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코리아넷뉴스

전체 12,326

페이지 1131 / 1233

  • 경복궁 흥례문 야경

    밤에 만끽하는 고궁의 아름다움

    새해 첫 고궁 야간 개방으로 경복궁과 창경궁의 아름다움을 밤에도 감상할 수 있다.경복궁은 2월 11일부터 16일까지, 창경궁은 2월 10일부터 15일까지 각 6일간 야간에도 개방된다. 고궁 야간 특별관람을 계절별로 연 4회 시행하는 계획에 따라 봄 야간관람은 5월 12일간, 여름은 8월 12일간, 가을은 10~11월 12일 동안 열릴 예정이다. ▲ 경복궁 흥례문 야경(사진 위), 창경궁 흥화문 야경겨울 야간 관람 시간은 경복궁은 오후 6시부터 9시까지이며 입장마감은 8시이다. 창경궁은 오후 7시부터 10시까지이며 입장마감은 9시다.1일 최대 관람인원은 경복궁, 창경궁 각 2천2백명이며, 티켓 구매는 1인당 2매로 제한된다. 일반인은 인터넷 예매만 가능하며, 만 65세 이상 관람객과 외국인에 한해 현장에서 또는 전화예매로 티켓을 구매할 수 있다.인터넷 예매는;옥션티켓'과;인터파크 티켓'에서 2월 4일 오후 2시부터 시작되며, 인터넷과 전화 예매자는 관람 당일 매표소에서 신분증을 제시하면 티켓을 받을 수 있다. 일반관람은 경복궁 3천원, 창경궁 1천원이다.경복궁 내의 국립고궁박물관도 경복궁 야간관람 기간에 맞춰 2월 11일부터 15일까지(16일은 정기휴무) 관람시간을 오후 9시(입장마감은 오후 8시)로 연장하며, 관람은 무료다.한편 한국 문화유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디지털 콘텐츠 통합 서비스 국가문화유산포털(www.heritage.go.kr)이 확대개편 된다.사이버문화재탐방관, 기록유산관, 문화유산 학습관 등으로 구성된 국가문화유산포털은 문화유산 설명자료, 사진, 동영상, 도면, 조사연구 자료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디지털 콘텐츠 통합 서비스 국가문화유산포털이번 개편으로 디지털 콘텐츠 중 사진 3만3천7백27건, 도면 8만8천3백15건이 상업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출처표기를 조건으로 개방되며, 수화;자막;음성해설이 들어있는 영상 10편도 국가문화유산포털과 복지TV 방송에서 방영된다.아울러 디자인을 새롭게 단장한 '사이버문화재탐방관'은 30여 개의 콘텐츠를 추가했으며 고품질의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문화유산 3D', 지역별로 다양한 문화유산을 소개하는 '문화유산 이야기' 코너를 신설한다. 특히 '기록유산관'은 국민의 관심이 많은 조선왕조 의궤, 승정원일기 등 규장각;장서각 소장 조선왕실도서의 원문 이미지와 텍스트 열람 기능을 오는 19일부터 제공할 예정이다.임재언 코리아넷 기자사진 문화재청jun2@korea.kr 2015.01.13
    상세보기
  • 손수 뜨개질한 ‘왕털실’ 모자 덕분에 올 겨울 따뜻해요

