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일
- 2023.10.27
[미국 / 뉴욕] 10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 문화예술 정책
ㅇ 미술계 동향
ㅇ최근 뉴욕타임즈는 ‘미국 미술관이 한국 미술을 주목한다(American Museums Keep the Spotlight on Korean Art)’ 라는 제하의 기사를 통해 올해 하반기 뉴욕을 포함한 미국 전역에서 열리는 한국 미술 관련 전시를 자세히 소개함. 이번 기사에는 지난 10월 20일 개막한 필라델피아 미술관(the Philadelphia Museum of Art)의 한국 현대미술 특별전, <The Shape of Time: Korean Art After 1989>을 비롯하여 구겐하임 미술관(Solomon R. Guggenheim Museum)의 한국 아방가르드 미술 특별전, <Only the Young: Experimental Art in Korea, 1960s-1970>, 그리고 샌디에이고 미술관(San Diego Museum of Art) 및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Metropolitan Museum of Art), 덴버 미술관(Denver Art Museum)에서 개최될 예정인 한국 미술 특별전시를 집중 조명함. 아울러 이번 전시 기획자들이 모두 한국계 큐레이터라는 점을 부각하며 미국 미술계에서의 한국미술 및 관련 전문가들의 입지가 크게 올라갔다고 분석함. 동시에 이러한 분위기가 K-pop 및 한국영화 등에 대한 문화적 위상과 관심이 고조된 영향도 크다고 평가함.
https://www.nytimes.com/2023/10/20/arts/american-museums-korean-art-exhibitions.html
ㅇ 공연계 동향
- 뉴욕시는 라이브 공연/엔터테인먼트계가 직면한 문제들을 여러 가지 이슈들에 대해 논의하고 해결점을 찾고자 하는 목표로 라이브 공연 산업 위원회를 결성하였음. 주요 공연예술기관, 노조단체, 시정부 대표자들로 구성된 동 위원회는 팬데믹 이후 라이브 공연과 같은 창조 경제 산업이 팬데믹 이후에 당면한 과제 및 이슈들의 해결 및 미래 성장 가속화를 목표로 함. https://www.hollywoodreporter.com/lifestyle/arts/new-york-live-performance-industry-council-1235594389/
- 뉴욕 로워맨해튼 지역에 위치한 세계 무역 센터 단지 내에 신규 공연장 “PAC (Perelman Performing Arts Center)”이 지난 9월 14일 오픈하였음. https://www.nytimes.com/2023/09/14/arts/perelman-performing-arts-center.html
ㅇ 영화계 동향
- 미국 배우조합인 SAG-AFTRA와 할리우드 스튜디오는 지난 9월 10일 협상을 중단한 이후 10주 만에 다시 만나 10월 23일 협상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미배우조합은 임금 인상, 일자리 안정성,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노동 조건 개선 등을 요구하고 있으며 스튜디오는 제작비 상승과 스트리밍 서비스의 성장으로 인해 수익이 줄어들어 해당 요구를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입장을 밝힘.
https://www.hollywoodreporter.com/business/business-news/sag-aftra-studios-return-to-negotiations-1235620634/
https://variety.com/2023/film/news/sag-aftra-amptp-contract-talks-resume-1235764191/
- 미국 배우조합인 SAG-AFTRA는 파업 중인 조합원들이 파업 중인 콘텐츠(바비인형과 웬즈데이아담스)의 의상을 입지 말 것을 지침으로 발표함. 이에 다수의 배우들과 조합원들이 해당 지침은 조합원들의 노동환경을 개선하는 파업과 상관없는 지침이라며 비판하자 미배우조합은 해당 지침은 권고사항일 뿐, 개인의 자유에 맡기겠다는 입장을 발표함.
https://www.hollywoodreporter.com/news/general-news/barbie-wednesday-addams-halloween-costumes-banned-sag-aftra-1235622914/
https://www.hollywoodreporter.com/news/general-news/sag-aftra-clarifies-halloween-costume-rules-ryan-reynolds-1235624100/
ㅇ 요식계 동향
- 뉴욕시 푸드 앤 와인 페스티벌(New York City Food & Wine Festival)에서 숙박업 종사자 대상 대폭 할인 제공
https://www.nydailynews.com/2023/10/05/new-york-city-food-wine-festival-restaurant-worker-discounts/
- 포브스, 2023년 뉴욕의 레스토랑 모습과 트렌드 보도
https://www.forbes.com/sites/johnmariani/2023/01/10/what-new-yorks-restaurant-scene-will-look-like-in-2023/?sh=1a839d926aa4
□ 한류 동향
ㅇ 공연
- 9월 20일, 뉴욕 링컨센터 데이비드 게펜 홀(David Geffen Hall at Lincoln Center)에서 국립합창단의 창작합창서사시 “훈민정음” 북미 초연이 성황리에 개최됨. https://www.lincolncenter.org/venue/david-geffen-hall/the-choral-epic-andquothunminjeongeumandquot
- 9월 28일, 테너 백석종이 “나부코” 작품의 주연으로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 데뷔, 뉴욕타임즈 등 현지의 호평을 받으며 주목받았음. 백석종 테너는 메트 오페라 2023-24 시즌 “투란도트”에서도 주연(칼라프 역)을 맡아 무대에 오를 예정임.
https://www.nytimes.com/2023/09/25/arts/music/opera-seokjong-baek-tenor.html
- 미주 한인 120주년을 기념하여 10월 26일 뉴저지 프루덴셜 센터에서 KBS “불후의 명곡” 콘서트가 개최되어 에이티즈, 싸이, 잔나비, 박정현, 김태우, 패티 김 등 출연 예정. https://news.koreadaily.com/2023/10/17/life/artculture/20231017213616671.html
ㅇ 한식
- 뉴욕타임즈, ‘한식당이 뉴욕의 파인 다이닝을 재창조한 방법’제하 보도▲미래 지향적인 한국 경쟁자 집단이 이제 프랑스 요리가 그랬던 것처럼 도시의 고급 레스토랑 현장을 지배▲고급 한식당 <정식>, <아토믹스>, <나로>, <주아>, <오이지미>, <꽃>, <주막반점>, <녹수>, <꼬치>, <봄> 등 소개
https://www.nytimes.com/2023/08/29/dining/korean-fine-dining-restaurants-nyc.html
- CBS 방송, 최근 세계 10대 레스토랑 중 하나로 선정된 Atomix를 포함하여 뉴욕시 레스토랑 3곳을 운영하는 부부 박정현과 앨리아 박 소개와 함께 한국 음식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린다고 보도
https://www.cbsnews.com/newyork/video/spouses-push-korean-food-to-new-heights-with-nyc-restaurants/
- 뉴욕시 코리아타운 지하철역내 한식당 <녹수> 오프 소개
https://www.fox5ny.com/news/korean-fine-dining-restaurant-opens-in-nyc-subway-station
https://www.youtube.com/watch?v=EBI2KJ9Goyg
□ 여행분야 동향
ㅇ 신청자 수의 전례 없는 증가로 인한 여권 발급 지연
- 코로나의 종식 이후 미국 내 해외여행객들이 급증하여 연초부터 증가한 여권 신청자들의 증가세가 여전히 높게 나타나고 있음. 배송 일정은 별도로 하여 여권 발급에만 10주에서 13주 이상 소요되며, 연방정부는 최소 6개월 전 신청할 것을 권장함. 2022년 기준 2,200만 여권을 발행하며 신기록을 세웠지만, 2023년에는 더 많은 여권이 발행될 것으로 예상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