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전체동향

전체 1,696

페이지 163 / 170

게시물검색영역
  •  2017년 1~2월 스페인 문화 동향 보고

    2017년 1~2월 스페인 문화 동향

    □ 주요 내용□ 교육(언어) 분야□ 문화 분야□ 관광 분야□ 문화(영화) 분야*주요 내용 목차를 클릭하면 해당 부분으로 이동합니다.□ 교육(언어) 분야ㅇ ;스페인어의 경제적 가치; 조사 결과 발표- 텔레포니카재단의 지난 10년간 연구결과 (일간지 ABC, 2.14.); 스페인어로 인한 경제적 효과는 연간 1,640억 유로(약197조 원)으로 전체 GDP의 16% 및 전체 일자리의 16%가 스페인어와 연관이 있음.; 스페인어는 같은 언어권 국가 간 무역을 용이하게 해주어 국외 영업 중인 스페인 기업의 80%가 스페인어가 경영에 도움이 된다고 답변함.; 또한 스페인 내 이민자 중 스페인어 구사가 가능한 자는 그렇지 못한 자보다 임금이 약 30% 높은 것으로 드러남. 미국 내에서도 스페인어 구사가 가능한 경우 최대 10%까지 높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조사됨.; 현재 스페인어를 구사하는 전 세계 인구는 5억 6천 7백만 명으로, 오는 2050년에는 그 수가 7억 5천만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스페인어는 인터넷 상에서 영어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로 조사됨.; 스페인 세르반테스 문화원의 조사에 따르면 약 1,400만 명의 외국인이 스페인어를 제2외국어로 공부하고 있으며, 에라스무스(EU내 교환학생 프로그램)학생들이 가장 많이 찾는 국가도 스페인으로 조사됨.; 동 연구결과 발표회에서 스페인 펠리페국왕은 스페인어의 문화적, 경제적 가치를 강조하면서 언어가 스페인의 주요 경제 동력임을 주장함.- 스페인국민의 외국어 학습율은 매우 낮은 수준 (일간지 El Mundo, 1.5.); 한편 스페인국민의 절대다수(94.8%)가 외국어 구사능력이 중요하다고 답하였지만, 18세 이상 성인 중 외국어를 공부하고 있다고 대답한 사람은 국민 10명 중 단 1명으로 매우 낮은 수치를 기록함.; 외국어 학습자 중 80%는 영어를 공부 중이며, 그 뒤로 각각 불어 및 독어가 가장 많이 배우는 언어로 조사됨.; 스페인국민 중 28%만이 생활영어 수준의 영어구사가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70%의 국민은 영어를 구사하지 못함으로써 얻는 불편함이나 차별이 거의 없다고 대답함. □ 문화 분야ㅇ 신임 세르반테스 총괄 문화원장에 후안 마누엘 보넷 임명- 前파리 세르반테스 문화원장 등 역임 (일간지 El Pais, 1.20. / 스페인 문화부 언론보도 1.27. 등); 스페인 교육문화체육부 추천으로 세르반테스 문화원(마드리드 본부)의 총괄 원장에 후안 마누엘 보넷 임명, 이번 임명에 스페인 외교부는 후보를 추천하지 않음.; 후안 마누엘 보넷은 여러 문화기관의 지휘를 담당했던 문화경영 전문가이자 스페인 컨템포러리예술 분야의 가장 저명한 비평가 중 한명임.; 그는 전임 원장 빅토르 가르시아가 스페인 정부에 수차례 요구한 세르반테스 문화원의 자치권 법률 보장을 비롯하여 브라질과 미국 내 세르반테스 문화원 역할 강화, 아시아?아프리카 지역에 문화원 확대 등 산재한 문제를 우선 처리할 예정임.; 세르반테스는 문화원은 1991년 설립되어 현재 44개국 87개원을 두고 있으며 재외 스페인어 보급 및 문화 진흥 업무를 담당함.ㅇ 후안 마누엘 보넷 약력; 1953년 프랑스 파리 출생(스페인 국적); 1995~2000 발렌시아 모던아트센터 원장; 2000~2004 국립소피아왕비 예술센터 원장; 2012~2017 파리 주재 세르반테스 문화원장; 2017.1.28.