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onders of Korea 2] 06. 오랜 맛의 향연, 김장
한국의 전통문화에서 발견하는 오래된 지혜와 현대에도 유효한 미래적 가치를 통해, 품격있는 전통문화가 공존하는 대한민국의 이미지 확산을 위해 해외문화홍보원이 제작 지원한 영상입니다. [내레이션] Some four thousand people have gathered in Seoul Square to take part in a delicious festival. 서울광장에 축제가 벌어졌다. 4천여 명의 사람들이 모여 벌이는 맛있는 난장의 축제... [내레이션] It's the kimjang festival, an annual event of making kimchi for the upcoming winter. 겨우내 먹을 김치를 한꺼번에 담그는 한국인들의 연례행사, 김장이다. [내레이션] Every year, more and more foreigners participate in the kimjang festival held in Korea. 그리고 이 즐거운 맛의 축제에 함께 동참하는 외국인들도 해마다 늘고 있다. [인터뷰] 하스탠 나자 (파키스탄) 이 축제를 즐기고 있어요. 이 건강한 음식을 모든 사람들과 함께 먹어 볼 수도 있고요. [인터뷰] 에랜 트왐리 (미국) 많은 사람들을 한 장소에 모은 게 한국적이고 정통적인 게 멋진 것 같아요. 아마 이렇게 김치를 만들 수 있는 곳은 세계 유일하게 여기뿐일 거예요. [내레이션] Fifty tons of kimchi made by this happy crowd will be donated to the underprivileged. 저마다 행복한 표정으로 만들고 있는 50톤 분량의 김치는, 자신들을 위한 것이 아니라 불우한 이웃들에게 골고루 나눠진다. [인터뷰] 송말진 (축제 참여자) 제 마음이 너무 따뜻하고요. 여러분들과 같이 먹을 수 있다는 것. 나눠먹으면 참 좋잖아요. [내레이션] Kimjang is a heart-warming festival that heralds the arrival of winter. 김장은 겨울을 알리는 마음 따뜻한 축제다. [현장음] 김치가 좋아요~ [내레이션] What does kimchi and kimjang mean to Koreans? 한국인들에게 김치란, 김장이란 과연 어떤 의미일까? [자막] 오랜 맛의 향연, 김장 Kimjang, a Festival of Old Flavors [내레이션] The slope of a hill located a thousand meters above the sea is blanketed in green. 해발 1,000미터의 비탈을 타고 온통 초록의 물결이다. [내레이션] Napa cabbages have grown well on the black soil in the autumn sunshine under the blue sky. 푸른 하늘과 검은 흙 사이, 가을 햇살을 머금고 배추가 실하게 알이 꽉 들어찼다. [내레이션] It's time to harvest the cabbages. 이제 배추를 수확할 시기다. [인터뷰] 심재순 (농장주인) 다른 지역보다 특이하게 해발이 높다보니까 배추 기르는 기간도 길어지고 단단하게 자라서 맛도 좋고 아주 좋습니다. [내레이션] Farmers are busy harvesting napa cabbages on a steep slope. Over a course of one month, they will harvest cabbages on an area measuring around 660,000 square meters. 한 달여간, 약 66만 제곱미터에 심겨진 배추를 수확한다. [내레이션] That's enough to be loaded onto one thousand five-ton trucks. 5톤 트럭 1천대 분량이다. [내레이션] Napa cabbages is one of the essential vegetables in Korean cuisine. It's the main ingredient of kimchi, Koreans' soul food. 배추는 한국인들의 식생활에 있어 가장 중요한 채소 중 하나다. 한국인의 소울 푸드, 김치의 주재료이기 때문이다. [내레이션] This village in Gangwon-do Province on the northernmost tip of South Korea is the first to welcome winter. 