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전체동향

전체 1,696

페이지 140 / 170

게시물검색영역
  • sa flag

    [남아공] 8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 문화예술 정책 ㅇ 라마포사 대통령은 8월 9일 여성의 날을 맞아 양성평등과 관련한 정책을 발표 - 여성 소유의 기업에 공공조달의 40% 따로 책정 예정 - 소규모 사업체를 운영하는 여성 지원 - 여성이 생산적 자산(토지)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 마련 □ 관광 정책ㅇ 관광 산업을 점차적으로 재개할 예정이며 각 분야에 대한 상세 규정 발표(7.30) - 외식업계 : 통행금지 시각을 오후 10시로 옮겨 수익 창출 기대 - 숙박업계 : 방당 2명 이하 숙박 가능하며 단기 주택 임대나 주택 공유는 지속적으로 금지 - 관광업계 : 가이드 9,380명 중 검증이 완료된 1,378명에 대한 구제 기금 지급 완료 ㅇ 쿠바이에 은구바네 관광부 장관은 관광 구제기금을 받을 수 있는 중소기업 명단을 공개 (8.6) - 2억 란드 규모의 구제 기금을 코로나19로 영향을 받은 4천여 개의 기업에 지원 - 한 기업에 5만 란드 한도로 책정 □ 체육(스포츠) 정책 ㅇ 비접촉 운동 경기 및 접촉 및 비접촉 운동 훈련 가능하며, 시행 단체는 관보게재 후 14일 내 관련 기관에 신청 - 모든 운동선수 및 지원인력은 코로나19 검사를 받아야 함 ※ 참고문헌 http://www.dac.gov.za/https://www.tourism.gov.za/AboutNDT/Ministry/News/Pages/COVID-19_-Alert_Level_3_Risk_Adjusted_Strategy_tourism_sector_response_measures_and_direction.aspx 주남아공 문화홍보관 | 2020.08.17
    상세보기
  • 스웨덴 국기