~ 세르반테스 문화원 총괄 원장※ 주요 저서: 시집 <그것들은 부서졌다>(2012), 논문 <스페인 아방가르드 사전>(1995)□ 관광 분야ㅇ 제39회 마드리드 국제관광박람회 기록 갱신하며 폐막- 전년대비 전체 방문자수 약 6% 성장 (일간지 ABC, 1.23.); 올해는 아르헨티나가 파트너 참가국으로 참여한 가운데, UN 국제관광기구는(WTO) ;발전을 위한 지속가능한 국제 관광의 해; 선포식을 동 행사장에서 개최하였음.▲ 박람회 모습▲ 박람회 내 한국관 전경 □ 문화(영화) 분야ㅇ 스페인 문화부, 영화아카데미와 협력 약속- 정부와 영화계 간 긴 갈등 해소 전망(일간지 El Mundo, 2.2 / 영화포털 Decine21.com 2.1.); 집권당(PP당)을 비롯한 스페인 정부는 영화계와 지속적인 마찰을 겪고 있는데 주요 원인으로는 영화분야에 높은 부가세 21% 적용 (현재 문화 분야에 적용되는 스페인 내 부가세는 책(E-북 포함) 4%, 공연분야 10%인데 반해 영화는 가장 높은 부가세율인 21%가 적용됨. 올 1월 문화 분야의 부가세 인하가 있었으나 이번에도 영화는 제외되어 현행 21%를 유지하게 되었음.) , 집권기간 동안 영화관련 예산 대폭 삭감 및 정부 총리의 대외적인 반 영화 발언 (라호이 총리는 현지 언론인터뷰에서 ;영화를 보지 않으며 고야상(스페인 최고 권위의 영화제)후보작 역시 단 한편도 본 적이 없다;고 발언하여 영화계의 반발을 삼.) 등이 있음.; 이러한 갈등 속 지난 2월 1일, 스페인 교육문화체육부와 영화예술아카데미 간 상호협력을 위한 협약서에 서명을 하며 분위기의 전환 기대.; 향후 4년간 유효한 이 협약은 양 측의 합의에 따라 최대 6년까지 연장 가능하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1) 영화 박물관 설립 추진 2) 영화계 종사자들 교육 및 지원 3) 영화와 시각예술 분야 연구 촉진▲ 협약서에 서명하는 문화부 장관(오른쪽)과 영화예술아카데미 원장(왼쪽)ㅇ 스페인 영상자료원(필모테카) 신임 고위직 임명- 산재한 갈등 속 기대와 우려(일간지 ABC 12.28. / 스페인 문화부 언론보도 2.17. / 일간지 El Espanol 1.17. / 일간지 El Pais, 2.29. 등); 스페인 영상자료 보존 및 복원 업무를 담당하는 영상자료원은 여러 부분에서 많은 문제를 겪고 있는데 주요 갈등으로는 관련 공무원의 근무기강 해이로 인한 민원 증가, 전문 인력의 계약해지로 인한 업무적체와 자료손실 (현재 스페인 무성영화자료 97%가 보관 및 복원 실패로 인해 손상된 것으로 파악되며, 영상자료는 미술작품보다도 복원이 까다로워 한번 손상되면 복구가 어려운 문제가 있음.), 지속적인 예산 삭감으로 인한 경영난 (2010년 600억 유로 이상이었던 예산이 2015년은 350억 유로(약 43억 원)로 대폭 삭감됨.) 및 지난 27년 간 재직했던 전임 원장 은퇴 후 1년 가까이 미뤄졌던 신임 원장 임명 등이 있음.;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신임 원장에 아나 가예고가 부원장 겸 책임 프로그래머에 까를로스 레비리에고가 신규 임명되며 문제 해결에 대한 기대와 함께 우려의 목소리도 나옴. (스페인영상자료원의 원장은 민간경력자 공개채용이 원칙적으로 불가하고 공무원 중에서 임명되는데 신임 원장은 영화와 전혀 무관한 인사여서 벌써부터 과연 스페인영상자료원의 수장으로서 자격이 있는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옴.)ㅇ 아나 가예고 약력; 그라나다 법학대 졸업; 국가행정부 소속 고위공무원; 2013~ 젠더폭력방지 국가위원회 부위원장; 2017. 2. ~ 스페인영상자료원 원장ㅇ 까를로스 레비리에고 약력; 1999~ 일간지 El Mundo 문화부(영화) 기고; 前 마드리드 TAI 영상학교 코디네이터; 前 관련 출강, 저서 다수 출판 및 국내외 영화제 심사위원 역임; 現 마드리드 독일영화페스티벌 프로그래머; 現 영화매거진 Caiman Cuadernos de Cine 편집고문; 2017. 2~ 스페인영상자료원 부원장 겸 책임 프로그래머작성: 주스페인 한국문화원(2017.2.27.) 주스페인 한국문화원 | 2017.03.02
    상세보기
  • 캐나다 문화행정 조직 및 정책 현황 조사