    손수 뜨개질한 ‘왕털실’ 모자 덕분에 올 겨울 따뜻해요

    ▲ 손가락만한 굵기의 두꺼운 실로 직접 뜨개질한 모자가 올 겨울 한국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요즘 한국에서는 손가락 굵기만한 두꺼운 실로 직접 뜨개질한 모자가 인기다.거리에는 머리보다 훨씬 큰 털실모자를 뒤집어 쓰고 겨울 추위를 버티는 젊은이, 어린이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이 모자는 큰 사랑을 받고 있다.▲ 동대문종합시장 지하1층 장미모사에서 젊은 여성들이 옹기종기 모여 모자를 뜨개질하고 있다.▲ 다른 실과 비교에 굵기 면에서 확연히 차이가 나는 일명 ;왕털실;서울의 패션가, 동대문에서도 이런 털실을 파는 가게가 몰려있다. 매장 곳곳에는 빨간색, 분홍색, 파란색, 초록색 등 형형색색의 두꺼운 실타래 뭉치들이 가득하다. 패션뿐만 아니라 ;손뜨개;가 가진 아날로그적 감성에 끌려 이곳을 찾아오는 손님들도 부쩍 늘었다.동대문종합시장 지하1층 장미모사를 운영하는 김채원 씨는 이 모자를 ;왕털실 모자;라고 불렀다. 김씨는 ;이번 겨울 초 개인블로그(http://blog.naver.com/defult3000)에 왕털실로 짠 모자를 올렸더니, 한 달도 채 안돼 이 모자를 찾는 손님들이 크게 늘었다;며 ;별 생각 없이 올린 사진이 이렇게 큰 인기를 일으키게 될지 생각도 못했다;고 말했다.▲ 동대문종합시장 지하1층에서 장미모사를 운영하고 있는 김채원씨는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등 해외에서 온 손님들도 ;왕털실;을 많이 찾고 있다;고 말한다.이 가게 구석에서 옹기종기 모여 앉아 굵고 짧은 바늘 한 쌍을 이용해 왕털실을 엮고 있는 10명 정도의 젊은 여성들이 눈에 띄었다.김씨는 ;주로 젊은 여성분들이 찾아와서 4만원짜리 털실 한 타래를 사서 뜨개질하는 방법을 배운다;며 ;바늘과 실이 워낙 굵어서 1시간 내에, 뜨개질에 능숙한 사람은 30분만에 모자 하나를 뚝딱 만들어서 가져간다;고 말했다. ▲ 초보자라도 실과 바늘이 두꺼워 1시간 내에 모자 하나를 금방 만들어 낼 수 있다.동대문종합시장에 있는 많은 가게에서는 털실을 사면 바늘을 빌려주고, 무료로 모자 뜨는 법도 가르쳐 준다. 4만원짜리 털실 한 타래를 사면 모자 두 개를 만들 수 있다.언니에게 줄 생일선물로 왕털실 모자를 짜고 있던 정다원 씨는 ;털실 값 외에 드는 비용이 없어서 크게 부담되지 않다;며 ;한 땀 한 땀 정성스레 따서 선물하는 것도 의미 있고, 직접 뜨개질 하는 것도 너무 재미있다;고 말했다.글 손지애 코리아넷 기자사진 전한 코리아넷 기자jiae5853@korea.kr 2015.01.13
    상세보기
  • 박 대통령, 올해는 경제활력과 국가혁신의 절호의 기회

