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전체동향

게시일
2017.08.23

홍콩 문화창의산업(CCI) 현황

□ 주요 내용
ㅇ 홍콩정부는 미술, 공연예술, 건축, 영화, 출판, 게임·소프트웨어 등 11개 분야 문화창의산업(CCI: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y)에 대한 정의를 확립하고 2011년부터 매년 문화창의산업통계를 발표하고 있는바, 최근 2015년 기준 홍콩의 문화창의산업 현황을 발표함.

    * 홍콩정부의 “문화창의산업” 정의에는 우리나라 문화콘텐츠산업 영역과 함께 민간 영역의 미술, 도서관·박물관, 공연예술, 건축 등 문화예술 분야가 포함됨.

홍콩의 문화창의산업은 2005~2015년까지 연 평균 7.6% 성장하였고, 동 기간 GDP 평균 증가율 5.4%를 상회함. 동 산업의 GDP 비중 역시 2005년 3.8%에서 2015년 4.7%로 증가함. 다만 전체 산업 GDP 대비 CCI의 비중은 2013년 5.1%로 최고치를 기록했다가 2014년 5.0%, 2015년 4.7%로서 감소하고 있음.

    - 2015년 동 산업의 부가가치 총액은 1,089억 홍콩달러(약 16조원)로서 2014년 1,097억 홍콩달러에 비해 0.73% 감소함.

      * 우리나라 콘텐츠산업의 경우 2015년 기준 매출액 100조원(약 890억 달러), 고용인력 61만 여명, 수출액 약 58억 달러 수준임.

고용 측면에서 2005년 171,990명에서 2015년 213,880명로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 2.2%를 기록하였고, 이는 홍콩의 총 연평균 고용증가율 1.2%보다 빠른 증가율임.  총 고용에서 CCI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5년 5.1%에서 2015년 5.7%로 증가함. 

2015년 문화창의상품의 총수출액은 4,879억 홍콩달러(약 71조 원)로 2014년과 비교했을 때 3.4% 하락하였으며, 이는 2012년 이래 4년 연속 하락한 것임. 홍콩 상품 총 수출액 대비 비중 역시 13.5%로서 전년 대비 0.3% 감소함.



1. 조사 개요

 ㅇ 홍콩 조사통계국(C&SD)은 2010년 홍콩 CCI의 통계 기초 보고서를 완성한 후 2011년 CCI의 2008~2009년 종합 산업통계(부가가치와 고용)를 발표함. 2012년에는 2005~ 2010년까지 CCI의 11개 구성 영역 별 자세한 산업 통계를 발표하였고 2013년 산업 통계와 별개로 2005~2011년의 문화창의상품 및 서비스 거래 통계를 발표함.

 ㅇ 문화창의산업(CCI) 구성 분야
   - 미술, 고미술, 공예
   - 문화교육, 도서관, 아카이브, 박물관서비스
   - 공연예술
   - 영화, 비디오, 음악
   - 텔레비전, 라디오
   - 출판
   - 소프트웨어, 컴퓨터게임, 쌍방향미디어
   - 디자인
   - 건축
   - 광고
   - 오락서비스

2. 2005~2015년 CCI의 발전 추이

ㅇ 동 기간 CCI의 부가가치는 평균적으로 7.6%로 상승했고, 이는 홍콩의 평균 GDP상승률인 5.4%보다 현저하게 빠른 증가율임. 이와 같이 GDP 대비 CCI의 부가가치 비율은 2005년 3.8%에서 2015년 4.7%로 증가함.

  - 산업별로는 소프트웨어‧게임‧미디어 분야의 비중(42.4%)이 가장 큰 가운데, 출판(11.6%), 건축(9.8%), 미술‧공예(9.3%), 광고(8.4%)산업 등 5개 산업군이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함.


<표1- 홍콩 문화창의산업 분야별 부가가치>
  단위: mllion HKD
 구  분  2005  2011  2012  2013  2014  2015
 예술, 고미술, 공예  4,223  10,142  11,446  13,633  12,199
 10,157
(9.3%)
 문화교육 및 도서관, 아카이브, 박물관서비스  -  1,137  1,161  1,246  1,465
 1,289
(1.2%)
 공연예술  661  872  932  876  954
 1,196
(1.1%)
 영화, 비디오, 음악  2,243  3,239  3,643  3,524  3,106
 3,469
(3.2%)
 텔레비전, 라디오  5,543  7,322  7,043  7,986  6,431
 7,174
(6.6%)
 출판  14,145  13,329  14,066  14,112  13,894
 12,602
(11.6%)
 소프트웨어, 컴퓨터게임, 쌍방향미디어  16,508  32,663  37,755  40,265  44,387
 46,141
(42.4%)
 디자인  1,001  3,615   3,310   3,711   4,080 
 4,146
(3.8%) 
 건축  3,161   8,537   9,261   9,762   11,058 
 10,724
(9.8%) 
 광고   3,869   7,128  7,322   8,682   9,254 
 9,182
(8.4%) 
 오락서비스  904   1,566   1,899   2,253   2,852 
 2,840
(2.6%) 
 총액  52,258   89,551   97,837  106,050  109,680  108,920 
 ( )안의 수치는 문화창의산업내 각 산업별 비중임


홍콩 문화창의산업 분야별 부가가치



ㅇ 한편 동 기간 CCI의 고용측면의 경우 2005년 171,990명에서 2015년 213,880명(2014년 대비 0.4% 증가)로 증가하여 평균 연간증가율 2.2%를 기록하였고 이는 총 연간 평균 고용증가율 1.2%을 상회함. 홍콩 총 고용에서 CCI의 비중은 2005년 5.1%에서 2015년 5.7%로 증가함. 