    캐나다 문화행정 조직 및 정책 현황 조사

    □ 주요 내용1. 캐나다 문화정책 개관2. 문화 정책담당 조직 현황ㅇ 캐나다 문화부 (Canadian Heritage)ㅇ 캐나다 예술위원회(Canada Council for the Arts)ㅇ 주정부 문화부(Provincial Governments; Cultural Ministries)ㅇ 시 정부 문화부(Municipal Governments; Cultural Departments)ㅇ 캐나다 연방정부 외교통상부 (Global Affairs)ㅇ 연방 및 주정부 단위 예술 서비스 기구들3. 문화예술 지원 체계□ 공공분야 문화예술 지원 체계ㅇ 연방정부 지원(Federal funding)(1) 문화부 (Canadian Heritage)(2) 예술위원회 (Canada Council for the Arts)ㅇ 주 정부 지원(Federal funding)(1) 온타리오 주정부의 관광, 문화, 스포츠 부(Ministry of Tourism, Culture and Sport)(2) 온타리오예술위원회(Ontario Arts Council)(3) 온타리오 트릴리움 재단 (Ontario Trillium Foundation)(4) 온타리오 문화미디어 세금공제 프로그램(Cultural Media Tax Credit)ㅇ 시 정부 지원(Federal funding)ㅇ 공공재단 (Public Foundation)ㅇ 기타 한시적 공공지원 프로그램들□ 사적분야 문화예술 지원 체계ㅇ 기업 산하 재단들의 지원ㅇ 개인들의 지원 (Individual philanthropists)□ 공공-사설 연계 지원(P3s ? Public Private Partnership Funding)ㅇ FACTOR의 캐나다 음악기금 (Canada Music Fund)ㅇ 캐나다 미디어 기금 (Canada Media Fund)4. 문화 관련 주요 정책□ 캐나다예술위원회 새 지원재도 (New Funding Model)□ 연방의회 문화의 날 (Arts Day on the Hill)□ 디지털 정책 (Digital Focus)작성: 주캐나다 한국문화원(2017.1.26.)* 첨부파일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캐나다 한국문화원 | 2017.03.02
    상세보기
  • 헝가리 공공 음악교육(2016) 영문

    헝가리 공공 음악교육(2016)

    □ 주요 내용- 헝가리 초, 중, 고등 공공 음악교육 실태- 헝가리 코다이 음악교수법 조사- 헝가리 공공 음악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점* 주헝가리 한국문환원이 작성한 첨부파일에서 자세한 내용(영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헝가리 한국문화원 | 2017.02.24
    상세보기
  • 헝가리 공공외교 실태조사

    헝가리 공공외교 실태조사(2016)

    □ 주요 내용- 비전 및 목표- 전략- 조직- 주요사업*주헝가리 한국문화원이 작성한 첨부파일에서 자세한 내용(영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헝가리 한국문화원 | 2017.02.24
    상세보기
  • 일본의 독특한 호텔개발 사례

