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코리아넷뉴스

게시일
2016.08.29

한국드라마 명작 (2): ‘가을동화’

2000년 가을, 하나의 ‘동화 같은’ 이야기가 많은 이들의 심금을 울렸다.

바로 2000년 9월 18일부터 11월 7일까지 방영된 KBS 드라마 ‘가을동화’ 때문이다. 남녀의 사랑과 이별, 아픔의 이야기를 다룬 총 16부작 드라마는 방영 당시 40%가 넘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시청자들의 눈물샘을 자극했다.

2000년 9월 18일부터 11월 7일까지 방영된 KBS드라마 ‘가을동화’에는 (왼쪽부터) 배우송승헌(준서役), 송혜교(은서役), 원빈(한태석役)이 출연했다.

▲ 2000년 9월 18일부터 11월 7일까지 방영된 KBS드라마 ‘가을동화’에는 (왼쪽부터) 배우송승헌(준서役), 송혜교(은서役), 원빈(한태석役)이 출연했다.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난 여주인공 은서와 남주인공 준서는 친남매 사이다. 중학생 시절 두 남매는 어느 날 서투른 솜씨로 자전거를 타고 가다가 은서가 차에 치이게 된다. 병원에 입원한 은서가 혈액검사를 받던 중 부모와 혈액형이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은서가 태어났을 당시 준서는 신생아실에서 간호사가 자리를 비운 사이 별생각 없이 침대에 누워있는 자기 동생과 다른 아이의 이름표를 바꿔놓는 바람에 운명이 바뀌게 된 것. 친동생은 공교롭게도 은서와 같은 반인 국밥집 딸 신애라는 사실이 밝혀진다.

각각 본래 자리로 돌아온 은서와 신애. 세월이 흘러 준서는 화가가 되어 강원도 속초에 작은 작업실을 마련한다. 우연히 그곳 호텔에서 근무하던 은서와 재회한다. 이미 약혼을 한 준서는 다시 만난 은서에게 사랑의 감정을 느낀다. 하지만 준서의 절친한 친구이자 은서가 일하고 있는 호텔 사장의 아들인 한태석 역시 은서를 사랑한다.

은서는 14년간 친 오빠로 알고만 있던 준서와 사랑에 빠진다. 비극은 그녀가 백혈병에 걸리면서 시작된다. 두 사람은 바닷가로 마지막 여행을 떠났고, 은서는 준서에게 업힌 채 눈을 감는다. 장례식을 마친 후 준서는 은서와 함께 걷던 거리를 걷던 중 달려오는 트럭에 치여 은서의 뒤를 따른다.

드라마 ‘가을동화’에서 은서(송혜교, 왼쪽)가 준서(송승헌)의 등에 업힌 채 죽음을 맞이하는 장면.

▲ 드라마 ‘가을동화’에서 은서(송혜교, 왼쪽)가 준서(송승헌)의 등에 업힌 채 죽음을 맞이하는 장면.

드라마 ‘가을동화’는 준서 역의 송승헌, 은서 역의 송혜교 등 2000년도 당대 최고의 인기스타들이 출연해 방영 전부터 큰 관심을 받았다. 조각 같은 외모의 송승헌과 한태석 역의 원빈은 여심을 사로잡았다. 특히 원빈은 송혜교의 마음을 얻지 못하자 “사랑? 웃기지 마. 이젠 돈으로 사겠어. 얼마면 돼!”라는 명대사를 남겼다. 이 한 줄의 대사는 당시 신인이던 그에게 주연 못지 않은 인기를 가져다 줬다.

‘가을동화’는 아름다운 계절과 사랑이 담긴 윤석호 감독의 계절시리즈인 드라마 ‘겨울연가’, ‘봄의 왈츠’, ‘여름향기’의 첫 시작이었다. “시처럼 아름다운 서정적 영상표현에 주력했다”는 윤석호 감독의 말처럼, 이 드라마에는 가을의 서정적인 분위기를 물씬 풍기는 풍경을 담았다. 자극적인 도시 배경 대신 강원도의 하얀 메밀밭, 맑고 푸른 동해바다, 설악산의 가을 색채, 고즈넉한 초가집, 시골 폐교 등이 화면을 채운다.

드라마 ‘가을동화’에서 준서의 작업실로 이용된 강원도 양양군의 폐교에서 두 주인공이 함께 창문을 닦고 있는 장면.

▲ 드라마 ‘가을동화’에서 준서의 작업실로 이용된 강원도 양양군의 폐교에서 두 주인공이 함께 창문을 닦고 있는 장면.

‘가을동화’는 이후 중국, 대만, 일본,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를 중심으로 방영됐다. 배우 송혜교가 당시 “(나에게) 한류의 시작은 '가을동화'부터”라고 말할 정도로 이 드라마는 해외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다. 일본, 중국에서 방영 후 시청률이 40%가 넘을 정도였다.

대만에도 ‘가을동화’ 신드롬이 불었다. 2001년 ‘秋天的 童話’라는 제목으로 방송 6회 만에 각종 드라마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 해외 드라마로서 1위는 처음이었다. 이 드라마는 곧 중국에서 영화로도 제작될 예정이다.

‘가을동화’ 속 강원도 속초시 ‘아바이마을'

아바이마을로 들어가는 갯배 위에서 서로 엇갈리는 송혜교(은서役)와 송승헌(준서役).

▲ 아바이마을로 들어가는 갯배 위에서 서로 엇갈리는 송혜교(은서役)와 송승헌(준서役).

드라마 ‘가을동화’에서 은서네 집으로 나왔던 작은 가게.

▲ 드라마 ‘가을동화’에서 은서네 집으로 나왔던 작은 가게.

아바이마을 내 작은 구멍가게가 여주인공 은서의 집으로 나온다. 강원도 속초시 청호동 청초호모래톱에 자리한 이 마을은 한국전쟁(1950~53) 이후 함경도피난민들이 모여 살면서 ‘아버지’의 사투리인 ‘아바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오래된 집들과 구수한 함경도 사투리가 그대로 남아있는 곳이다. ‘가을동화’ 인기 이후 중국, 일본 등 많은 해외 관광객들이 몰리고 있다. 마을 곳곳에는 ‘가을동화’ 간판이 손님을 맞이한다.

속초갯배선착장에서 갯배를 타고 가면 5분도 채 안돼 아바이마을에 도착한다.

▲ 속초갯배선착장에서 갯배를 타고 가면 5분도 채 안돼 아바이마을에 도착한다.

은서네 집 외에도, 청초호 호수변과 속초해수욕장 등 아바이마을 일대에서 주요 장면들이 촬영됐다. 마을로 들어가기 위해 타는 작은 배인 ‘갯배’가 이곳의 명물이다. 이 갯배는 속초시내와 아바이마을을 이어주는 배로, 긴 선 두 가닥을 놓고 철선 하나에 배를 한 대씩 고정해 끌어당기는 수동적인 방법으로 운행된다. 갯배 위에서 노란 우산을 쓴 은서와 준서가 엇갈리는 장면은 ‘가을동화’의 명장면으로 꼽힌다.

※ 찾아오는 길:
속초고속버스터미널에서 일반버스 9, 9-1, 7, 7-1번 타고 갯배선착장에서 하차, 갯배 타고 이동. 갯배 이용료는 1인당 편도 200원.

 

· 코리아넷 뉴스의 저작권 정책은 코리아넷(02-2125-3501)으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