for my dreams and my children. [인터뷰] 권오송 / 파라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선수 KWON Oh-song / National Para Ice Hockey Player 국위 선양하는 마음으로 더욱 열심히 노력해서 팀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는 I will do my best to enhance my country's prestige and help my team. [인터뷰] 한민수 / 파라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선수 HAN Min-su / National Para Ice Hockey Player 태극 마크를 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자부심이 느껴지구요 ,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자식들이 아빠에 대해서 존경하는 모습을 보일 때 이 운동을 하기 잘했다 하는 생각이 들 때가 많습니다. I'm proud to represent my country. When my children show respect for what I do, I realize time and again that playing this sport was the right thing to do. [내레이션] 뜨거운 열정으로 끝없이 도전하는 파라 아이스하키팀은 2017년 4월 테스트이벤트를 거쳐 2018년 평창의 꿈을 향해 달리는 우리는 대한민국 국가대표입니다. [자막] “꿈을 향해 달리는 우리는 대한민국 국가대표입니다“ - Ours 2016.12.28
    상세보기
  • [휴먼스토리 'OURS'] Ep.8. 우리는 시골로 간다, K-트래블 버스

    [휴먼스토리 'OURS'] Ep.8. 우리는 시골로 간다, K-트래블 버스

    해외문화홍보원이 주요정책 소개를 위해 제작 지원한 아리랑TV의 휴먼 다큐멘터리 영상입니다. [내레이션] 분주한 서울을 벗어나고 싶은 어느 날 버스를 꿈꿉니다 서울만 떠나면 너무 기분이 좋죠 [내레이션] 바쁜 발걸음 대신 느린 걸음으로 대한민국의 구석구석을 찾아 떠나는 여행 아름답네요. 기대했던 이상입니다. 이렇게 푸짐한 음식은 처음 보네요 [내레이션] 한국의 숨은 매력을 찾아 케이트래블 버스가 달립니다 [자막] 우리는 시골로 간다, K-트래블 버스 [내레이션] 여행으로 왔다 머물게 된 지 2년, 저는 지구 반대편에서 왔습니다. 저는 브라질 리우에서 온 알리네라고 합니다. 대학에서 관광학을 전공하고 있습니다. [내레이션] 아직은 참 많이 궁금한 나라, 한국.. 한국에 오래 있었지만 아직까지 제대로 여행을 한 적이 없어요. 한국의 여러 곳을 다니고 싶어요 [내레이션] 그런 저에게 친구와 함께할 좋은 기회가 생겼습니다. 교통, 가이드, 숙박까지 한 번에 해결되는 케이트래블 버스 여행인데요 혼자 여행을 간다면 비용이 많이 들어요. 케이트래블버스는 가격이 정말 저렴한 것 같아요 [내레이션] 여행을 떠나는 날, 출발 장소에는 세계 각국에서 온 여행자들이 모였습니다 [현장음] 좀 흥분되지 않아요? 악센트를 들어보니 프랑스에서 온 것 같은데 맞나요?/ 어디에서 왔어요?/ 영국에서 왔어요 좋은 경치를 볼 수 있길 바라요 번잡한 서울을 떠나서 한가로운 시골 풍경을 보고 싶네요 [내레이션] 도시를 떠나 우리는 어떤 여행을 하게 될까요? [내레이션] 케이트래블 버스는 지방의 아름다움을 찾아 떠나는 1박 2일의 여행입니다. 현재 6개의 노선이 운행중인데요 오늘 우리는 전라남도로 갑니다 [내레이션] 한국의 경이로운 자연을 만나기 좋은 곳이죠 한국의 자연은 아름다워요. 