    일본의 독특한 호텔개발 사례

    일본의 독특한 호텔 개발 사례에서 새로운 관광 아이디어가 보인다.일본정부관광국(JNTO)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6년도 방일외국인 관광객은 전년도 대비 21.7%가 증가한 2,403만9천명으로 4년 연속 최고실적을 경신하고 있다. 일본 정부도 관광을 미래전략산업으로 정하고 이전보다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으며, 민간관광사업자들도 일본의 콘텐츠를 살린 관광지 개발은 물론 관광분야 4차 산업혁명을 의식한 새로운 도전 등이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는 점이, 우리나라 관광정책에도 시사하는 점이 크다고 보여진다. 이에 최근 일본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독특한 호텔 개발 사례 두 건을 소개한다.먼저 나라현의 폐교도소 활용 호텔 사례.일본 법무성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폐쇄 예정인 교도소를 호텔로 재활용한다고 한다.;나라(奈良)소년형무소;는 1908년 준공된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교도소로 5개동이 방사선 형태로 만들어진 건축물로서 국가 중요문화재로 지정 되어 있다. 그러나 시설 노후화 및 지진에 대한 내진성 등이 문제가 되어져 내진강화 신축이전, 2017년도 폐쇄안이 검토되어 왔으며 이에 대해 지역 주민들이 보존모임을 결성하여 문화재지정을 위한 시민운동을 전개해 2016년 10월에 국가 중요문화재 지정을 받게 되었다. 중요문화재 지정에 따라서 일본 법무성은 2017년 교도소 폐쇄후에도 보존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어 토지와 건물을 국가 소유로 하고, 개보수와 운영은 민간에 위탁하는 방식으로 재활용 방침을 정하고, 현재 운영을 담당할 기업 공모에 착수하였다. 올해 5월까지는 운영기업을 결정하여 관광지인 나라(奈良)의 지역 특성과 건물이 가지는 가능성과 독창성을 살린 호텔로 재활용하게 된다. 남겨진 과제로는 중요문화재 보존원칙에 따라 1개동은 현상대로 남겨야 한다는 점과 중요문화재 개보수와 관련해 문화청과 해결해야 될 점이 남아 있다. 나라는 교토와 거리, 지역적으로 가까워 상대적으로 체재 시간이 짧고 숙박형 관광객이 적은 점이 고민거리로 새로운 형태의 호텔을 제공함으로 관광객의 체제시간이 길어질 것이 기대된다. 또다른 사례는 민간분야의 독특한 호텔 개발 사례로서 일본 남부 나가사키현의 관광리조트 하우스텐보스내;헨나호텔(이상한 호텔);이 독특한 콘셉트로 화제가 되고 있다.이 호텔은 프론트 업무와 손님의 짐 운반 업무 등을 로봇이 담당하는 호텔로서 2015년 7월 영업을 시작하여 세계 최초의 로봇호텔로 기네스세계기록 인정을 받았다. 여성 종업원 로봇, 공룡 로봇, 운반 로봇, 탁상로봇 등 관내에 80개의 로봇을 배치하였고, 얼굴인식 시스템 등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열쇠가 필요 없는 호텔 환경을 구현하였으며, 관내에 태블릿 PC와 인터넷을 통해 손님과 호텔이 소통을 하며 호텔에 근무하는 사람은 청소 및 보안관련 인원 십수명의 최소인원으로 한정되어 있다. 로봇을 이용해 인건비를 줄이는 것과 새로운 변화를 계속 만들어 가는 것이 호텔의 콘셉트로서 2017년 3월에는 도쿄디즈니리조트 인근에 2호관을 개관할 예정이다.작성: 주동경 한국문화원(2017.2.) 주동경 한국문화원 | 2017.02.17
    상세보기
  • 홍콩 저가관광 규제법안 제정 추진

