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워싱턴) 7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 문화예술 동향 ㅇ 미 연방정부 코로나19 긴급재난정책 - 미 중소기업 대상 코로나19 급여보호프로그램(Paycheck Protection Program) 8월 8일까지 연장 확정 및 연 4만 달러 이하 소득 국민 대상으로 2차 코로나19 긴급 재난 현금(Stimulus Check) 지급 고려 중 ㅇ 워싱턴 DC 일원 경제개방정책 - (워싱턴 D.C.) 6월 22일 Phase 2 재개방 실시, ▴바(Bar)는 여전히 폐쇄, ▴재택근무 권고, ▴50인 이하 집회 허용, ▴박물관/국립동물원/소매업장 수용인원 50%까지 개방 허용, ▴극장/예술문화기관 미 국토안보 및 비상관리국(HSEMA) 허가 하에 재개관 가능, ▴Phase 3 개방일은 미정 - (버지니아 주) 7월 1일 Phase 3 재개방 실시, ▴바(Bar)는 여전히 폐쇄, ▴마스크 착용 필수, ▴재택근무 권고, ▴250인 이하 집회 허용, ▴극장/예술문화기관 수용인원 50% 혹은 참가인원 1천명까지 허용, ▴피트니스 및 스포츠 센터 수용인원 75%까지 개방 허용, ▴야외 수영장 수용인원 75%까지 개방 허용 - (메릴랜드 주) 6월 12일 Phase 2 재개방 실시, ▴식당 등 소매업장 수용인원 50%까지 개방 허용, ▴야외 테마파크 철저한 방역수칙 준수 하에 개방 허용, ▴실내 피트니스 센터/수영장/종교집회장 수용인원 50%까지 개방 허용, ▴ Phase 3 개방일은 미정 ㅇ 미 국가예술기금(NEA) 비영리예술단체 지원 - 연방정부 코로나19 긴급구호법(The Cares Act)에 따라 855개 비영리예술단체에 예술가, 계약직, 정규직 임금 지불 및 시설 운영비 지원 목적으로 44.5백만 달러 지급 발표 - 각 846개 단체에 5만 달러, 각 9개 지역 예술 기관에 25만 달러 지급 예정이며, 지원금은 소규모(32%), 중규모(36%), 대규모(32%) 비영리예술단체에 고르게 지급될 예정 ㅇ 미 문화예술기관, 코로나19로 행사 취소 및 연기 상황 - (미 주요 문화예술기관) 워싱턴국립미술관(The National Gallery of Art), 존 F. 케네디센터(The John F. Kennedy Center) 2020년 행사 전면 취소 및 뉴욕 브로드웨이 2021년 1월까지 공연 중단 - (워싱턴 D.C. 주요 문화예술행사) 워싱턴 D.C. 내 공연장 및 극장 2020년 행사 전면 취소, 워싱턴국립미술관 연례 야외 재즈음악회(Jazz in the Garden Concert) 취소, 워싱턴 D.C. 주재 각국 대사관 연례 개방행사 패스포트 DC/유럽연합 오픈하우스 및 D.C. 재즈 페스티벌 가을로 연기 ㅇ 미 문화 예술 활동 재개 현황 - (일부 주요 문화예술기관 재개관) 성경박물관, 스파이 박물관, 글렌스톤 현대미술관, 워싱턴국립미술관 야외 조각 공원 등 방역 원칙 하 일부 기관 재개관 - (미 독립기념일 행사) 미 백악관, 7월 4일 워싱턴 D.C. 내셔널 몰에서 군사력 시범 행사, 불꽃놀이, 공연 등 미 독립기념일 행사(2020 Salute to America) 진행 - (온라인 행사) 2020년 스미소니언 온라인 아메리칸 포크 뮤직 페스티벌(Beyond the Mall) 진행, 존 F. 케네디센터-미 국립심포니 오케스트라-워싱턴 국립 오페라 협력 온라인 인종차별 철폐운동지지 음악/예술 교육 프로젝트 진행 예정(7.27.) ㅇ 문화 예술 활동에 따른 코로나19 감염위험성 연구 발표 - 텍사스 의료 협회(Texas Medical Association), 코로나19 확산 중 문화, 예술, 관광, 레저 시설 방문으로 인한 감염위험성 분석 보고서 발표 * 고위험군 : 바, 대규모 종교집회, 스포츠 경기장, 대규모 공연장, 영화관, 테마파크, 피트니스 센터 등 * 중상위험군 : 생활축구/농구/수영 등 체육활동 * 중하위험군 :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 방문 및 골프 경기 참여□ 문화콘텐츠(문화산업) 동향 ㅇ 영화산업 관련 - (헐리우드 영화 개봉연기) 7월 24일 개봉예정 디즈니 영화 ‘뮬란’ 실사판 개봉 재연기 검토, 6월에서 8월로 개봉 연기하였던 영화 ‘원더우먼 1984’ 10월 2일로 개봉 재연기 - (영화관 재개관) AMC 7월 15일 재개관 예정(수용인원 30%), Regal Cinemas 7월 10일 재개관 예정(수용인원 50%), Landmark 재개관 계획 미발표 ㅇ 온라인 콘텐츠 업계 현황 - (마이크로소프트) 코로나19 여파로 오프라인 매장 전면 영구 폐쇄 결정, 오프라인 매장 정리에 450백만 달러 들 것으로 추정 - (페이스북) 코카콜라, 허쉬, 노스페이스, 스타벅스 등 미 유수 대기업, 트럼프 대통령의 