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놓치지 말아야 할 5대 관람포인트
지구상에서 가장 온전하게 보존된 연안 습지 중 하나로 손꼽히는 전라도의 순천만은 넓은 갯벌과 갈대군락지로 형성되어 있다. 120종이 넘는 염생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매년 230여 종이 넘는 철새들이 찾아와 지친 날개를 쉬다 간다. 아름다운 순천의 정원에서 국;내외의 조경 설계 전문가가 힘을 모아 완성한 ;초록예술작품;을 볼 날이 멀지 않았다.▲2013순천국제정원박람회가 열리는 순천만은 드넓은 갯벌과 무성한 갈대밭으로 연중내내 끊임없는 사랑을 받고 있는 관광지다 (사진: 순천시)개장을 한 달 여 앞둔 ;201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는 조성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며 하루하루 박람회 제 모습을 갖추어 가고 있다. 세계인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 박람회장에서 꼭 보아야 할 5개 장소를 미리 살펴본다.[한국정원, 그리고 세계의 정원]박람회장의 서문으로 입장하면 ;한국 정원;을 바로 만날 수 있다. 오랜 역사 속 왕과 왕비가 거닐던 전통 정원 양식을 그대로 재현해 놓은 ;궁궐 정원;에서는 단아함이 느껴진다. 조선시대 선비들이 자연을 벗삼아 학문을 연구하던 분위기가 녹아 있는 ;선비의 정원;과 장독대에 정화수를 떠놓고 자식의 무사안일(無事安逸)을 빌던 서민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소망의 정원;도 흥미로운 볼거리다.▲프랑스정원은 베르사유 궁전의 정원을 연상시키는 화려함으로 무장했다 (사진: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조직위원회)발걸음을 옮겨 주(主) 박람회장으로 향하면 국가별 정원을 만나게 된다. 미국, 중국, 일본,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등 총 10개의 국가가 참여해 조성한 이 공간에서는 각 국가별 자연 정원의 특색과 문화적 특징이 표현돼 있다.특히 베르사유 궁전의 정원을 연상시키는 화려함으로 치장한 프랑스의 정원, 튤립과 풍차를 보며 봄의 운치를 만끽할 수 있는 네덜란드의 정원 등은 벌써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다.[;순천;을 상징하는 호수공원]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조경 건축가이자 디자이너인 찰스 쟁스(Charles Jencks)가 디자인한 호수공원은 박람회장의 핵심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쟁스는 순천에 머물면서 물과 산, 도시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순천의 지형에서 영감을 받아 이를 형상화하며 상징적 의미를 담아냈다. 호수의 중앙에 있는 ;봉화언덕(16m);은 순천 시내에 있는 봉화산을 형상화한 것이다.▲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의 공식 엠블럼 ECOGEO는 생태계를 뜻하는 Ecosystem과 지구를 뜻하는 Geo가 결합되어 인간과 자연이 하나되는 박람회를 의미한다 (사진: 순천시).[;갯지렁이 길;에서 동화의 주인공이 되다]공연장 옆에 위치한 갯지렁이가 다니는 길은 마치 갯지렁이가 밀고 지나간 것처럼 움푹 꺼진 공간에 조성됐다. 정원 축제의 대명사 ;영국 첼시 플라워쇼 (Chelsea Flower Show);에서 2년 연속 입상한 황지해 디자이너의 작품이다. 갯벌에 들어온 오염 물질을 정화하는 갯지렁이의 이미지를 한껏 살려 드러나지 않는 생태계의 가치를 함께 고민하자는 메시지를 담았다. 정원 속에 숨은 폭포와 다리, 아름다운 꽃이 가득한 공간은 동화 속 정원에 온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킨다.[꿈의 다리] 동천을 사이에 두고 박람회장은 두 구역으로 분리된다. 이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꿈의 다리;가 한다. 길이 175m, 폭 7.28m 규모의 ;꿈의 다리;는 버려진 컨테이너 30개를 재활용했다. 내부에는 작은 그림 타일 14만개가 부착되어 있다. 이 작품을 완성하기 위해 박람회 조직위원회 측은 공모전을 통해 세계 각국 어린이 14만 명을 선정, ;꿈;에 대한 메시지를 담았다.[자연과의 소통공간, 습지센터];순천만 국제습지센터;에서는 순천만에 사는 생물들을 살펴보는 동시에, 박람회장 전체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순천만의 생태적 중요성을 알리고 정보를 제공하는 종합 전시장인 이 곳은 습지의 자연정화 원리, 습지에서 생물이 공존하는 모습 등을 쉽게 배울 수 있다.순천만국제박람회는 4월 20일부터 10월 20일까지 계속된다. 자세한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http://www.2013expo.or.kr/ ) 에서 확인 가능.이승아 기자, 코리아넷slee27@korea.kr 2013.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