    홍콩 저가관광 규제법안 제정 추진

    □ 주요 내용지난 2016.12월초 홍콩정부 상무경제발전국(Commerce and Economic Development Bureau) 여유사무서(Tourism Commission, 旅遊事務署)는 독립적인 旅監局(Travel Industry Authority) 신설, 여행업계에 대한 등록과 처벌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가칭 관광산업법안(Travel Industry Bill, 旅遊業條例草案);을 의회에 제출하였음. 이는 그동안 중국 본토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쇼핑 강요;저가 여행상품으로 인해 ;쇼핑 천국, 관광 홍콩;의 명성이 퇴색하고, 중국 관광객 감소로 이어지면서 홍콩의 4대 주력산업의 하나인 관광산업의 쇠락에 대한 위기의식이 작용한 것으로 해석되며 비슷한 상황인 우리나라에도 시사하는 바가 큼.1. 배경ㅇ 저가 관광 상품, 쇼핑 강요 사례 빈발에 따른 중국 본토 관광객 감소 등 홍콩 관광 이미지 훼손- 2015.10월 중국 관광객이 쇼핑을 강요하는 가이드와의 실랑이 끝에 심장마미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였고, 그 직후 중국 관광객이 70%나 급감하기도 하였음.- 2016.11월 기준 전체 홍콩 방문 관광객은 전년 동기 대비 5.4% 감소한 51,318천 명이며, 특히 중국 본토 관광객은 7.8%가 감소한 38,829천 명에 그침.- 지난해 홍콩 최대 테마파크인 오션파크가 1987년 이래 2.4억 홍콩달러의 최대 적자를 기록하는 등 위기감이 고조됨.* 다만, 한국 관광객이 11월 누적 12% 증가한 1,259천 명, 태국 관광객은 15.5% 증가한 525천 명, 일본 981천 명(3.4% 증)으로 중국 관광객 감소폭을 다소 상쇄한 것으로 나타남.- 같은 기간 호텔방 점유율은 11월 기준 93%(2% 증), 11월 누적 기준 87%(1% 증)을 보였으나, 전체 관광객의 지출 규모는 1,436억 홍콩달러(약 22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6%가 감소됨.ㅇ 여행업계 자정기능의 한계 보완- 현재 Travel Industry Council(현 여행업협회)가 수행하는 자정 기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좀 더 강력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작용함.- 2016년 초에는 몇몇 여행사를 중심으로 규제를 회피하고 저항하는;비협력운동(不合作運動, non co-operation movement);이 시작되기도 하였음.2. 법안 주요 내용가.;旅監局(Travel Industry Authority); 신설ㅇ 행정수반이 임명하는 총 30명의 위원으로 구성하되, 의장과 정부측 Commissioner for Tourism가 부의장을 맡는 것을 포함하여 비 관광업계 인사가 과반이 넘는 17명으로 하고, 13명을 관광업계 대표로 구성하여 독립성과 공정성을 확보하도록 함.ㅇ TIA는 기존 TIC(Travel Agents Registry and the Travel Industry Council of Hong Kong)으로부터 여행업 등록 및 규제 관련 업무를 이관 받아 여행업계를 지도;감독함.나. 