겨울이 가장 빨리 찾아오는 한반도 북쪽 강원도의 한 마을... [내레이션] A makeshift greenhouse is installed in the yard of a house where an elderly couple lives. For the first time in a while, the otherwise quiet yard is crowded. 노부부만 살고 있는 작은 집 마당에 임시로 비닐하우스가 설치되고, 모처럼 사람들로 북적인다. [내레이션] The family is making kimchi for the winter. 오늘은 이 댁의 김장날... [내레이션] More than ten family members have gathered - sons, daughters, their spouses and children. 아들 딸 부부에 손자까지, 10여 명이 넘게 모였다. [내레이션] The children of Yoon Yeo-jung, the owner of the house, have come today from all over Korea to make kimchi together. 이 댁의 안주인 윤여중 씨. 외지에 나가 있던 자녀들이 김장을 매개로 한자리에 모인 것이다. [내레이션] The eldest son mixes kimchi filling. When it comes to kimjang, there are no boundaries between gender roles. 김치에 넣을 양념을 버무리는 큰아들, 김장 일엔 남녀가 따로 없다. [현장음] 이게 힘든거라서요. 힘 좋은 첫째 아들, 둘째 아들 몫. [현장음] 큰며느리 1년에 두 번 해요. 버무리는 걸. 장모님 댁에서 한번 하고, 여기 철원에 와서 한번하고. [현장음] 큰아들 다음 주는 처갓집. [내레이션] Today, the family will make kimchi with 130 napa cabbages. It's going to take all day even if the whole family works together. 오늘 만들 김치는 배추 130여 포기. 모두들 일손을 거들고 나서도 하루 종일 걸리는 고된 작업이다. [내레이션] Kimchi is made by mixing salted napa cabbages with seasoning. 김치는 소금물에 절인 배추에 양념을 넣고 버무리는 절임채소다. [내레이션] The seasoning, or filling, is made with leaf mustard, shallots, dried chili powder, salted shrimp, garlic and other ingredients that are mixed with shredded radish. Each family uses their traditional recipe to create their favorite flavor. 갓, 쪽파, 고춧가루, 새우젓, 마늘 등을 무채에 골고루 섞어 양념을 만드는데, 여기에 집집마다 전해오는 맛의 비법이 추가되기 마련이다. [내레이션] The secret recipe of this family lies in soju, or Korean distilled liquor. 이 댁에서도 어머니만의 비법이 더해진다. 소주다. [인터뷰] 윤여중 (집주인) 김치가 나중에 익은 다음 먹으면 혀가 짜르르해요. 사이다 입에 머금은 맛처럼. 숙성되면 김치가 맛있어요. [인터뷰] 조미경 (큰딸) 우리집게 제일 맛있는 것 같아요. - Q. 언젠가 배우셔야 되지 않나요? - 올케가 전수받아야죠. [내레이션] The daughter-in-law, who has been married for nearly 13 years, learns her mother-in-law’s kimchi recipe, which is different from her parents recipe. 결혼 13년차 이 댁의 며느리는 친정집 김치와는 또 다른 시어머니의 김치를 익혀가고 있다. [인터뷰] 용진희 (큰며느리) 들어가는 게 비슷한 것 같아도 미묘한 게 맛의 차이 같아요. 같이 모여서 도와가는 게 좋은 것 같아요. 그래야 그 집안의 맛이라든지 전통이라든지 이런 게 또 생기니까요. [내레이션] Other family members cook pork to be eaten with freshly made kimchi. 한쪽에서는 김치와 함께 먹을 돼지고기를 삶느라 한창이다. [인터뷰] 박정학 (큰사위) 좋죠. 여럿이 식구들 모여서 이런저런 이야기도 하고. 같이 모여서 술도 한 잔씩 하고. [내레이션] Pork and fresh kimchi are a perfect match. 돼지고기와 갓 담은 김치는 환상의 궁합... [현장음] 고기 썰었으니까 고기 드세요 [내레이션] Eating delicious food is the fun part of kimjang. Rather than being regarded as hard labor, it's more like a family festival to prepare for winter. 