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대표적 문학상 현황 보고
2019캐나다 대표적 문학상 현황 보고 □ 캐나다 문화예술계 개요 o 캐나다 문화계는 이웃에 국경을 맞닿고 있는 미국과는 대조적으로 인구밀도가 낮고 문화예술의 상업성이 현저히 떨어져 정부의 지원금을 받아 운영되는 비영리 문화단체가 전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o 특히 문학의 경우 미국과의 근접성, 온라인 문화의 발전으로 인한 국경 없는 문화 수용 등을 통해 캐나다만의 고유한 문화를 담는 캐나다 문학의 존재 자체가 위협받고 있는 상황. o 실제로 캐나다의 주요 일간지들은 매 주말 판에 캐나다 베스트셀러를 소설/비소설 분야로 나누어 소개하고 있는데 이때 미국의 소설/비소설도 동시에 싣고 있으며 이는 독자들의 관심사를 무시할 수 없는 언론매체에 반영된 캐나다 문학의 현실을 보여주고 있음. □ 캐나다 주요 문학상 현황 o (문학상 제정 배경) 이러한 캐나다 문화예술계의 어려움을 반영하여 다양한 문화정책이 추진되어 왔으며 문학의 경우도 정부차원에서 1936년 Governor General’s Literary Awards를 제정·운영하고 있음. - 정부지원 외에 캐나다 문필가들에 대한 지원은 민간차원에서도 추진되어 1976년에 캐나다를 대표하는 작가 5명이 새로이 Writer’s Trust of Canada라는 문학상을 설립하였으며, 이외에 1994년 캐나다 소설(장단편 포함)만을 대상으로 한 Giller Prize가 제정되어 운영되고 있음. 1) 총독 문학상 : Governor General’s Literary Awards o (총독상 현황) 캐나다 정부는 문화예술분야에“총독상 (Governer General’s Awards)”제도를 두고 있으며 매년 해당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를 운영하여 수상자를 선정하고 있음 - 문학상 (GG's Literary Awards) - 건축상 (GG's Medals in Architecture) - 공연예술상 (GG's Performing Arts Awards) - 역사분야상 (GG's History Awards) - 미술·미디어아트상(GG's Awards in Visual and Media Arts) o (창설) 캐나다의 15번째 총독인 John Buchan에 의해 1936년도 창설됨 ※ John Buchan 총독은 스릴러 장르를 확립한 것으로 평가되는「39계단」의 저자로도 유명 ※ 노바 스코시아 은행(Nova Scotia Bank)이 후원하는 길러 상(Giller Prize)와 함께 캐나다를 대표하는 문학상 o (수상 분야) - 창설 당시에는 영어작품은 소설과 넌픽션, 불어작품은 영어 번역문학 분야로 구분하여 수상자 선정 - 1987년 이후에는 영어, 불어 각각 7개 분야(소설, 넌픽션, 시, 극작, 아동문학-글, 아동문학-삽화, 번역 등)에 14개 상을 수상하고 있음 o (운영 주최) - 1957년 캐나다예술위원회가 창설되면서 1959년부터 본 상의 운영을 전담하게 되었고, 이때부터 시상금을 주는 제도 시작 - 1980년부터 언론과 일반인을 상대로 총독 문학상의 홍보를 강화하기 위해 수상자 발표 1개월 전에 분야별로 각각 4명의 후보자를 사전에 발표하는 제도 시작 o (심사 대상 및 방법) - 영어작품인 경우 전년도 9월1일부터 해당연도 9월30일까지 출판된 작품, 불어작품인 경우 전년도 7월1일부터 해당연도 6월30일까지 발표된 작품을 대상으로 하며 캐나다예술위원회 문학지원금 프로그램 산하에「총독 문학상」심사위원회를 해당분야 문학가들로 구성하여 심사후 수상자 결정 o (상금) - 2007년부터 상금을 각각 캐나다 달러 25,000불(연총액 45만불)로 확대 - 수상작품 출간한 출판사들도 홍보비 협조 명목으로 각각 3천불씩 시상금을 받으며, 후보작들도 각각 1천불씩이 수여됨 o (그간 수상작 현황) - 현재 초창기 수상 작품부터 최근 수상작까지 500여 명의 작가들이 펴낸 700여권의 수상 작품들이 총독관저인 리도홀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음. 