가을 낙엽이 지는 것도 멋있고 좋은 풍경을 감상하기에 최고의 계절이죠 [내레이션] 3시간 여를 달려 도착한 첫 목적지... [현장음] 가이드 5분 후에는 담양에 도착을 합니다 [내레이션] 가이드가 소개해준 담양은 대나무가 유명한 곳이라고 하는데요 [내레이션] -숲 초입부터 빽빽한 대나무들... 바람 따라 흔들리는 대나무에서는 신기하게도 바람보다 더 푸른 바람 냄새가 납니다 [현장음] 알리네 바람이 불면서 나는 대나무잎 소리가 정말 편안하고 좋네요 [내레이션] 다음으로 찾아간 곳,잔뜩 신난 제가 느껴지시나요? 브라질에 있는 친구들에게 자랑부터 잔뜩, 바로 한국의 전통 음식을 맛보는 시간입니다 이렇게 푸짐한 음식은 본 적이 없네요 대나무밥 좋죠 [내레이션] 죽통밥과 떡갈비로 차려진 한 상, 반찬 하나하나가 다 명품 요리 같습니다 음식이 정말 맛있네요 [내레이션] 버스는 조금 더 남쪽으로 향합니다 이번엔 섬진강을 끼고 있는 곡성인데요 [내레이션] 기다리고 있는 것은 옛 증기기관차 이 기차를 타고 아름다운 강을 따라 달려볼 예정입니다 [현장음] 창밖의 풍경이 아릅답지 않아요?/ 네, 아름답네요 [내레이션] 오늘 처음 만난 이와도 어색하지 않은 건 번잡한 도시를 떠나 만난 평온한 자연 덕분이겠죠? 그리고 그 시간 속에 모두를 함께 어울리게 할 사람도 등장했습니다 한국의 옛 학생복을 입고 등장한 판매원 아저씨. 국적도 남녀노소도 잊고 그저 소박한 즐거움이 가득입니다 대한민국으로 외국에서 많이 오시면 너무너무 좋잖아요 정말 즐거웠어요. 아저씨의 옷, 음악, 모자... 모두 마음에 들었어요. 특히 눈썹이 아주 멋졌어요 [내레이션] 붉게 내리는 섬진강의 노을을 따라 오늘의 일정을 마무리합니다. 내일은 또 어떤 소도시의 풍경들이 우리를 반겨줄까요... [내레이션] 오늘은 바다와 맞닿은 곳까지 내려갑니다 세계 5대 연안습지 중 하나인 순천만. 가을 순천만의 주인공은 갈대라는데요 바닷바람과 갈대와 나. 누군가는 가슴에 가득, 누군가는 한 장의 사진으로 이곳의 감동을 기억하려 합니다 놓치고 살던 작은 생명에까지 눈길이 머무는 여유... 시골 여행만이 주는 특별함이기도 하죠 기대 이상으로 멋지네요. 가능성이 많은 곳이네요 관광객들이 서울에서만 시간을 보내는 것 같아요 다른 관광객들도 서울을 벗어나 시골에 와서 이것을 즐겨야 합니다 K트래블 버스는 서울로 집중된 외래 관광객들에게 지방 이동의 편이를 제공하여 대한민국의 우수한 지방 관광지와 다양한 한국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내레이션] 지난해 한국을 찾은 외래 관광객 중 80%가 서울 여행에 그쳤습니다. 많은 이들이 놓치기 쉬운 지방 여행의 감동, 케이트래블 버스는 그 대안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내레이션] 지방 여행의 또다른 매력은 그곳의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현장음] 어느 나라 사람이에요? / 브라질 사람이에요/ 한국에 잘 왔습니다/ 감사합니다 [내레이션] 정겹게 오가는 마음이 낯설지 않은데요 한국의 할머니들은 참 귀여워요. 브라질에 있는 할머니 생각이 나네요 [내레이션] 행복한 여행 속에서 더 생각나는 사람들... 오늘 제가 느낀 한국의 멋과 맛을 언젠가 저희 가족들에게도 꼭 보여주고 싶네요 [현장음] 엄마와 다음에 꼭 같이 오고 싶어요 사랑해요, 엄마 K트래블 버스는 관광의 핵심인 볼거리, 음식, 교통을 모두 갖추고 있죠. 만약 혼자 이 지역을 여행한다면 비용이 3배는 더 들 거예요. 가치 있는 여행이에요 [자막] K-트레블 버스에 올라 한국의 시골 정취를 느껴보세요 -OURS 2016.12.28
    상세보기
  • [휴먼스토리 'OURS'] Ep.6. 한복, 세상을 꿈꾸다

    [휴먼스토리 'OURS'] Ep.7. 한복, 세상을 꿈꾸다