일하는 틈틈이 음식을 먹어가며 하는 것도 김장의 큰 재미. 고된 노동이 아니라 겨울을 맞이하는 집안의 잔치다. [내레이션] The father-in-law takes care of his daughter-in-law, who works hard in the cold weather. 시아버지는 추운 날 고생하는 며느리를 챙긴다. [내레이션] To grandchildren, it's like a holiday. 어린 손자도 오늘은 명절날 같다. [내레이션] Kimjang is about making large amounts of kimchi ahead of a specific season. That's why it takes the efforts of many family members and neighbors. Kimjang is part of the unique Korean food culture. 김장은 특정한 계절을 앞두고 한 번에 담는 양이 굉장히 많다. 그래서 자연스레 가족이, 이웃이 함께 도와야했고, 이것이 김장이라는 한국의 독특한 음식문화를 만들었다. [내레이션] Kimjang brings neighbors together as well. They check up on one another to see if they can lend a helping hand, and share delicious food together. 김장은 동네 관심사다. 이렇게 이웃이 슬쩍 들러 혹시 도울 일은 없는지 확인도 하고 함께 어울려 음식을 먹기도 한다. [현장음] - 이웃 : 오빠는 안 먹어? 오빠도 조금 먹어야지. 같이 먹어야지. - 할아버지 : (E)브라보 해야지 [인터뷰] 주경자 할머니 (이웃) 이렇게 웬만한 집들은 자녀들이 많으면 다 해갈려고. 아들 며느리 사위 다 와요. [내레이션] In the past, when Koreans lived in poverty, kimjang was a difficult process. But now it has become a memory of the good old days. 과거 모두가 어려웠던 시절, 김장의 고됨도 이제는 추억이다. [인터뷰] 주경자 할머니 (이웃) 동짓달에 추운데 나가가지고 절여 가지고. 옛날 고무장갑도 없이. 나도 그런 세월 살았지만 고무장갑도 없이 절여가지고 물이 없으니까 저기 도랑 개울물을 마차에다 싣고 가서 거기에서 씻어 와서 그날 버무리고. [내레이션] Even to this day, kimjang continues to help neighbors bond. 그 시절을 거쳐 지금까지 이어지는 것, 김장과 이웃 간의 정이다. [내레이션] When it's ready, kimchi is placed into containers that the family members have brought with them. 완성된 김치는 각자 가져온 통에 차곡차곡 쌓인다. [현장음] 윤여중 할머니 - 여기는 큰 딸네거, 여기는 둘째딸네거, 여기는 며느리네꺼, 저기는 우리 거고, 막내딸네거. 다 해줬으니까, 모자라지 않게 넉넉하게 해서 좋은데요. [현장음] - 윤할머니 : 애썼네. - 딸 : 2016년 고생 많았어요. [내레이션] To Koreans, kimchi represents the memory of the taste that has been handed down through generations. 한국인들에게 김치는 대물려진 맛의 기억이다. [내레이션] Although kimjang is usually held in early winter, it represents all four seasons of the Korean Peninsula. 김장은 초겨울 잠시 하는 일처럼 보이지만 - [헬리캠] 염전 FS 한반도의 사계절이 담겨있다. [내레이션] A salt farm in the middle of the summer... 한 여름 염전... [내레이션] Most of the salt farms in Korea are located in wetlands. Korean wetlands have precious ecosystems protected by the Ramsar Convention. 한국의 염전은 대부분 갯벌 주위에 조성돼 있다. 한국의 갯벌은 람사르 협약으로 보호될 만큼 생태계의 보고다. [내레이션] Korean bay salt is the gift of the ocean containing the abundant nutrients of wetlands. 