    [스웨덴] 8월 주재국 문화 동향 보고

    □ 문화예술 정책 ㅇ 스웨덴 정부, 코로나19로 인한 공공장소 청중 제한 완화 추진 ▶ https://www.dn.se/nyheter/sverige/regeringen-oppnar-for-lattnader-av-pyblikrestriktionerna/ (2020.08.21. DN) - 스웨덴 정부는 문화 및 스포츠분야 행사에 대한 청중 제한 완화를 준비 중.다만 일반적인 공개 모임의 경우 50명으로 제한 유지. - 스웨덴 문화부 장관 아만다 린드(Amanda Lind)는 “코로나 상황에서 50명 이상의 모임 제한은 원칙적으로 유지되며, 다만 이번 조치는 코로나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문화, 스포츠 분야 종사자들에게 더 나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예외적인 규정”이라고 밝힘. 오는 10월 1일부터 효력 예정. - 이러한 예외적인 조치는 2m 간격 유지 및 청중 수용 상한선이 있는 장소에서 문화 및 스포츠 이벤트를 수행할 경우에 해당되며 예를 들어 공연 예술가가 식당 관객을 위해 공연하는 경우, 공개 행사 제한으로 관객 확보가 불가능했던 축구 또는 아이스하키 경기 등. ㅇ 스웨덴 공공보건당국, 공공이벤트 500명 이상 제한을 제안 ▶ www.dn.se/kultur/folkhalsomyndigheten-foreslar-tak-pa-500-personer-for-pyblikundantag/ (2020.08.27. DN) - 스웨덴 공공보건당국은 문화부가 제안한 완화책에 대해 500명 한도를 제안(이 수치에는 공연 스탭 및 운동선수도 포함) - 동시에 보건당국은 청중 간 거리가 1m명 충분할 것이라고 전함 - 스웨덴 공중보건국은 행사장에서 청중석이 아닌 다른 장소(예: 화장실 대기열, 행사장 출도착 장소)에서도 사회적 거리가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최자의 책임을 강조하였고, 행사장을 오가는 참가자들이 안전한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필요성에 대해서도 강조. - 공연 주최자와 공연업계에서는 청중 한도를 완전히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 ㅇ 스웨덴의 올해의 박물관, Sörmland 박물관 선정 ▶ https://www.dn.se/kultur/arets-museum-finns-i-sormland/ (2020.09.07. DN) - Sörmland의 박물관은 2020년 올해의 박물관으로 선정되었으며, 심사위원들의 채택 동기는 박물관이 “새로운 세대의 문화역사 박물관을 위한” 박물관의 지평을 넓히는 방법을 구현했다는 점을 강조. - Sörmland 박물관은 소장품을 전시와 통합 하는데 성공한 것으로 평가 받음. 관람객은 소장품의 구축에 기여하고 자신의 창작물을 발전시키고 박물관과 지역의 다른 사람들을 만날 수 있음. -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찾는 헌신적이고 독립적이며 혁신적인 박물관의 예. --------------------------------------------------------------------------※ 스웨덴 문화부 및 산하기관 개요 ㅇ 스웨덴 문화부는 4개의 사업부와 3개의 사무국으로 구성되어 있음. - 문화부는 문화 민주주의 장관과 스포츠 담당 장관인 아만다 린드 Amanda Lind가 이끌고 있음. 약 100명으로 대다수는 정권교체와 무관한 공무원임. * 문화부장관 비서(statssekreteraren)는 장관 직속으로 일상 업무를 주도하는 실무 장관이며, 부처에 정치 전문가와 홍보관이 있음. 홍보관은 언론과의 접촉 담당. 문화부의 다른 공무원과 달리 이들은 정부 변경시 퇴직. 1) 4개의 사업부 ① 시민사회 및 소수 민족부 : 시민 사회의 상황에 관한 일반적인 사안의 조정 및 개발 / 시민 사회 단체에 대한 정부 보조금 조정 / 공개 회의 장소에 대한 기여 및 일반적인 질문 / 청소년 정책 문제의 조정 및 개발 / 청소년 조직의 조건 및 개발 / 스포츠 / 종교 교단 / 장례 / 스웨덴의 소수 민족 관련 사업 조정 및 개발 / 사미족의 언어와 문화 ② 예술부 : 시각예술 / 미술관 / 도서관, 문학 및 문화저널 / 예술적 디자인에 대한 기여 / 예술가에 대한 보수 및 보조금 / 지역 문화활동 지원 / 공연 예술 / 비국가 문화시설에 대한 보조금 / 시립 문화학교를 위한 주 이니셔티브 / 영화 / 아동 청소년부 조정, 문화분야의 양성 평등 문제, 문화 생활의 국제화 및 문화 및 미디어 분야의 북유럽 협력 ③ 문화유산 및 생활 환경부 : 건축물 / 디자인 / 공예 / 문화적 환경, 박물관 /스웨덴어 / 문화 연구, 문화 및 창조산업의 문제 및 환경 관련 부문의 조정 ④ 미디어와 민주주의 진흥부 : 언론 / 뉴미디어 서비스 / 라디오와 텔레비전 /미디어 접근성 / 유해한 미디어 영향에 대한 노력 / 총선거 및 투표율에 관한 질문 / 민주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시민의 영향력과 참여 / 위협과 증오범죄로부터 민주적 대화를 보호 / 반민주적 행위자로부터 민주주의를 보호2) 3개의 사무국 ❶ 법률 사무국 (입법 및 기타 헌법 업무) : 업무에서 합법성, 일관성 및 통일성이 있는지 감사 / 법적 문제에 대한 조사 및 공개 / 법적 관계가 있는 국제 협상에 참여 / 원정 및 사법 책임자 지원 / 전반적인 품질 보증 문제 ❷ 국제국 : 부처의 국제 업무에 대한 전반적인 조정 및 개발 / EU 문제 조정 / 부처의 국제회의, 방문 및 여행 계획 및 조정 / EU 및 기타 국제문제에 대해 교육부 경영진과 교육부 부서 및 사무국에 대한 지원 및 조언 / 둘 이상의 주체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기타 국제문제 ❸ 경영 지원 및 거버넌스 사무국(전체 부처와 부처위원회 관리 및 운영 지원) : 직원 문제 그룹 / 내부 재정 및 사업계획 기능 / 예산 조정 및 전반적인 정부 통제 기능3) 문화부 산하의 기관 1) 문화부 산하 집행기관 - Election Authority - Sámi Parliament - Swedish Arts Council - Swedish Media Council - Public Art Agency - National Archives - National Heritage Board - Agency for Support to Faith Communities - Agency for Youth and Civil Society - Press and Broadcasting Authority - Agency for Accessible Media - Agency for Cultural Policy Analysis - Handicraft Council - Arts Grants Committee - Forum for Living History3) 문화부 산하의 국립대학 및 연구기관 - Royal Academy - Royal Swedish Academy of Music - Royal Academy of Letters - Institute for Language and Folklore - Swedish Film Institute 4) 문화부 산하의 국립 박물관 - National Historical Museums - Swedish National Museum of Fine Arts - Moderna Museet - Swedish Museum of Natural History - Nordic Museum - Skansen - National Swedish Museums of Military History - Swedish Centre for Architecture and Design - Museum of Science and Technology - Museum of Work 2) 문화부 산하 국립 공연기관 - Royal Swedish Opera - National theater - Performing Arts Agency - Royal Dramatic theatre 주스웨덴대사관 문화홍보관 | 2020.08.14
    상세보기
  • image