    박 대통령, 올해는 경제활력과 국가혁신의 절호의 기회

    박근혜 대통령이 12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신년기자회견에서 남북관계, 경제혁신 3개년 계획, 공공부문 개혁 등 정책구상을 밝혔다.박대통령은 ;올해는 광복 70주년이 되는, 우리 국민들에게 매우 의미 있는 해이며 경제활력을 되찾고 국가혁신을 위해 국력을 결집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전제하고 ;정부는 이러한 기회를 잘 살려서, 국민과 함께 희망의 2015년을 만들어가겠다;고 다짐했다.이어 ;최근 세계 경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전환기에 놓여있고, 각국의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며 ;이런 도전을 극복하기 위해 작년에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며 방만한 공공부문과 시장의 잘못된 제도와 관행을 바로 잡아 ;기초가 튼튼한 경제;를 만들고, 창조경제를 통해 우리경제를 ;역동적인 혁신경제;로 탈바꿈시키며, 성장의 과실이 국민들께 골고루 돌아가도록 ;내수․수출 균형경제;를 만들어 나가는 계획이 차질 없이 추진되면 우리 경제는 잠재성장률 4%대, 고용률 70%, 국민소득 4만 달러로 나아가는 경제로 바뀌게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밝혔다.▲ 12일 청와대에서 열린 신년기자회견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기초가 튼튼한 경제;를 이룩하고 한국경제를 ;역동적인 혁신경제;로 탈바꿈시키겠다고 말했다.먼저 박대통령은 공공, 노동, 금융, 교육 등 4대 부문을 중심으로 구조개혁에 박차를 가해서 ;기초가 튼튼한 경제;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환경변화에 따라 불필요해지거나 중복된 공공기관의 기능은 과감히 통폐합해서 핵심역량 위주로 기능을 재편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공무원연금도 정년연장과 임금피크제 도입 등 사기진작책을 보완해서 여야가 합의한 4월까지는 꼭 처리해 줄것을 요청했다. 아울러 노와 사는 상생의 정신을 바탕으로 3월까지는 반드시 노동시장 구조개혁 종합대책을 세워 줄것을 주문했다. 이와함께 입시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꿈과 끼를 살려주는 자유학기제를 더욱 확산해 나가고 산업수요에 맞는 현장중심 교육으로 전환하기 위해 스위스 도제식 직업학교를 시범 운영하고 취업을 전제로 기업과 계약한 전문대학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박대통령은 경제의 역동성을 회복하기 위해 창조경제를 전국, 전 산업으로 확산시키겠다고 말했다. 먼저 창조경제의 주역인 중소․벤처기업을 적극 육성․지원하기 위해 대기업과의 1:1 전담지원체계를 갖춘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상반기까지 전국 17개 시;도에 모두 개소해서 원스톱 지원체계를 갖춰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제조업 혁신 3.0전략을 본격 추진, 스마트 공장 확산 등 공정혁신과 사물인터넷, 3D 프린팅, 빅데이터 등 핵심기술 개발을 통해서 새로운 미래 성장동력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세종 창조마을 출범을 계기로 스마트 팜을 본격적으로 보급하고 농촌 관광․유통․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도 ICT 표준모델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특히 문화는 창조경제에 끊임없이 새로운 동력을 제공하는 핵심 콘텐츠이자, 새로운 경제영토를 개척하는 첨병이라며 정부는 창조 문화가 이끄는 미래 신성장 동력을 만들어 우리의 미래를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의지를 피력했다.박 대통령은 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복지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에 대해서도 구상을 밝혔다. "암, 심;뇌혈관 및 희귀난치성 등 4대 중증질환에 대한 진료비 부담과 상급병실료, 선택진료비, 간병비 부담을 지속적으로 낮추겠다"며 "기초생활보장제도는 맞춤형 급여체계로 개편해서 더 많은 분들에게, 더 충실한 지원을 해드리면서, 소득이 늘어나도 의료;주거 등 필요한 지원을 계속 받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12일 청와대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남북관계와 통일의 비전;방향과 관련해 박 대통령은 "북한은 더 이상 주저하지 말고, 대화에 응해야 한다"며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부터 북한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민족 동질성 회복 작업 등에 남북한이 서로 머리를 맞대고 논의해서 함께 통일의 문을 열어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 "정부는 앞으로 남북관계 발전과 평화통일의 기반구축을 위해 민간차원의 지원과 협력으로 실질적인 대화와 협력의 통로를 만들어 나가고자 한다"고 덧붙였다.박 대통령은 "특히 이산가족문제는 생존해 계신 분들의 연세를 고려할 때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는 문제"라며 "이번 설을 전후로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질 수 있도록 북한이 열린 마음으로 응해 줄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 "올해 광복절 70주년을 기념하는 여러 가지 공동 행사를 남북이 함께 만들어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질의응답에서 남북 정상회담에 대한 질문에 대해 박 대통령은 "분단 고통 해소와 평화통일의 길을 열기 위해서는 필요하다면 누구라도 만날 수 있다. 남북 정상회담도 그런데 도움이 되면 할 수 있다"며 "전제조건은 없다"고 강조했다. 또 "대화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열린 마음으로 진정성 있는 자세가 꼭 필요하다"고 밝혔다.북한의 비핵화에 대해서도 박 대통령은 "전제조건은 아니지만 이런 것이 전혀 해결 안 되는데 평화통일을 얘기를 할 수는 없다"며 "남북협의나 다자협의에서 대화로 이 문제도 풀어가야 한다"고 지적했다.안보와 관련해 박 대통령은 "정부는 한미동맹을 굳건히 유지하면서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내실화하고, 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는 일본과의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면서 한;러 관계의 안정적 발전을 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질문에 박 대통령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경우에는 연세가 상당히 높으셔서 조기에 해결책이 나오지 않으면 영구미제로 빠질 수 있다"며 "그것은 한;일관계 뿐 아니라 일본에게도 무거운 역사의 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국민 눈높이에 맞고 국제사회도 수용 가능한 안이 도출되도록 지금도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위택환 임재언 코리아넷 기자사진 연합뉴스whan23@korea.kr 2015.01.12
    상세보기
  • 이야기 보물창고, '창조자산 마당 아카이브' 구축