2) Writer’s Trust of Canada o (설립목적) 1976년 캐나다를 대표하는 작가인 마가렛 에치우드, 피에르 버튼, 그레엄 깁슨, 마가렛 로렌스, 데이비드 등이 설립한 비영리단체로, 캐나다작가연합, 캐나다작가협회 등 작가들간 친목 및 권익옹호 등의 활동을 하는 단체들과는 달리 매년 시상제도만을 운영하고 있음 - 캐나다 총독문학상이 주로 문학위주로 운영되며 문학 각 분야에서 해당연도 최고의 업적을 남긴 1인을 뽑아서 상을 수여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문학 및 관련 저작부분을 다양하게 수용함으로써 문학 발전의 다양성과 독자의 저변확대를 기한다는 목적 아래 설립 o (상의 종류) 3개 분야에 10개의 시상제도를 운영 - 신진작가상(Emerging Writer Awards) - 도서상 (Book Awards) - 경력상(Career Awards) o (심사 및 후원기관) 별도의 한시적인 심사위원회나 접수기간이 없이 연중 접수 가능하고 해당분야 전문가들의 심의를 거쳐 결정 - 각 상들이 개별의 주요 후원자를 가지고 있어서 후원자들의 후원금에 의존하여 시상금을 수여하며, 캐나다문화유산부도 후원하고 있음 - 비영리사립재단인 Metcalfe 재단, RBC 은행, 로져스 커뮤니케이션, 공공기업인 CN이 주요 후원기관임 o (신진작가상, Emerging Writer Awards) ① RBC 브론윈 월리스 신진작가상(RBC Bronwen Wallace Award for Emerging Writers) - (대상) 35세 이하 단편소설가 및 시인 대상으로 문학잡지나 시선집에 수록된 작품 중 선별 - (수상금) 1만 캐불, 입선은 2500 캐불 ② 데인 오길비 성소수자 신진작가상(Dayne Ogilvie Prize for LGBTQ Emerging Writers) - (대상) 나이 제한 없이 새로이 해당 분야를 시작한 작가 중 선별 - (수상금) 1천 캐불, 입선은 250 캐불 ③ 맥클리랜드&스튜어트 져니 상(McClelland & Stewart Journey Prize) - (대상) 신진이 쓴 단편소설 및 단편이야기를 발표한 문학잡지사가 신청 - (수상금) 1만 캐불, 입선은 1천 캐불, 해당잡지사 2천 캐불 o (도서상, Book Awards) ① Rogers 문필가 위탁소설상(Rogers Writer’s Trust Fiction Prize) - (대상) 생존하는 작가의 최우수 신간 영문 장단편 소설을 펴낸 출판사에서 지원신청(개인이 출간한 책은 해당사항 없음) - (수상금) 5만 캐불, 입선(4명)은 각 5천 캐불이며 신간 중 영어 이외의 작품으로 저작되어 영어로 번역된 작품인 경우 작가와 번역가가 나누어 시상금을 받게 됨 ② 힐러리 웨스톤 논픽션 문필가위탁상(Hilary Weston Writers’ Trust Prize for Nonfiction) - (위상) 캐나다 문학계 최고영예의 논픽션상으로 1997년 창설된 이래 여러 스폰서를 거치다가 2011년 온타리오 주총독 힐러리 웨스톤이 주요 후원자가 되면서 상의 이름이 바뀌고 시상금액도 배 이상 증가됨 - (수상금) 6만 캐불, 입선(4명)은 각 5천 캐불 ③ 쉐네시 코헨 정치논평상(Shaughnessy Cohen Prize for Political Writing) - (배경) 온타리오 윈저 출신 연방의회 의원으로 항상 적극적으로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밝혀 온 것으로 유명한 쉐네시 코헨을 기리는 상으로 2000년에 창설 되었으며 캐나다 철도회사인 CN이 기금을 지원 - (대상) 출판사들에게만 지원 자격이 부여되며, 지난 1년간 전문 출판사가 영어로 펴낸 비소설, 정치 논평을 대상으로 문학적 완성도가 높고 캐나다 국민들이 관심 있어 하는 정치적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현 캐나다 정치문화에 영향을 줄 수 있 단행본 책들을 심사를 하여 선정 - (수상금) 2만5천 캐불, 입선(3~5명)은 각 2천5백 캐불 o (경력상, Career Awards) ① 멧 코헨 