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사이로 울려 퍼지는 한국 타악
(Korean percussion that resonates across cultures / 미국 Washington Post, 5.25, E6, 셀리아워렌)메릴랜드 대학의 세바스찬 왕은 한국 음악인 김덕수씨의 공연을 본 소감에 대해 ;폴 매카트니가 락앤롤 공연하는 것을 보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김덕수는 한국 음악계의 거물로 사물놀이라는 타악기 장르를 탄생시켰다. 마에스트로 김덕수는 5월 30일 아;태 문화유산의 달을 맞아 링컨극장에서 열리는 저녁 행사에서 솜씨를 뽐낼 예정이다. 메릴랜드 대학에서 한국 사물놀이를 지도하는 왕 씨 역시 이번 행사에서 함께 공연을 한다. 이 행사는 DC 아;태 주민국과 DC 예술인문학 위원회 주관으로 이루어진다. 사물놀이 공연 뿐 아니라 드럼 연주자 이사벨 드 레옹과 키란 간디, 그리고 락빌 브레이크댄스팀인 락 빌레인스가 행사에 참여한다.아;태 주민국 구수현 국장에 따르면 타악이 2001년부터 열려온 연례 축하 행사의 일관된 주제를 보여줄 것이다. 그녀는 ;매년 저희는 다른 주제로 행사를 합니다. 이번 해에는 북을 아시안계 미국인의 문화를 나타내는 주제 및 매개체로 활용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는 모든 이에게 반향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워싱턴 한국문화원의 후원으로 미국에 오는 김덕수 씨의 이번 행사 참여는 분명히 이 행사의 밤을 더욱 빛나게 해 줄 것이다. 1952년 출생한 그는 5살 때 공연자로서 재능을 인정받아 대한민국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1978년 그는 사물놀이라는 장르를 개척했다. 이는 장구, 북, 꽹과리, 징 등 네 가지 악기를 포함시켰다. 이 악기들은 한국 문화에서 전통적인 것이나 사물놀이 공연은 이들을 재탄생시켰다. 보통 때 이들은 공동체 혹은 야외의 추수감사제와 같은 지역 사회 축하 행사에서 공연했을 것이다. 사물놀이 공연단은 이 음악을 더욱 기교적으로 만들고 공식 연주회에서 공연을 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사물놀이 공연은 "사물(四物)" 과 "놀다"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파생된 이름이 하나의 예술 형식을 포괄하는 용어가 될 만큼 성공적이었다. 워싱턴 지역에서 자란 왕 씨는 6살 때 처음 사물놀이를 접하게 됐다. 그는 한국종합예술학교에 진학해 김덕수 아래에서 수학했다. 지금 그는 자신의 전문 기량을 메릴랜드 대학에서 가르치고 있다. 왕 씨는 "사물놀이는 매우 역동적이며 감정이 풍부한 음악입니다. 사물놀이를 관람하는 사람들은 에너지를 느끼곤 한다"고 말했다.기사 원본: http://www.washingtonpost.com/entertainment/museums/2014/05/22/3c5f865e-df6f-11e3-9442-54189bf1a809_story.html 2014.06.03 | 조회수 3,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