    이야기 보물창고, '창조자산 마당 아카이브' 구축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한 곳에 담은 '이야기 보물 창고'가 신설된다.문화체육관광부는 창작 활동을 하는 작가 등 창작자의 소재 검색을 지원하는 ;창조자산마당 아카이브;홈페이지를 다음 달 2일 공개한다고 밝혔다. 창조자산마당 아카이브는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민속박물관,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전번역원, 문화정보센터, 저작권위원회, 콘텐츠진흥원 등 7개 기관이 보유한 137만여 건의 데이터베이스(DB)를 연계해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다. ▲ 창조자산마당 아카이브는 국립문화재연구소(위), 한국콘텐츠진흥원(아래)를 비롯해 7개 기관의 다양한 정보들을 함께 담아 통합 제공한다.창조자산마당 아카이브는 국립문화재연구소(위), 한국콘텐츠진흥원(아래)를 비롯해 7개 기관의 다양한 정보들을 함께 담아 통합 제공한다.아카이브 홈페이지는 7개 기관 사이트에 담긴 각각의 메타데이터를 통합, 이를 10개의 큰 카테고리와 34개의 세부 항목으로 나누어, 이용자들이 검색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아카이브에서 검색할 수 있는 자료의 범위는 상당하다. 역사 고전의 경우, 원문을 비롯해, 번역본, 사진, 그림 등이 통합 제공된다. 예를 들어, 조선왕조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를 검색하면 관련 실록과 설화, 사진, 지도 등 관련 자료가 함께 제공되는 것. 이와 함께, 문서자료 외에 연관검색과 멀티미디어 자료도 동시에 제공되어, 창작자는 영화, 소설, 드라마 등에 쓰일 소재를 심층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또한, 연말을 목표로 네이버 지식백과를 포함해 민간분야 자료 사이트와 연계도 추진해 다양한 범위에서 폭넓은 검색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홈페이지는 이미지와 아이콘을 중심으로 단순화하고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구성되며, 무료로 운영될 계획이다.이승아 코리아넷 기자slee27@korea.kr 2015.01.12
    상세보기
  • 박대통령, 올랑드 프랑스대통령에 위로전문

    박대통령, 올랑드 프랑스대통령에 위로전문

    지난 9일 박근혜 대통령은 프랑스 시사 주간지 샤를리 엡도(Charlie Hebdo)사에 대한 총격 테러사건과 관련,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에게 위로전을 보냈다.▲ 박근혜 대통령이 9일 샤를리 엡도사에 대한 테러사건과 관련,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에게 위로전을 보냈다.박 대통령은 ;7일 귀국 시사 주간지 샤를리 엡도(Charlie Hebdo) 본사에 대한 테러로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한 데 대해 저와 우리 국민의 깊은 애도를 보낸다;며 ;특히 이번 테러로 무고하게 희생된 분들의 명복을 빌며, 희생자 유가족들에게 심심한 위로의 뜻을 전한다;고 밝혔다.이어 ; 대한민국 정부는 테러는 어떠한 경우에도 정당화될 수 없는 반문명적이고 반인류적인 범죄행위로서 반드시 근절되어야 한다는 확고한 입장이며, 테러 근절을 위한 프랑스 정부의 노력을 강력히 지지하고, 유엔 등 국제사회의 테러 척결 노력에 적극 동참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대통령은 ;올랑드 대통령의 리더십하에 프랑스 온 국민이 이번 테러로 인한 충격과 슬픔을 조속히 극복하기를 바라며, 대통령님의 건안을 기원한다;고 말했다.위택환 코리아넷 기자whan23@korea.kr 2015.01.12
    상세보기
  • 옛 서양인이 바라본 제주도