   - 산업별로는 소프트웨어‧게임‧미디어 분야의 비중(26.5%)이 가장 큰 가운데, 출판(19.0%), 미술‧공예(8.8%), 광고(8.8%), 영화‧음악(7.0%)산업이 전체 CCI 고용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음.


<표2- 홍콩문화창의산업 분야별 고용인력>
단위: 명
구  분  2005  2011  2012  2013  2014  2015
 예술, 고미술, 공예 18,090 17,160 17,730 18,430 19,240
19,240
(8.8%)
 문화교육 및 도서관, 아카이브, 박물관서비스 8,810 9,100 9,420 10,430
10,800
(5.0%)
 공연예술 2,610 3,370 3,810 4,200 4,800
5,110
(2.4%)
 영화, 비디오, 음악 14,010  14,180 14,700 14,990 14,960
15,050
(7.0%)
 텔레비전, 라디오  7,350 5,460 5,730 6,420 6,740
6,960
(3.3%)
 출판 47,010 44,550 44,220 43,900 42,660
40,810
(19.1%)
 소프트웨어, 컴퓨터게임, 쌍방향미디어  39,930 46,600 49,700 52,600 55,520
56,730
(26.5%)
 디자인 9,610 13,150 14,140 15,120 15,820
16,220
(7.6%)
 건축 10,560  14,030 14,670 15,310 15,640
15,830
(7.4%)
 광고  16,000 17,600 18,320 18,510 18,650
18,740
(8.8%)
 오락서비스 6,890  8,000 8,230 8,590 8,600
8,810
(4.1%)
 총계 171,990 192,930 200,370 207,490 213,060 213,880
 ( )안의 수치는 문화창의산업내 각 산업별 고용비중임

홍콩문화창의산업 분야별 고용인력



ㅇ 2015년 CCI 부문 상품 총 수출액은 4,879억 홍콩달러(약 71조원)로서 2014년 대비 3.4% 감소함. 이는 홍콩 전체 상품 수출액의 13.5%를 차지함. 수출품 구성으로는 시청각 및 쌍방향 미디어 상품이 72.3%, 그 뒤를 이어 미술‧디자인 상품(13.0%), 공연예술‧기념품(9.9%) 등이 주를 이루고 있음.

<표3-1- 홍콩문화창의상품 총수출>
   단위: mllion HKD
 구   분 2005  2011  2012  2013  2014  2015 
예술 및 공예상품  9,860  11,194  10,696  11,505  11,956  11,980 
시각예술 및 디자인상품  44,926  56,400  63,450  66,430  70,876  63,428 
시청각 및 쌍방향미디어 상품  316,487  362,876  393,864  364,993  363,525  352,662 
공연예술 및 기념품  40,125  52,010  57,469  52,204  47,004  48,517 
출판상품  10,967  13,346  12,395  11,973  11,706  11,359 
수출 총액  422,365  495,826  537,874  507,105  505,067  487,946 



3. 2015년 문화창의산업 상품 및 서비스 거래

 ㅇ 2015년 문화창의산업 상품 총수출액은 4,879억 홍콩달러로 2014년과 비교했을 때 3.4% 하락한 수치를 기록하였고, 이는 홍콩의 상품 총수출액의 13.5%를 차지함. 가장 큰 구성요소는 시청각/쌍방향미디어상품으로 2015년 문화창의상품 총수출의 72.3%를 차지하는 수치임. 그 뒤를 시각예술과 디자인상품(13.0%), 공연예술과 기념품(9.9%), 골동품과 공예품(2.5%), 출판상품(2.3%)이 각각 차지함.

 ㅇ 2015년 문화창의산업 서비스의 총수출액은 248억 홍콩달러로 2014년과 비교했을 때 2.9% 하락하였고, 이는 홍콩의 서비스 총수출액의 3.1%를 차지함. 가장 큰 구성요소는 컴퓨터 서비스로 2015년 문화창의서비스 총수출의 28.9%를 차지했고, 그 뒤를 여론조사(21.6%), 건축·공학·과학 및 기타 서비스(17.4%), 독점판매권 및 상표 사용료를 제외한 지적재산권 사용료(17.1%)가 각각 차지함.

- 작성: 주홍콩 문화홍보관 (2017.8)
※ 해당 콘텐츠는 저작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 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이 불가합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