여행사에 대한 지도;감독 규제 강화ㅇ 여행업 등록과 관련해서는 기존의 자격 및 등록 규정을 유지함. 여행업 자격증은 현행대로 1년간 유효함.ㅇ 여행 안내원에 대해 최대 벌금 5만 홍콩달러(약 770만 원)와 징역 1년, 고용주(여행사)에 대해서는 최대 10만 홍콩달러의 벌금과 징역 2년으로 처벌을 강화함.- 여행사가 TIA로부터 부과된 어떠한 벌금을 납부하지 않고 폐업할 경우 TIA는 예치금에서 징수할 수 있도록 함.ㅇ 여행사들은 신설하거나 면허를 갱신할 때, 여행사의 공식 대표자를 임명하고 이 대표자는 TIA가 요구한 자격 요건(최소 5년 이상의 업계 종사 경험 또는 관련 분야 교육 경력 등)을 갖추어야 함.ㅇ 여행업 신규 등록 및 갱신시 면허 요건 심사 강화- 신청자가 과거 여행업 관련 법령을 위반한 기록이 있는지 여부- 여행업협회 자체 규율을 잘 이행했는지 여부 등- 우선적으로 중국 정부로부터 승인받지 않은 본토 여행사와 협력을 금지하고, 관광객에 대한 쇼핑 강요 금지 및 안전 확보다. 여행 안내원에 대한 교육 및 감독체계 구축ㅇ 여행 안내원(tourist guide and tour escort) 자격증은 현행대로 3년 마다 갱신하되, 서비스 질과 전문성 향상을 위해 매 자격증 갱신시 특정한 전문능력 개발 과정(持續專業進修計劃,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Scheme)을 이수하도록 함.ㅇ TIA는 위 자격증 갱신시, 여행 안내원 신청자가 폭행, 마약, 성관련 범죄에 연루된 기록이 있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도록 함.ㅇ 여행업 등록;갱신 조건과 마찬가지로 여행 안내원에게도 관광객의 안전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하고, 쇼핑 강요 금지, 불명확한 사유로 안내를 중단하거나 자격증을 대여 금지 등의 조건을 충족하도록 함.ㅇ 무자격 안내 또는 자격 요건 위반 안내원에 대해서는 최대 5만 홍콩달러의 벌금과 1년 이하의 징역의 처벌이 가능하고, 이와 별도로 TIA는 기율처분(Disciplinary action)을 할 수 있음. 무자격 안내원 고용 여행사는 TIA 조사를 거쳐 고발되고 법원에 의해 최고 5만 홍콩 달러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으며, TIA 역시 기율처분을 하게 됨.라. TIA에게 법적 감찰 및 조사 권한 부여ㅇ TIA는 여행사의 운영상 비위 사실을 조사할 직원을 임명할 권한을 가지며, TIA 직원의 업무 수행을 방해할 경우 1만 홍콩 달러의 벌금과 6개월의 징역에 처할 수 있도록 함.ㅇ 기율처분제도 메커니즘- 기율위원회(Disciplinary committee)는 신뢰성과 독립성 확보를 위해 비 여행업계 위원이 다수를 구성하도록 함. 특정 사안에 대해 조사를 마친후 TIA는 이를 기율위원회로 이관하고 위원회는 소위(小組)를 구성하여 관련자를 불러 신문하게 됨. 이를 통해 기율위원회는 사안에 따라 경고, 견책, 벌점, 부과금, 영업정지 또는 면허 취소 등의 조치를 내리게 됨.ㅇ TIA는 해외여행에 부과금, 여행업 및 안내원 자격증 신청비, 중국본토 관광객 전담 여행사 등록비 등의 재원으로 운영됨.작성: 주홍콩 문화홍보관(2017.1.) 주홍콩 문화홍보관 | 2017.01.23
    상세보기
  • 호주 영화시장 현황 및  호주 내에서의 한국영화 진출 현황