    옛 서양인이 바라본 제주도

    한반도 최남단에 위치한 가장 큰 섬, 제주도는 아름다운 경관과 함께 이곳에 깃든 역사, 문화가 풍부해 국내뿐 아니라 많은 해외 관광객들이 바다 건너 찾아오는 곳이다.옛 서양인들이 본 이 섬의 모습은 어떨까?18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걸쳐 제주도를 직접 방문한 서양인 7명이 작성한 항해기나 탐사기를 엮은 자료집 ;서양인들이 남긴 제주도 항해;탐사기(Seven Accounts of Jeju-do Published in Western Countries;가 발간됐다.▲ 1787년부터 1936년까지 7명의 서양인들이 기록한 제주도 항해기를 엮은 ;서양인들이 남긴 제주도 항해;탐사기;는 한국어, 영어, 프랑스어로 발간됐다.330쪽 분량의 이 책에는 1787년부터 1936년까지 약 150년간 사이에 방문한 이들의 다양한 경험과 기록들이 영어, 프랑스어로 담겼다. 총 7편 중 1편은 프랑스어고 나머지는 영어다.18세기 프랑스 해군사관 출신의 항해가인 라페루즈가 세계 일주 항해하던 1787년 5월 21일, 제주도 남단을 5일간 지나면서 기록한 ;켈파트 섬(제주도)에서 다즐레 섬(울릉도)까지; 제목의 항해기가 실려있다.▲ ;서양인들이 남긴 제주도 항해;탐사기;에 프랑스어로 실린 프랑스 항해가 라페루즈의 ;켈파트 섬(제주도)에서 다즐레 섬(울릉도)까지;라페루즈는 ;섬의 중앙에는 약 2km 높이의 산이 우뚝 솟아있고, 육지는 완만하게 경사를 이루면서 해안 쪽으로 뻗어있으며, 그 주변으로 민가가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있었다;며 ;망원경으로 보니 밭은 구획돼 있으며, 다양한 색채의 농작물들이 이 섬의 풍경을 더욱 아름답게 만들어 주고 있었다;고 기록했다.또한 ;이 섬은 외국인과의 교섭을 일절 금지하고 있었고, 난파한 네덜란드 상선의 생존자들은 18년간 이곳에 억류돼 있다가 탈출했다;며 유명한 ;하멜표류기;의 내용을 인용하기도 했다.▲ 영국인 선원이자 화가인 프랭크 매리엇이 기록한 ;켈파트 섬(제주도) 견문록;영국의 선원이자 화가인 프랭크 매리엇이 쓴 ;켈파트 섬 견문록;도 실렸다. 그는 영국 선장 에드워드 벨처의 ;사마랑호 탐사항해(1843-46);에 동승해 직접 보고 느낀 제주도를 기록했다.매리엇은 ;제주도는 원추형, 안장형, 테이블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지닌 무수한 구릉으로 구성돼 있다;며 제주도 동부지역에 솟아있는 오름들을 묘사했다. 또한 ;구릉 중 대부분의 꼭대기엔 요새들이 지어있고, 매일 저녁 이곳에 불이 피워 올려졌다. 이 불빛 신호를 받고 전달하는 신속한 응답체계는 놀랄만하다. 나는 5분도 채 안 된 사이에 전 해안에 불이 밝혀지는 것을 보았다. 마치 갑작스럽게 터져 나온 작은 화산과도 같았다;고 기록했다.이외에도 외과의사 애서 애덤스가 쓴 ;제주도 박물학;, 상하이 주재 영국인 특파원 미스터 맥(Mr. McD, 필명)의 제주도 난파기 ;1851년 제주도에 난파한 프랑스 선원들을 구조하기 위해 내도한 파견단 이야기;, 그리고 서양인 여성이자 선교사인 로라 맥랜 스미스가 쓴 한라산 등산기 ;코리아 켈파트 섬; 등이 실려있다.▲ 외과의사 애서 애덤스가 쓴 ;제주도 박물학;▲ 서양인 여성이자 선교사인 로라 맥랜 스미스가 쓴 한라산 등산기 ;코리아 켈파트 섬;글 손지애 코리아넷 기자사진 제주시우당도서관jiae5853@korea.kr 2015.01.09
    상세보기
  • 한국정부, 프랑스 언론사 테러사건 강력 규탄