그 갯벌의 풍부한 영양분을 머금은 바다의 선물이 한국의 천일염이다. [인터뷰] 정갑훈 (염전주인) 지열, 바람, 태양 삼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소금이며 바닷물이(염도가) 2%예요. 그리고 여기 바다가 갯벌이에요. 갯벌이 플랑크톤이 많대요. 그래서 그 물을 저수지에 다가 한 달에 두 번씩 많이 들어올 때 그물을 받아놨다가, 한 단 한 단 내려오면서 증발이 되면서 정화되면서 내려온 물을 15일 걸린 물을 갖다가 하루에 결정체를 이루는 거예요. [내레이션] Bay salt is an important ingredient of kimchi. Its role goes beyond salting napa cabbages -- it determines the taste of kimchi. 천일염은 김장의 중요한 재료다. 단지 배추를 절이는 역할 같지만 소금이야 말로 김치 맛을 좌우한다. [현장음] 정갑훈 처음 배추를 절일 때 잘 절여야 그 김치 맛이 살지, 짜디짠 소금이나 중국산(일부 질 나쁜 외국산) 소금으로 해봐요. 벌써 색이 변해요. 물러버려요. 그러나 이건 무르지 않아요. [내레이션] After removing bittern from the harvested salt, the salt is used in kimjang. 이렇게 수확된 천일염은 쓴맛을 내는 불순물인 간수를 빼낸 뒤 김장을 위해 사용된다. [내레이션] When the summer is almost over, chili peppers turn red in the hot sun. 여름이 끝자락에 접어들 무렵... 뜨거운 햇살을 머금은 고추가 붉게 익어간다. [내레이션] Kimchi is red and spicy because of the red chilies. 김치의 매운맛과 색깔은 붉은 고추의 몫이다. [내레이션] The harvested chilies are dried in the sun and dry wind of early autumn. 수확한 고추는 초가을 건조한 바람과 햇살에 바싹바싹 말린 뒤, [내레이션] Then, they are ground into fine spicy powder. 곱게 가루를 내주면 칼칼하고 맵싸한 향의 고춧가루가 된다. [내레이션] As autumn grows old, there is one more thing to prepare. 가을이 깊어지면 또 다른 준비가 시작된다. [내레이션] A festival is underway in a small town that takes two hours to reach from Seoul. This place is famous for "jeotgal," or salted fish used in kimchi. 서울에서 차로 2시간 거리의 작은 읍에서 축제가 열렸다. 이곳은 김장 재료 중 하나인 젓갈로 유명한 곳이다. [내레이션] Some customers come in groups by renting tour buses. 아예 버스를 대절해 단체로 방문하는 사람들도 많다. [인터뷰] 박평연 (손님) 맛있는 김장하려고 왔어요. (젓갈) 안 들어간 거 먹어본 적이 없어요. 늘 들어간 (김치를) 먹어서 항상 넣어야 된다고 생각을 해요. [내레이션] This town has more than 140 stores selling "jeotgal." It's always crowded during the kimjang season. 이 작은 읍에 젓갈 가게만 140여 군데. 김장철만 되면 성황을 이룬다. [내레이션] "Jeotgal" is made by salting and fermenting all kinds of fish and shellfish. Its savory taste is created when protein in the fish becomes decomposed. Tasty and nutritious, "jeotgal" is an essential ingredient in kimchi seasoning. 젓갈은 어패류를 소금에 절여 발효시킨 것이다. 어패류의 단백질이 분해되면서 감칠맛이 나는데 맛과 영양이 풍부해 김치의 양념으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재료다. [인터뷰] 이상진 (손님) 달달하니 맛있네요. 고소하고. 저희 어머니는 항상 젓갈 넣으셔가지고 제가 한번 사가지고 어머니 갖다 드리려고. [현장음] 이남식 발뒤꿈치로 꾹꾹 눌러서 담아주세요. [내레이션] The most popular kind of "jeotgal" is salted shrimp. "Jeotgal" made with fleshy shrimp that was caught in June is considered to be the best.가장 인기 있는 것은 새우젓. 