    호주 영화시장 현황 및 호주 내에서의 한국영화 진출 현황

    □ 주요 내용Ⅰ. 호주 영화시장 규모1. 극장 매출2. 홈비디오 시장3. 유료 TV 및 유료 VOD 시장Ⅱ. 영화 제작 및 개봉 관련 현황1. 영화 제작 편수 및 제작비용2. 호주영화 제작비용3. 개봉작품 수 및 국가별 비율4. 호주영화의 시장점유율5. 인프라6. 배급사별 시장 점유율Ⅲ. 관람 현황1. 관객 수2. 평균 관람료3. 관람률, 평균 관람횟수, 관람행태Ⅳ. 호주 영화시장에서의 한국영화1. 현지의 한국영화 배급 및 상영 현황2. 양국 간 영화산업 교류현황3. 호주 내에서의 한국영화의 위상과 전망작성: 주호주 한국문화원(2017.1.)* 첨부파일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호주 한국문화원 | 2017.01.18
    상세보기
  • 2016년 마카오 카지노산업 현황 및 전망

    2016년 마카오 카지노산업 현황 및 전망

    1. 2016년 마카오 카지노산업 현황ㅇ 2017.1.1일자 마카오 카지노감찰국(Macau Gaming Inspection and Coordination Bureau) 자료에 따르면 2016년 한 해 카지노 총매출액은 전년보다 3.3% 감소한 2,232억 파타카(약 33조 7천억 원)로 잠정 집계됨.- 연간 총매출액은 2014년 이후 3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지난해 8월 카지노 수입의 상승세 전환 이후 월 매출액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 마이너스 성장에서 벗어난 것으로 나타남.- 2016.11월 카지노 수입은 14.4% 증가한 188억 파타카로서 4개월 연속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를 기록했으며, 이는 31개월만의 첫 두 자리 수 증가임. 12월에도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한 198억 파타카의 수입이 보고됨.ㅇ 이와 같은 회복세 이유로는 지난해 Wynn Macau의 Wynn Palace리조트와 Sands China그룹의 Parisian 리조트 신규 개장에 따른 것으로 분석됨.- 이로 인해 마카오의 지난해 3분기 국내총생산(GDP)은 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2년간의 경기 위축에서 탈출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는 관측임.2. 향후 전망Morgan Stanley와 S&P Global Ratings 등 분석가들은 올해 4년 만에 처음으로 마카오 카지노 수입이 전년대비 10% 정도 상승 할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중국 정부의 자본 유출 규제 강화, 위안화 약세 지속, 카지노내 흡연 금지 등의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음.가. 긍정 요인ㅇ 올해부터 내년초까지 MGM과 SJM의 카지노 복합 리조트가 추가로 개장할 예정으로 카지노 수입은 물론 비카지노 관광객 유치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임.프로젝트명칭카지노 사업자주요 특징투자액개장(예정)일MGM CotaiMGM China Holdings(MGM Resorts Int;l 50%, Pansy Ho 21% 지분)보석함 모양의 외관 1,500개 객실US$ 3.1 billion(약 3.7조원)2017년2사 분기Grand Lisboa PalaceSJM Holdings(스탠리 호)베르사이유 궁전 모형 2,000개 객실US$ 3.9 billion(약 4.6조원)2017~2018년 - 한국 관광객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 제주항공과 에어서울의 신규 취항으로 한국-마카오 취항 국적 항공사가 5개로 확충되면서 지난해 11월 기준 마카오 방문 한국인도 591천 명으로 전년 대비 18.5%가 증가하고 있음.* 마카오 신규 취항 국적 항공사 지점장들에 따르면 한국-마카오 항공편 증편과 신규 카지노 호텔 개장으로 마카오에 체류하면서 역으로 홍콩을 여행하는 한국 관광객도 증가하는 추세라고 언급함.ㅇ 또한 카지노 리조트 밀집지역에 위치한 타이파(Taipa) 페리 터미널이 올 상반기에 증설되고, 2018년까지 광저우 고속철(Guangzhou Rail Link)이 헝친(Heugqin)과 홍콩;주하이;마카오 대교(HZMB)까지 연결되는 한편, 2019년 카지노 시설 주변을 연결하는 마카오 경전철이 완공되는 등 각종 교통 인프라가 대거 확충될 예정임.* HZMB는 홍콩 국경 검문시설에서 주하이-마카오 국경 검문 시설까지 41.6km에 이르는 세계 최장 다리 겸 터널이 되며, 홍콩에서 마카오와 주하이까지 1시간, 주강삼각주 서부지역 주요 도시까지는 3시간내 접근이 가능해짐. 당초 2017년 완공을 목표로 했으나 공기 지연 가능성도 예상됨.나. 위험 요인ㅇ 지난해 11월 중국의 외환 보유고가 US$ 69.1 billion 급감하는 등 마카오와 같은 역외 지역을 통한 자본 유출 가능성에 대한 통제 요인이 상존하고 있음.- 마카오 당국은 지난해 12월 개인 거래에 한해 중국 본토 발행 China Union Pay 은행카드의 하루 인출 한도는 1만 위안으로 유지하되, ATM 거래를 1회 5,000 patacas(약 75만원)로 제한한 바 있음.* 당초 2016.12월초 SCMP에 의해 마카오 당국이 중국 유니온페이 카드의 1일 ATM 인출한도를 10,000위안에서 5,000위안으로 축소한다는 보도가 나온 후, 뉴욕;홍콩 등 주식시장에서 카지노 주가가 급락하였으나, 마카오 당국이 1일 인출 한도는 현재대로 유지한다고 재확인함에 따라 주가가 회복된 바가 있음.ㅇ 달러 대비 위안화 약세가 지속될 경우 VIP 고객 유치에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하고, 카지노내 흡연 규제 등의 요인도 여전히 남아 있음.작성: 주홍콩 문화홍보관(2017.1.6.) 주홍콩 문화홍보관 | 2017.01.09
    상세보기
  • 중국의 아프리카 문화외교정책

    중국의 아프리카 문화외교정책

    □ 주요 내용1. 개요가. 배경나. 기준다. 주요내역2. 정책분석 요약가. 중국의 아프리카 중국어 교육 지원나. 아프리카의 공자학원 평가다. 아프리카 내 중국문학3. 정책분석 시사점가. 교육지원나. 어학교육다. 문학교류※ 첨부 : 전문번역1) 아프리카 내 중국문학: 유의미하거나 단순히 의례적이거나?2) 완벽하진 않지만 아프리카에 많은 것을 제공하는 중국의 공자학원3) 왜 중국은 아프리카 학생들이 중국어를 배우길 원하는가* 첨부파일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남아프리카공화국 문화홍보관 | 2017.01.03
    상세보기
  • 남아공 지역별 주요 공연장 정보