    한국정부, 프랑스 언론사 테러사건 강력 규탄

    한국정부는 8일 ;프랑스 언론사 테러 관련 외교부 대변인 성명;을 통해 지난 7일 프랑스 파리에서 발생한 시사 주간지 ;샤를리 엡도(Charlie Hebdo);테러 사건에 대해 강력히 규탄하고 희생자 유가족에 애도의 뜻을 전했다.정부는 ;이번 테러로 인해 경찰관을 포함한 많은 인명이 희생된 데 대해 충격을 금할 수 없으며, 이러한 테러 행위를 강력히 규탄한다;며 ;이번 테러로 무고하게 희생된 분들의 명복을 빌며, 희생자들의 유가족들과 프랑스 국민들에게 깊은 애도와 위로의 뜻을 전한다;고 밝혔다.이어 ;테러는 어떠한 경우에도 정당화될 수 없는 반문명적이고 반인륜적인 범죄행위로서 반드시 근절되어야 한다는 확고한 입장 하에, 테러 근절을 위한 프랑스 정부의 노력을 지지하며, 아울러 테러 척결을 위한 유엔 등 국제사회의 노력에 적극 동참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손지애 코리아넷 기자jiae5853@korea.kr 2015.01.09
    상세보기
  • 스미스소니언 소장 한국유물 대거 온라인 공개

    스미스소니언 소장 한국유물 대거 온라인 공개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이 소장한 781점의 한국 문화재들이 온라인으로 공개됐다.미국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의 프리어;새클러 갤러리는 아시아지역 유물과 작품 4만691점을 5일 홈페이지(open.asia.si.edu)에 게재했고 이 가운데 한국 유물 781점이 공개됐다.온라인에 공개된 한국의 주요 유물은 고려불화 3점을 포함 고려청자 매병;정병, 조선시대 백자, 분청사기, 병풍, 청동 거울, 수묵화 등 그 종류도 다양하다. 공개 이전에 알려졌던 한국 문화재 550점 외에 도자기 파편, 토기 조각 231점까지 수장고에 있는 유물들이 모두 공개됐다. 13세기 말~14세기 중반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고려 불화 3점은 한국에서도 그 가치를 높게 평가 받아 왔다.이번에 공개된 유물들은 디트로이트 출신의 철도차량 제작업자 찰스 랭 프리어(Charles Lang Freer, 1854-1919)와 정신과의사이자 자선사업가인 아서 미첼 새클러(Arthur Mitchell Sackler, 1913-1987)가 기증한 것이다. 이 가운데 한국 유물들은 대부분 일제강점기(1910~1945)에 골동품 회사인 야마나카 상회에서 구입한 것이다. 프리어는 일본에서 사용되던 조선시대 다기에 매료돼 이를 폭넓게 수집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려불화 수월관음도(14세기 중반)프리어;새클러 갤러리는 지난 1998년부터 소장품을 디지털화하는 작업을 진행해 왔으며 이를 모두 공개했다. 홈페이지에는 한국 유물 외에도 중국 13,831점, 일본 12,115점, 태국 3,053점 등 동아시아, 중앙아시아, 중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역에서 수집된 문화재 사진들이 게재됐다.▲ 고려청자 정병(12세기말 ~13세기 초)줄리안 레이비(Julian Raby) 프리어;새클러 갤러리 책임자는 이번 온라인공개에 대해 "예술민주화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스미스소니안박물관은 향후 소장 문화재의 360도 이미지와 3D 입체영상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임재언 코리아넷 기자사진 스미스소니안박물관jun2@korea.kr▲ 고려불화 지팡이를 든 지장보살(13세기말~ 14세기 초)▲ 고려불화 아미타불과 여덟보살 (14세기 후반)▲ 모란과 국화상감무늬가 있는 고려청자 정병(12세기말 ~13세기 초) 2015.01.08
    상세보기
  • 무슬림 음식 가이드북 발간