특히 살이 가장 통통하게 오른 6월에 잡힌 새우로 만든 것을 으뜸으로 친다. [인터뷰] 이남식 (손님) 새우젓을 넣으면 굉장히 시원한 맛이 감칠맛이 최고예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김치 없으면 안 되잖아요. 항상 김치는 배추김치, 김장을 꼭 하죠. [내레이션] Storage and fermentation are the two crucial elements of making high-quality "jeotgal." This cave near a mountain is about 400 meters long. 젓갈은 저장과 발효가 생명이다. 마을 뒷산에 파 놓은 토굴... [내레이션] This is where more than a thousand jars of "jeotgal" are stored. 400m 정도 길이의 이 토굴에 1천 여 통의 젓갈이 숙성되고 있다. [현장음] 가게주인 이게 이 안에 이렇게 보면 돌로 이렇게 되어있어서 사람들이 다 쪼아서 만든 거. 그전에는 이런 (전기) 설치가 안 돼 있어서 촛불을 켜고 다 일했었는데. [내레이션] Residents of this village have made more than 50 caves to store "jeotgal." Caves, where the average temperature is 13 degrees Celsius, are ideal for fermenting "jeotgal." 젓갈 저장을 위해 마을 주민들이 직접 파서 만든 토굴만 50여 군데. 평균 13도 내외를 유지하는 토굴은 젓갈을 숙성시키기에 더할 나위 없는 곳이다. [인터뷰] 허 니 (젓갈가게 주인) 바다에서 곧 바로 그물에 떠올린 살아있는 새우를 천일염을 가지고 버무려서 1차 간을 해요. 1차 간을 해서 여기 와서 다시 염도의 상태에 따라서 2차 간을 해가지고 밀봉을 한 상태에서 3개월간 숙성을 시켜서 그 다음에 판매를 하죠. [내레이션] Well-fermented salted shrimp becomes savory when a milky broth comes out. "Jeotgal" enhances the flavor of kimchi and supplements protein. 잘 숙성된 새우는 뽀얀 액젓이 우러나와 감칠맛이 더해진다. 젓갈로 인해 김치는 풍미가 살아나고 채소류에 부족하기 쉬운 단백질을 보충할 수 있는 것이다. [내레이션] On a chilly early-winter evening... 찬바람이 부는 초겨울 밤... [내레이션] Scores of vehicles from across the nation flock to an agricultural wholesale market in Seoul. 전국에서 아침부터 달려온 수많은 차량들이 서울의 농수산물 도매시장으로 속속 모여든다. [내레이션] It's the number-one market selling kimjang ingredient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which is home to half of Korea's population. 이곳은 한국 인구의 절반이 거주하는 서울과 수도권을 커버하는 김장시장의 최전선이다. [내레이션] The market sells all kinds of fresh vegetables used in kimchi. 산지에서 갓 올라온 싱싱한 김장용 채소들... [인터뷰] 윤재후 (도매상) 한 5천~6천단 정도요. 정해진 시간이 없어요. 이 물건 다 팔리면 끝나는 거예요. [내레이션] Updates on the shipment and prices of kimjang vegetables make headlines in Korea during this time of year. 이즈음이면 김장채소 작황과 가격변동이 매일 주요 뉴스로 다뤄질 정도다. [인터뷰] 오향의 (도매상) 양이 오늘 물량이 적게 들어왔거든요. 그러니까 못 산 사람들이 마음이 급하니까 갈수록 조금씩 올라가는 거죠. [내레이션] Prices of kimjang vegetables change by the day. These retailers have purchased good-quality napa cabbages at a good price. 매일 급박하게 돌아가는 김장 시세... 그래도 이 소매인들은 좋은 품질의 배추를 원했던 가격에 낙찰을 받은 모양이다. [인터뷰] 인서길 (소매상) 오늘 진짜 만족해요. 가격이 아주. 품질이 좋아요 [내레이션] Now the cabbages will be sold to discerning homemakers and made into delicious kimchi. 