    해외문화홍보원이 주요정책 소개를 위해 제작 지원한 아리랑TV의 휴먼 다큐멘터리 영상입니다. [내레이션] 선과 선이 더해져 아름다운 면을 이루는 옷 ! 우리 옷, 한복으로 세상과 소통합니다. [인터뷰] Nicky / U.K. 정말 아름다워요 Very beautiful. [인터뷰] Liam / U.K. 영국 스타일의 옷과는 달라요 Different from English style dresses. [인터뷰] Alex / France 색감과 단조로운 선들이 마음에 들어요. I really love the joyful colors and simple lines. [내레이션] 어느 날, 운명처럼 찾아온 한복 ! 나는 한복을 입고, 한복을 짓는 디자이너입니다. [자막] 한복, 세상을 꿈꾸다 Hanbok, Dreaming of Going Global [내레이션] 젊음과 문화 패션과 스타일을 한눈에 읽을 수 있는 강남거리 그 거리로.. 한복을 입고~ 당당하게 나선 20대 청춘이 있습니다. [내레이션] 어디를 가든, 누구를 만나든 한복을 입는다는 황이슬씨. 그녀는 왜 한복을 입고 거리로 나서게 됐을까요? 한복은 제가 생각했을 때 정말 저를 아름답게 만들어주기도 하면서 제가 제일 좋아하는 옷이기 때문인데요, 입었을 때 사람들의 반응이라든지, 혹은 한복이 이렇게까지 예쁠 수 있나 이런 생각들을 대중에게 알려주고 싶어서 한복을 입고 있습니다. [자막] 전라북도 전주시 Jeonju, Jeollabuk-do Province [내레이션] 전통과 예향의 도시, 전주 한복을 사랑하는 이슬씨가 나고 자란 고향입니다. 몇 년전만 해도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던 평범한 여대생이었던 이슬씨. 지금 그녀는 생활한복 디자이너입니다. 왜 나이가 드신 어르신들을 위한 한복이나 결혼식이나 특별한 날을 위한 한복만 있지 일상에서 입을 수 있는 한복은 없을까하면서 한복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었고 그때 입은 옷을 계기로 해서 이런 옷을 좀 더 만들어보고 싶다 그런 생각을 하면서 시작하게 됐습니다. [내레이션] 이슬씨에게 한복은 알면 알수록 더 깊은 매력의 세계였습니다. 전통이라는 생각의 틀을 벗어나니...어느새, 한복은 자신만의 패션이 되었다는데요~ 색이라든지 형태라든지 정말 다양하고 서양 어느 패션하고 비교해도 굉장히 넓은 스펙트럼의 디자인을 가지고 있는 디자인의 원천이자 보고더라구요 [내레이션] 단지 한복이 좋아 시작했지만, 성공한 청년 CEO로 주목받기까지...그녀는 참 힘들었답니다. 가족의 심한 반대, 아무도 사주지 않는 한복,그것보다 더 힘든 벽은 한복에 대한 시선이었습니다. 복은 불편해, 한복은 어려워 입어보지 않고 경험해보지 않고 여전히 머릿속에 있는 고정관념으로 한복을 딱 잘라내시는 모습 때문에... [자막] 카** 카페 / 서울시 강남구 [내레이션] 오롯이 이슬씨만의 한복 이야기가 사람들에게 통하기까진 8년이 걸렸습니다. 이제 그녀는 사람들이 다가오길 기다리기 보다 먼저 다가가기. 한복으로 사람들에게 말을 겁니다. 그 중 하나가 오픈 샵입니다. 입소문만으로 시작했던 것이 어느새 이슬씨의 한복을 기다리는 마니아들도 생겼다는데요~ 한국적인 느낌과 모던한 느낌이 잘 조화를 이룬 작품인 것 같아서 전통적인 한복의 미를 잃지 않으면서도 일상생활에서 입기 부담스럽거나 튀지 않게 디자인된 것이 가장 큰 장점인 것 같아요 [내레이션] 한복이란 공감대로 서로 소통하며 나누는 자리. 이슬씨가 한복을 짓는 이유입니다. 늦은 시간까지, 그녀의 한복 이야기는 계속되었습니다. 이슬씨에겐 더 큰 꿈이 생겼습니다. 청바지 대신 한복이 거리의 패션이 되는 그날을 꿈꾸는 건데요~ 그래서, 대중들의 관심을 모을 수 있는패션쇼 무대에 더 많은 힘을 쏟습니다. 몇일 후 또 한번 큰 무대를 남겨두고 막바지 점검에 나선 이슬씨. 