혐오발언에 무대응으로 일관하는 페이스북에 줄지어 광고 보이콧 선언 - (디즈니) 브로드웨이 유명 뮤지컬 해밀턴(Hamilton), 7월 3일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디즈니 플러스(Disney +)에서 개봉 - (공연 스트리밍 서비스)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공연전문 고화질 스트리밍 서비스 ‘마르퀴TV(MarqueeTV)’ 등장, 최대 수요지는 미국과 영국이 될 것으로 전망□ 관광 동향 ㅇ 미 주요 관광시설 재개방 - (디즈니 테마파크) 캘리포니아주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에 따라 캘리포니아 디즈니랜드 7월 17일 재개장 계획 연기, 플로리다주는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에도 불구하고 플로리다 올랜도 디즈니월드 재개장 - (미 국립공원) 노스캐롤라이나주/테네시주 그레이트 스모키 산맥 국립공원 및 애리조나주 그랜드 캐니언 국립공원 일부 개방, 콜로라도주 로키산맥 국립공원 시간제 및 수용인원 제한제로 재개방, 유타주 자이온 국립 공원 시간제 운영 및 공원 내 셔틀버스 운영 중단, 캘리포니아주 요세미티 국립공원 및 아이다호주/와이오밍주/몬타나주 옐로스톤 국립공원 재개방 - (미 주립공원) 캘리포니아 주립 공원 예약제 운영 및 일부 재개방, 버지니아주 주립공원 250명 정원제 및 시간제 운영 하에 재개방, 메릴랜드주 주립공원 일부 재개방 ㅇ 여행 제한조치 관련 - 유럽연합, 미국 내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유럽연합 국가 내 미국인 여행 금지령 발표, 알바니아, 크로아티아, 도미니칸 공화국, 몰디브, 버뮤다 등 소수 국가만 미국인 여행 허용□ 체육(스포츠) 동향 ㅇ 미 프로스포츠 경기 재개 현황 - (NWSL 미 프로여자축구) 6.27, 미 프로 스포츠팀 최초로 경기 재개 - (NBA 미 프로농구) 7.31. 22개팀으로 시즌 재개 예정 - (MLB 미 프로야구) 7.23.부터 9.27.까지 60경기로 시즌 재개 예정 - (NHL 미 프로아이스하키) 8.1. 시즌 재개 - (PGA 미 프로골프) 남은 시즌 관중 없이 진행 예정 ㅇ 미 스포츠계 동향 - (MLB 미 프로야구) 전 구단 코로나19 검사 결과, 전체 관계자(3,674명)의 1.8%(선수 58명, 스태프 8명)가 코로나 확진 판정, 확진 판정받은 선수 및 스태프는 개막전 캠프참가 불가 - (라이더컵 연기) 2020년 9월 25일부터 27일까지 예정되었던 미국 유럽 골프 대항전 라이더컵 1년 연기 - (미 대학 스포츠 취소) 아이비리그 포함 미 동북부 지역 명문 사립대 스포츠 가을 시즌 전면 취소 - (미 프로미식축구 팀 구단명 교체) 미국 내 인종차별 철폐운동 확산에 따라, 워싱턴 프로미식축구 팀 레드스킨스(Redskins)가 아메리칸 인디언을 '빨간 피부'로 묘사하는 인종차별적 단어를 사용한 구단명 교체 예정□ 한류 동향 ㅇ K-POP 동향 - (온라인 KCON) 매년 미국 LA 및 뉴욕에서 개최되는 대규모 케이팝 행사 KCON, 코로나19로 인해 6.20.~ 26.까지 Mnet 유투브 채널에서 온라인으로 개최 - (블랙핑크) 신곡 How you Like That, 유투브 최다 조회수 영상으로 기록 갱신 - (K-POP 성공요인 조명) 미 외교안보전문지 내셔널인터레스트(The National Interest), ‘한국 최고 수출품인 K-Pop이 세계를 정복한 방법’이라는 기고문에서 K-pop은 ▴높은 수준의 안무와 보컬, ▴양질의 콘텐츠를 꾸준히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연습생 훈련 시스템(trainee system), ▴성장 친화적인 국가 규제 및 한국 문화체육관광부의 적극적인 지원 등 여러 가지를 이유로 앞으로 수년간 한국 경제를 위해 수백억 달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되는 문화 수출품’이라며 ‘선도적인 소프트 파워 수출국이 되려는 한국의 오랜 여정을 완전히 성공시킨 주역’이라 설명함. ㅇ 기타 동향 - (영화 기생충) 배우 및 스태프 총 12명, 아카데미 시상식 주관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에 신입회원으로 초청 - (한국 라면) 뉴욕타임즈 와이어커터(Wirecutter) 선정 '쉐프 및 요리책 작가가 뽑은 최고의 인스턴트 라면 순위'에서 한국의 농심 신라면 블랙이 1위 차지*썸네일 이미지 출처: pinterest.com
주워싱턴 한국문화원 | 2020.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