이제 이 배추들은 눈 밝은 주부들의 선택을 받아 맛있는 김치로 거듭나게 될 것이다. [내레이션] Like households, Buddhist temples in the mountains also prepare for the winter. 여느 가정집과 마찬가지로 한겨울을 준비하기는 산속 사찰도 마찬가지다. [내레이션] Woljeongsa Temple, which has a 1300-year history, is one of the iconic temples of Korean Buddhism. 1,300여년 역사의 월정사는 한국 불교의 대표적인 사찰이다. [내레이션] The otherwise serene temple is a little noisy today. 고요하던 사찰이 외지에서 온 사람들로 작은 소란이 벌어졌다. [현장음] 바짝바짝 하잖아. 얼고말고. [현장음] 우리 언 배추로 (김장)하기는 처음이여. [내레이션] It's kimjang day at Woljeongsa Temple. The monks and their congregation will make kimchi with two thousand napa cabbages. 오늘은 월정사 김장날... 스님과 신도들이 힘을 합해 2천여 포기 배추로 김치를 담글 예정이다. [내레이션] It's going to take three days. 워낙 많은 양에 김장은 3일에 걸쳐 이뤄진다. [인터뷰] 유엄 스님 월정사에 오십 분. 오대산 안에 팔십 분의 스님이 계십니다. 오대산에 오시는 모든 신자님과 관람객분들이 모두 드실 수 있게끔 (김치를) 제공 해드리고 있습니다. [내레이션] Today's mission is to cut the cabbages and salt them. 오늘 일정은 배추를 잘라 소금물에 담가 절이는 일... [내레이션] It's the most complicated and difficult process, because salinity and the duration of salting will determine the texture and taste of kimchi. 소금의 농도와 절이는 시간에 따라 식감과 맛이 달라지기 때문에 가장 까다롭고 신경을 많이 써야하는 과정이다. [인터뷰] 최효순 (신자) 안 힘들어요. 재밌게 해요. 하하 [인터뷰] 박희옥 (신자) 이렇게 해서 일 년 내내 먹으니까 좋죠. [내레이션] Meanwhile, another group of people prepare a vegetable broth to be mixed with the kimchi seasoning. 한쪽에서는 채소 육수를 만드느라 분주하다. 채소를 우려낸 이 물에 양념을 섞을 예정이다. [현장음] 김진숙 버섯에도 영양이 있잖아요. 다시마에도 있고. 무에서 시원한 감칠맛 단맛 나고 버섯의 향도 있고. 바다의 다시마잖아요. 거기서 철분도 얻고 여러 가지 포함해서 이 육수를 내서 김치 양념을 씁니다. [내레이션] This clear and refreshing broth has been cooked for three hours. Tomorrow it will be used in the seasoning. 3시간 정도 우려낸 시원하고 감칠맛 나는 육수는 내일 만들 김치 양념의 베이스가 된다. [내레이션] The salting of two thousand napa cabbages is almost half-done. The first day of kimjang at Woljeongsa Temple comes to an end. 2천 포기 배추절임도 절정을 향해 간다. 월정사의 김장 첫날은 이렇게 지나간다. [내레이션] The next day... 다음날... [내레이션] It's time to make kimchi in earnest. 오늘은 본격적으로 김치를 만드는 날이다. [내레이션] The salted cabbages are rinsed and strained. 절여놓은 배추를 깨끗하게 씻은 뒤 물기를 빼는 작업이 이어진다. [내레이션] People indoors make the seasoning. 실내에서는 김치 양념을 만들고 있다. [내레이션] But unlike regular kimchi seasoning, this seasoning doesn't contain any salted fish, garlic or onions. Vegetables that have a strong aroma as well as meat and fish are prohibited in temple food. 그런데 일반 가정집과 달리 젓갈이나 마늘, 파 등이 들어가지 않는다. 