공로상(Mat Cohen Award: In Celebration of a Writing Life) - (배경) 캐나다작가조합을 창설하였으며 1999년 캐나다총독문학상 소설부분 상을 수상한 멧 코헨을 기려서 2001년에 창설된 상으로 시나 산문 분야의 창작을 위해 평생을 바친 문학인들을 심사위원회가 직접 선정하는 상 - (수상금) 2만5천 캐불 ② 엔젤/핀들레이 상(Writers’ Trust Engel/Findley Award) - (배경) 중견작가의 작품활동을 격려하는 상으로 2008년 Marian Engel 상과 Timothy Findley 상을 통합하여 만든 상 - (수상금) 2만5천 캐불 ③ 라트너 시부문상(Latner Writers’ Trust Poetry Prize) - (대상) 3권 이상의 시집을 발간한 중견시인으로서 작품성이 뛰어난 시인들 중에서 심의를 거쳐 선정 - (수상금) 2만5천 캐불 ④ 비키 멧카프상(Vicky Metcalf Award) - (대상) 캐나다의 젊은 작가들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상으로 비캐나다 출판사와 책을 출판한 경우도 수상자격이 주어짐 - (수상금) 2만5천 캐불3) 길러문학상(Giler Prize) o (배경) 1994년 토론토의 사업가인 잭 라비노비치가 사별한 부인이자 전임 토론토스타誌 편집인이었던 도리스 길러를 기리고자 설립하였으며 캐나다의 우수한 문학인재와 그들의 작품을 발굴하여 격려하고 상업적인 성공을 지원 o (대상) 캐나다 5대 은행 중 하나인 스코시아은행이 후원하는 상으로 그해 최고의 소설작품으로 선정된 1개 작품에 수상 o (수상금) 2005년부터 스코시아은행이 후원자로 참여하면서 시상금이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2014년부터는 최고상에 10만불과 입선작에 각 일만 불씩 수상 □ 각 문학상별 특성 비교 총독문학상이나 길러문학상 심사의원의 대부분이 Writer’s Trust of Canada 수상 작가들로 위에서 언급된 캐나다의 3대 대표적 문학상은 미국의 상업적인 문학계와 구별, 캐나다만의 문학을 살려내기 위한 캐나다 문학인들에 의해 유기적으로 운영되는 상황 o (총독문학상) 정부로부터 기금을 받아 정부 산하기관인 캐나다예술위원회가 운영하며, 원로문학인 중에서 최고의 업적을 이룩한 1인을 선정하여 그해의 수상자로 시상하는 상징적인 문학상 제도 o (Writer’s Trust of Canada) 명망 높은 문학인 5명이 열악한 캐나다의 문학계와 문학인들을 실질적으로 돕고자 설립한 뒤 원로작가상, 중견작가상, 시 분야 상, 동성애작가상, 정치비평상 등 그 분야를 다양화하여 10개 분야의 작품 및 작가, 출판사 지원. 모든 수상금은 개인 및 기업체의 지원으로 이루어짐 o (길러상) 캐나다의 대표적인 시중은행이 지원하는 길러 상은 소설 및 단편소설 분야만 지원하며, 캐나다 국영 CBC방송국과 연계하여 사전과 사후 홍보에 크게 주력하는 등 선정된 작품의 상업적인 성공을 지원하는데 중점을 둠 □ 세계적으로 유명한 캐나다 문학인 현황 o 1992년 Michael Ondaatje가「English Patient」로 캐나다 작가중 최초로 영국 부커 상(The Man Booker Prize) 수상 o 2000년 캐나다 최고의 문필가로 손꼽히는 Margaret Atwood가「눈먼 암살자(Blind Assassin)」로 부커 상 수상 o 2001년 Alistair MacLeod가「No Great Mischief」로 더블린국제문학상 수상 o 2002년 Yann Martel이「Life of Pi」로 부커 상 수상 o 2008년 Rawi Hage가「De Niro's Game」으로 더블린국제문학상 수상 o 2008년 Lawrence Hill이「The Book of Negroes」로 영연방최고문학상 수상 o 2013년 Alice Munro가「Dear Life」로 캐나다 최초로 노벨문학상 수상 . (Alice Munro는 2009년 부커 상, 총독문학상은 3차례나 수상) 주캐나다 한국문화원 | 2019.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