무대에 서는 일이 거듭될수록 무거운 책임감도 따른다는데요~ 패션쇼는 할 때마다 부담이 되는 것 같아요. 회를 거듭할수록 뭔가 여유나 노련함이 생길 줄 알았는데 할 때마다 새롭고 할 때마다 대중들한테 어떤 평가를 받을까 이것이 과연 패션으로 한복을 패션으로 사람들이 인식할 수 있을까에 대한 두려움 그런 마음들이 있어요 [현장음] 이슬 노리개 같은 거 하나달든지 그게 안 낫나? 아님 머플러 같은 거 하나 하든지.. [내레이션] 이번 무대에서는 또 얼마나 많은 이들이 그녀의 한복에 공감해줄까요~ [자막] 경복궁 / 서울시 종로구 [내레이션] 오늘은 일년에 한번 열리는 한복의 날~ 아침부터 곱게 한복을 차려입은 사람들이 경복궁으로 모여듭니다. 한복에 대한 해외 취재진들의 관심도 뜨겁네요~ 오늘은 이슬씨에게도 특별한 날~ 그녀의 한복이 무대에 오르기 때문입니다. 마침, 이슬씨를 찾아온 팬도 있는데요~? 한국에 온지 8년 만에, 그녀의 한복에 반해 생활한복 마니아가 됐다는 케일라씹니다. 제가 처음 이곳에 왔을 때 전통한복밖에 없었죠. 정말 유감스러웠죠. 저는 더 많은 사람들이 한복을 입고 다니길 원했거든요 그런데 작년에 온라인으로 생활한복을 파는 것을 보게 됐어요. 그래서 생활한복을 사기 시작했죠. [내레이션] 이슬씨가 오르게 될 무대는 매년 한복의 날에 열리는 패션쇼인데요, 한복을 지키고 세계화하려는 정부의 다양한 노력들을 한 눈에 보여줍니다 [자막] 한복의 날 1996년부터 매년 진행되고 있는 대표적인 한복문화 축제. 한복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한복의 우수성과 산업적·문화적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한 날 [내레이션] 이슬씨가 오르게 될 무대는 매년 한복의 날에 열리는 패션쇼인데요, 한복을 지키고 세계화하려는 정부의 다양한 노력들을 한 눈에 보여줍니다 올해 20주년을 맞게 되는 한복의 날을 맞이해서 최근 한복의 열풍이 일고 있는데 한복의 일상화와 대중화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시점에 의미 있는 행사라고 하겠습니다. [내레이션] 어둠이 내리고...이 날의 백미인 패션쇼가 열릴 시간... 이슬씨의 손길과 눈빛이 분주해집니다. [현장음] 진행자 존경하는 신사 숙녀 여러분, 오늘은 2016년 한복의 날입니다. [현장음] 조윤선 /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복의 날을 맞아 지금 이 순간 우리가 한복을 즐기고 애용하는 길만이 한복에 투영된 우리 멋진 문화를 보전하는 길인 것 같습니다! [내레이션] 한복 디자이너들에겐 영광의 무대라고 할 수 있는 패션쇼... 오늘 무대엔 9명의 한복 디자이너들이 자신만의 한복 스타일을 선보이게 되는데요, 바로 이 무대에 유일한 20대 디자이너로 이슬씨가 초대됐습니다. 드디어 이슬씨의 무대가 시작됐습니다. 그녀의 손끝에서 다시 태어난 한복들... 개성강한 젊은 디자이너의 한복에, 관객들도 눈길을 떼지 못합니다. 긴장하며 지켜보던 이슬씨.. 이제야 웃음을 찾았네요~ 가을 밤, 고궁을 수놓은 아름다운 한복의 향연에 그녀의 꿈이 또한번 영글어갑니다. 전통을 넘어 일상 속 패션으로 거듭난 한복! 한복이 세계인의 패션이 되는 그날을 위해,오늘도 이슬씨는 어디선가 한복을 입고~설레는 맘으로 한복을 짓고 있을 겁니다. [인터뷰] 한국도 우리만의 독특한 복식인 한복을 널리 많은 사람들이 입을 수 있는 옷으로 만들어가는 꿈이 실현되는 것만 같아서 매일매일 설레는 맘입니다. [자막] 한복, 이제 일상이 되고 문화가 됩니다 - OURS- 2016.12.28
    상세보기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