향이 강한 채소와 육류, 어류는 사찰에서는 금기하는 식재료이기 때문이다. [내레이션] Before making kimchi, the chief monk tastes the seasoning first. 김치를 만들기 전, 스님이 미리 맛을 점검한다. [인터뷰] 혜공 스님 아 맛있네요. 김치가 올해 맛있을 것 같아요. 잘 됐습니다. [내레이션] It's time to mix cabbages with the seasoning. 이제 잘 만들어진 양념을 배추에 넣고 버무린다. [내레이션] On kimjang day, even monks put down their Buddhist scriptures and wooden handbells, and instead put on rubber gloves. 스님들도 이날만큼은 불경과 목탁을 손에서 놓고 고무장갑을 낀다. [인터뷰] 성안 스님 (월정사) 옛날부터 울력이라고 해서 대중이 다 같이 모여서 하는 일이니까 빠지면 안돼요. 아픈 사람 빼고 다 나와서 해야 합니다. [현장음] 혜공 스님 이걸 절에서만 먹는 게 아니고 더 여유 있게 만들어서 어려우신 분들에게 나눠주는 행사를 하거든요. 김장으로 인해서 봉사도 하고 또 이제 다 함께 만들어서 화합하는 그런 의미들이 있죠. [인터뷰] 상엄 스님 (월정사) 와 이거 뭐 제대로 맛있네요. [내레이션] The monk from a nearby hermitage also joins in. 인근 작은 암자에서 홀로 수행하는 스님도 이날은 함께 한다. [인터뷰] 해월 스님 (동대관음암) 저는 김장 얻어먹으러 왔습니다. 얻어먹으러. 혼자 먹어봐야 얼마나 먹겠습니까? 하하 [내레이션] Buddhist monks are banned from eating any meat including fish. In Buddhist temples, kimchi is more than just a winter food. When temperatures plunge to subzero levels, even vegetables are hard to find. 불교의 승려들은 생선을 포함해 육식을 전혀 할 수 없다. 영하로 떨어지는 겨울에는 반찬인 채소조차도 구할 수가 없는데, 그러다 보니 사찰에서의 김장은 단순한 월동음식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현장음] 성안 스님 (월정사) 일 년 내내 먹는 거죠. 내년 1년 양식이 되는 겁니다. [내레이션] Then, what kind of nutrients does kimchi, a staple winter food, contain? 그렇다면 겨우내 입맛과 건강을 책임졌던 김치에는 어떤 영양성분이 있는 걸까? [자막] 김치의 영양분 배추김치 100g을 기준으로 비타민과 칼륨, 칼슘, 인 등 다양한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있다. One hundred grams of napa cabbage kimchi contain various vitamins, calcium, potassium and phosphorus. [내레이션] Kimchi is especially rich in lactic acid bacteria, which are essential for a healthy gut. Even when kimchi is stored for a long time, lactic acid bacteria remain intact. What's more, diverse kinds of microorganisms are produced during fermentation. 특히 김치에는 장내 유효세균인 유산균이 풍부한데 오래 저장해도 파괴되지 않고 오히려 다양한 미생물이 차례로 등장해 정장작용을 돕는다. [자막] 숙성단계에 따른 유산균군 변화 [내레이션] During its fermentation in winter, kimchi becomes the perfect health food. 겨우내 서서히 숙성되는 김장 김치는 발효식품의 건강함을 완벽히 구현하고 있다. [내레이션] A mountainous village located north of Seoul within a three-hour distance... 서울에서 북쪽으로 3시간이 넘는 거리에 위치한 깊은 산골... [내레이션] Visitors who clearly look like city-dwellers arrive one by one. 도시에서 온 것이 분명해 보이는 손님들이 하나둘 도착한다. [현장음] 김종화 오~ 영숙이구나~ [내레이션] Kim Jong-hwa, the owner of the house, welcomes her friends, who have come from afar. 