    무슬림 음식 가이드북 발간

    한국을 방문하는 무슬림 관광객을 위한 음식 가이드북이 발간됐다.한국관광공사는 ;무슬림 음식 가이드북 (Muslim Friendly Restaurants in Korea); 영문책자를 출간했다. 할랄(Halal)음식 외에 돼지고기, 술, 콜라겐 등 육류 파생물질을 금기시하는 무슬림 관광객들의 편의를 반영한 것이다.이 책은 한국 내 할랄 인증 식품 소개와 구매정보와 함께 전국 지역별 주요 한식당 소개, 한식 메뉴 분류, 식당에서 유용한 한국어 대화, 각종 유용한 정보와 조언, 대중교통 정보 등으로 구성됐다. 모하메드 알하르시(Mohamed Alharthy) 주한 오만 대사, 그리고 한국에 거주하는 이슬람권 국가 주요 인사와 유학생들의 한국음식, 한국생활 경험담도 포함됐다.관광공사는 ;무슬림 식당 친화 등급제;를 시범 도입, 전국 118개 식당과 36개 주요 한식 메뉴를 무슬림 친화 정도에 따라 분류했다.한식당의 경우, ;돼지고기를 판매 않고 비(非)할랄 육류를 이용해 조리하는 레스토랑 (Pork-Free);부터 ;한국이슬람교중앙회(KMF: Korea Muslim Federation) 공식 인증 식당 (Halal Certified);까지 총 5개 등급으로 나눠 소개됐다.한식메뉴도 '육류를 기본재료로 만든 음식이나 돼지고기는 포함되지 않은 음식(Meat based food but no pork)'부터 '모든 식재료가 야채(Vegetable only)인 음식;까지 총 4개 범위로 분류됐다.▲ ;무슬림 음식 가이드북;은 전국의 주요 식당 118곳을 5개 등급으로 자체 분류해 할랄 인증 정보를 표시했다.▲ ;무슬림 음식 가이드북;은 총 36개 주요 한식 메뉴를 4개 범위로 분류해 소개하고 있다.▲ ;무슬림 음식 가이드북;에는 주한 오만 대사 등 한국에 거주하는 이슬람권 국가 주요 인사들과 유학생들의 한국식당, 한국음식 경험담 등이 소개됐다.한국관광공사는 ;할랄 음식은 무슬림 관광객이 여행 목적지를 선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라며 ;무슬림 친화 등급제 도입으로 이슬람권 관광객들이 한국의 다양한 음식문화를 경험할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무슬림 음식 가이드북;은 주한 이슬람권 국가 대사관 등에 제공되며 관광공사 영문 홈페이지에서도 전자책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무슬림음식 가이드북; 전자책 다운로드 주소는 아래와 같다. http://english.visitkorea.or.kr/e_book/ecatalog.jsp?Dir=436&catimage=&eclang=english윤소정 코리아넷 기자arete@korea.kr▲ ;무슬림 음식 가이드북; 표지 2015.01.08
    상세보기
  • 70년 동안 한반도를 달려온 삼천리자전거