    남아공 지역별 주요 공연장 정보

    □ 주요 내용□ 조사 배경ㅇ 한;아프리카 문화교류가 질적;양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다양한 형태의 공연에 적합한 공연장 정보 부족ㅇ 그간 한국 문화공연이 남아공 행정수도인 프리토리아에 한정되었으나, 향후 케이프타운, 더반 등으로 확대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각 지역의 대표적인 공연시설에 대한 정보 필요□ 조사 대상ㅇ 프리토리아(행정수도), 요하네스버그(경제 중심지), 케이프타운(입법수도), 더반(국제도시), 블룸폰테인(사법수도) 등 주요 도시 공연장 시설□ 조사 방법ㅇ 단순 공연장 뿐만 아니라 예술기관으로 독자적인 활동을 펴고 있는 단체의 경우 공연 공간뿐만 아니라 기관의 활동 등 상세 정보 조사ㅇ 기타 공연장은 물리적인 시설 정보에 한해 조사 실시□ 프리토리아ㅇ 남아공국립극장 South African State Theatrewww.statetheatre.co.zahttps://www.facebook.com/SouthAfricanStateTheatreㅇ 프리토리아대학 Theaters of University of Pretoriahttp://www.up.ac.za/up-theatresㅇ ZK Matthews Great Hall UNISAhttp:/ www.atterburyteater.co.zahttps://www.facebook.com/pages/ZK-Mathews-Great-Hall-UNISA-Muckleneuk-Campus-Pretoria/334888463250322ㅇ Atterbury Theaterhttp://www.atterburyteater.co.za https://www.facebook.com/AtterburyTheatreㅇ Brooklyn Theaterhttps://www.brooklyntheatre.co.za https://www.facebook.com/BrooklynTheatre/?fref=ts&ref=br_tfㅇ Barnyard Theaterhttps://www.barnyardtheatre.co.za/Default.aspx https://www.facebook.com/barnyardtheatres□ 요하네스버그ㅇ 마켓 시어터 Market Theatrewww.markettheatre.co.zahttps://www.facebook.com/TheMarketTheatre/ㅇ 조벅 극장 The Joburg Theatrewww.joburgtheatre.comhttps://www.facebook.com/joburgtheatre/ㅇ 윈디브로우 극장 Windybrow Theatrewww.windybrowarts.co.zahttps://www.facebook.com/The-Windybrow-Theatreㅇ 비츠대학교 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https://www.wits.ac.za/witstheatre/contact-us/ㅇ Lyric Theatrehttps://www.tsogosun.com/gold-reef-city.../theatre/the-lyricㅇ Montecasinohttps://www.tsogosun.com/montecasino/entertainment/theatre/teatroㅇ UJ(University of Johannesburg) Art Centrewww.uj.ac.za/arts ㅇ Soweto Theaterhttp://www.sowetotheatre.com/https://www.facebook.com/SowetoTheatre/□ 케이프타운ㅇ 아츠케이프 ArtsCapewww.artscape.co.zaㅇ 케이프타운 대학 박스터 극장 Baxter Theatre Centre of the University of Cape Townwww.baxter.co.zahttps://www.facebook.com/baxtertheatreㅇ 마그넷 극장 Magnet Theatrewww.magnettheatre.co.zahttps://www.facebook.com/Magnet.Theatreㅇ Maynardville Open Air Theatrehttp://www.artscape.co.za/maynardville-open-air-theatreㅇ Kirstenbosch Gardenhttp://www.sanbi.org/gardens/kirstenboschㅇ Fugard Theaterhttp://www.thefugard.com/ㅇ V&A Waterfront Amphitheatre□ 더반, 블룸폰테인ㅇ 플레이하우스 The Playhouse Companywww.playhousecompany.comhttps://www.facebook.com/DurbanPlayhouse/ㅇ 프리스테이트 공연예술센터 Performing Arts Centre of the Free State (PACOFS)www.pacofs.co.zahttps://www.facebook.com/Pacofs-206280779416746/작성: 주남아프리카공화국 문화홍보관(2016.12.22.)* 첨부파일에서 홈페이지 외에 연락처, 주소, 대표자, 공간 규모 등 공연장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남아프리카공화국 문화홍보관 | 2016.12.23
    상세보기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