멀리서 온 친구를 반기는 집주인 김종화 씨. [내레이션] Today is kimjang day at Kim Jong-hwa's house. Her former high school classmates have come from various parts of Korea to make kimchi with her. 오늘은 김종화 씨네 김장날... 전국에 흩어져 살던 여고동창생들이 김장을 위해 모인 것이다. [현장음] - 전 전주에서 왔어요. / 저는 안양에서 왔어요. / 저는 대전에서 왔어요. / 저는 수원에서 왔어요. [현장음] - 태경이 친구 여동생이 원래 와서 전에 작년에 참 잘 해줬어요. 그 친구 아쉬우니까 제부님하고 아드님을 보냈어요. 못 왔어요. 오늘 근무여서. 근데 이렇게 와서 너무 든든해요. [내레이션] Even the husbands of these friends of 37 years have become friends. 37년 째 인연은 남편들까지 스스럼없는 사이로 만들었다. [인터뷰] 김종화 (집주인) 김장이 온 가족이 모이잖아요. 객지에 나가있던 식구들이 와서 모이는데 친구들이 이렇게 모인 게 내가 너무 좋은 거예요. [인터뷰] 윤지원 (동창생) 사실 얼굴 보고 놀러온 거죠. 그게 더 커요, 70프로. 나머지 30프로는 김치해가지고 가는 거지. [내레이션] These women might have never met again after graduation. It was kimjang that brought them together again. 평생 얼굴 한번 못보고 지냈을지도 모를 이들을 다시금 여고시절로 돌아갈 수 있게 한 것, 김장이었다. [현장음] - 이계순 : 그 선생님 운동화가 새카만거야. 노총각이었잖아. 빨아주자. 수돗가에 가서 빨았어. - 이태겸 : 영란이란 애가 있었는데 선생님 좋아갖고 선생님 집에 몰래 찾아가서 밥해놓고. - 김승민 : 마음이 여고때예요. - (E) 머리 하얗게 돼서 만났는데도, 어머 너 옛날이랑 똑같다~ [인터뷰] 김승민 (동창생) 즐기러 오는 거죠. 힘들지 않고 행복하고 김장이 아니라 일하러 오는 게 아니라 놀러오는 거죠. [내레이션] Many people think that kimjang has become outdated in the era of urbanization and modernization and that it only exists in elderly and rural communities. But these women are living proof that the power of kimjang to bring people together is as strong as ever. 도시화 현대화된 지금, 김장을 통한 공동체 문화는 노인들과 시골지역의 특수한 모습이 아닐까 의문이 들지 모르지만 이들 여고동창생들처럼 여전히 김장의 위력은 발휘되고 있다. [내레이션] Thanks to kimjang, the taste of kimchi is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naturally. 그리고 자연스럽게 맛의 대물림으로 이어진다. [인터뷰] 정명숙 (동창생) 친정 부모님 계실 때는 친정어머니한테 얻어먹고 시댁 형님들이 해주시고 그랬거든요. 우리가 이렇게 해서 부모님한테 받아먹었었던 것 다시 애들한테 해주고. [인터뷰] 김종화 (집주인) 점점 핵가족화 되면서 해체가 되는데 그래도 김장때 다들 모이시거든요. 가족들이. 그걸 보면 아직 김장이란 매체로 인해서 모을 수 있는 계기가 되겠구나 해서 이 김장이 끊길 것 같지 않아요. [현장음] 친구들 김치~ [내레이션] Kimchi is a means of conveying the taste of Korean food and the warm hearts of Korean people. 김치는 한국인들의 맛과 정을 전하는 문화의 매개체다. [내레이션] Kimjang is an opportunity to reaffirm Korean people’s identity and a traditional event that strengthens bonds among families and communities. 그래서 김장은 한국인들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기회이자 가족과 마을의 협력을 강화하는 전통의 이벤트다. [내레이션] It's a festival of sharing time, space and warm hearts, as well as creating our future together. 시간과 공간을 담고, 함께 나누며, 미래로 이어지는 축제, 그것이 김장이다. 2017.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