    70년 동안 한반도를 달려온 삼천리자전거

    한반도에 자전거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세기말 개화의 바람이 불면서 서양의 문물이 들어올 때다. 한국에서 자전거를 처음 탄 사람은 독립협회의 설립을 주도한 개화파 윤치호(1865 ~ 1945)라는 기록도 있고 개화기에 한국에 들어온 서양 선교사와 군인들이라는 기록도 있다.서울 YMCA 명예총무였던 전택부는 1998년 발간한 '윤치호의 생애와 사상'이라는 책에서 육남 최남선이 전하는 윤치호의 자전거 일화를 소개하고 있다. 이 책에는 최남선이 "윤치호가 한국에서 자전거를 제일 먼저 수입하여 타고 다닌 사람이오"라며 "나는 어릴 때 그가 종로 네거리를 자전거 타고 씽씽 달리는 것을 보고 나도 언제 윤치호처럼 되나 하며 얼마나 부러워했는지 모른다"라고 말했다고 적혀있다.미국의 선교사이자 의사인 호레이스 알렌(Horace Allen)은 '조선견문기'에서 자전거에 대한 기록을 남기고 있다. 1884년 미국 장교 한 사람이 제물포에 정박중인 배에서 높은 바퀴가 달린 구식 자전거를 하나 갖고 왔다. 알렌은 그 장교가 자전거를 타는 광경을 보려고 많은 군중들이 모여들었다고 적었다.알렌의 뒤를 이어 고종의 주치의가 된 캐나다 선교사인 올리버 에비슨(Oliver Avison)박사도 자전거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그는 '구한말 40여년의 풍경'이라는 책에서 궁궐에 출입할 때 가끔 자전거를 이용했는데 고종에게 자전거를 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적었다.자전거는 1950년 초반 한국에서 처음 생산되기 시작했는데 한국 최초의 자전거 제조업체가 바로 삼천리자전거이다.삼천리자전거는 1944년 기아자동차 창업자인 김철호가 설립한 경성정공에서 출발했다. 자전거부품 업체로 시작한 이 회사는 1952년 기아산업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한국 최초의 자전거인 '3000리호' 자전거를 생산하면서 관련 산업의 기틀을 세웠다. 1979년 기아산업에서 분사하면서 삼천리자전거공업(주)로 출범했고 1985년 기아그룹에서 분리;독립했다.▲ 1952년 생산된 한국 최초의 자전거 '3000리호'이 회사의 이름인 삼천리는 "한반도 삼천리를 가로질러 달리겠다"는 의미에서 지어졌다. 옛사람들은 한국을 삼천리금수강산이라고 불렀는데 한반도의 가장 남쪽인 전라남도 해남 땅끝에서 서울까지 1,000리, 서울에서 함경북도 온성까지를 2,000리를 합치면 3,000리(1,178km)가 된다.삼천리자전거는 1965년 최초로 해외에 자전거 수출, 1968년 자전거 부문에서는 처음으로 품질보증 인증인 KS마크를 획득했다. 1987년 한국 최초로 연간 자전거생산 100만대를 돌파하고 무역의 날 '1천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는 등 의미 있는 진일보를 이뤘다.이후 삼천리자전거는 과거의 영광에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이 새로운 제품을 개발해왔다. 1991년 삼천리자전거의 통합브랜드인 '레스포(Lespo)'를 발표하고 5년 후 고급자전거 전문브랜드인 '첼로(Cello)'를 도입했다. 레스포는 레저와 스포츠의 합성어로 유아용 자전거, 산악용, 여성용, 경기용, 하이브리드, 전기 자전거 등 거의 모든 종류의 제품을 대표하는 브랜드다. 또 고급 산악용 자전거 브랜드인 '아팔란치아(Appalanchia)'와 보급형 브랜드인 '하운드(Hound)', '넥스트(Next)' 등도 발표했다.▲ 산악용자전거인 '아팔란치아' 시리즈▲ 장거리용 자전거인 '로드바이크 XRS'삼천리자전거는 독자적인 기술개발에도 힘써왔다. 신기술 적용에도 힘써온 이 회사는 2000년 전기 및 전동스쿠터를 개발한 이후 지속적으로 전기자전거를 생산;공급하고 있다. 최근 전기자전거는 일반 자전거와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완성도가 높아졌으며 무게 또한 가벼워졌다.이 회사는 최근 인기가 높아져가고 있는 경량 하이브리드 자전거 프레임의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 2013년부터 기존 강도대비 50% 향상된 알루미늄 튜브를 적용하고 있다. 또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아동용자전거에 다양한 안전장치를 채택하고 있다. 축과 핸들 등의 뾰족한 부분에 플라스틱 커버를 적용했으며 체인케이스에도 안전커버를 부착했다. 아동용자전거 전 제품에 유해물질이 없는 안전한 소재로 제작된 부품들만 이용하고 있다.▲ 삼천리자전거가 2014년 내놓은 전기자전거;팬텀;시리즈삼천리자전거는 기술개발 뿐만 아니라 자전거 문화 확산에도 노력해왔다. 건강, 웰빙 열풍이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산악자전거 대회 개최, 자전거 체험단 운영 등 여러 행사를 열고 있다.▲ 2010년 준공된 삼천리자전거의 경기도 의왕공장임재언 코리아넷 기자사진 삼천리자전거jun2@korea.kr 2015.01.07
    상세보기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