    8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보고

    □ 문화예술 정책 ㅇ 고흐 작품을 스파게티로…게티, 코로나 시대 특별한 책 출간 기발하게 재창조된 미술품 실어 9월 출간, 판매금 아티스트 지원 - 게티가 특별한 책 한 권을 출간한다. 코로나 시대의 특별한 상황을 가장 잘 반영한 책이다. 이 책에는 스파게티로 만든 반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이 있고 애완동물과 화장지를 든 프리다 칼로의 자화상이 있다. 게티 뮤지엄이 27일 책 ‘오프 더 월(Off the Walls: Inspired Re-Creations of Iconic Artworks)’을 출간한다고 밝혔다. 책은 지난 3월 코로나19로 직접 전시를 감상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 게티가 개최한 이색 소셜네트워크 이벤트 참가 작품들을 한데 모은 것이다. 게티는 '집에서 예술작품을 재창조하라'며 게티 뮤지엄 사이트에서 좋아하는 미술품을 선택하고 주변의 사물을 이용해 재창조된 작품을 사진을 찍어 올리는 식으로 지난 몇달간 이벤트를 진행했다. 이벤트에는 톡톡 튀는 아이디어의 수많은 작품이 올라와 소셜네트워크를 뜨겁게 달궜다. 게티 측은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으로 학교와 비즈니스가 폐쇄되고 여행이 제한됐다. 그리고 수많은 사람이 집에서 머물러야 했다. 하지만 같은 시간 10만여 명의 사람들이 가족, 룸메이트 또는 애완동물과 함께 예술작품을 재창조했다. 격리된 시간 사람들을 연결해줬고 이를 통해 아트의 힘을 보여줬다"며 "책 판매금 전액을 미국 전역에 있는 예술가들을 지원하는 데 사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미주중앙일보 기사 참조)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8515464 (*Getty 사이트 참조)http://news.getty.edu/getty-publications-announces-new-book-celebrating-creativity-and-joy-sparked-by-getty-museum-challengewith-all-profits-going-to-charity.htm ㅇ 1000만 달러 지원 예술 구호 기금 LA카운티문화예술부서 예술보호 기금으로 천만 달러를 지원 펀드는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의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의 일부 -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예술문화부는 오늘 COVID-19 관련 지출(Spending Plan)에 대해 미국 재무부가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에 수여하는 12억 2천만 달러 규모의 KAES 법 코로나바이러스 구제 기금(Coronavius Remed Funds) 중 1000만 달러를 배정받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재니스 한과 쉴라 쾰이 2020년 8월 4일 로스엔젤레스 카운티 감독관이 도입하고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감독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동의서는 COVID-19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지원하고 대응하기 위한 지출계획에 상세히 기술된 KAES 법 구제기금의 출시를 다루고 있다. 화요일 발의안에 포함된 비용 중 하나는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에 KAES 법 코로나바이러스 구제 기금 1억 3천 5백만 달러를 적립하고 이 중 1천만 달러는 예술 문화부로 보내 COVID-19 관련 부신 관련 사업 중단으로 인해 사업 중단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501(c)(3) 비영리 예술 단체에 보조금을 제공할 예정이다.(*LA County Arts & Culture 사이트 참조)https://www.lacountyarts.org/article/10-million-cares-act-arts-relief-fund ㅇ LA오페라 공연 취소 및 연기에 따른 3,100만 달러 재정손실 추산 - LA타임스는 코로나19로 LA오페라가 계속되는 공연 취소와 연기에 따라 최대 3100만 달러의 재정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고 28일 보도하였음. - 35주년을 맞은 LA오페라는 2020-21시즌 개막작으로 베르디의 오페라 ‘일 트로바토레’를 시작으로 바그너 오페라 ‘탄호이저’, 희극 오페라의 대명사 로시니의 ‘신데렐라’ 등을 무대에 올릴 예정이었으나, 올가을 예정돼 있던 4개의 메인 프로덕션이 모두 1년 뒤인 2021년 가을로 연기됐음. - LA Times에 따르면 LA오페라는 2019-20시즌 900만 달러의 손실에 이어 2020-21시즌 역시 가을 공연을 취소하면서 최소 1300만 달러에서 최대 2200만 달러의 추가 손실을 예상하고 있음. - LA오페라는 올가을 디지털을 통해 다양한 공연을 소개할 예정이며 코로나19 상황이 호전될 경우 야외 공연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힘* 관련 사이트 링크https://www.latimes.com/entertainment-arts/story/2020-07-28/la-opera-covid-cancellations-fall-2020-cenerentola ㅇ 인터내셔널 이그재미너(International Examiner) 서평: 한국의 고전으로 사랑받는 “구운몽”의 새로운 번역서, 신세대 독자들과 공유 희망 17세기 유불선 철학과 당시 사회문화상이 잘 녹아있는 구운몽의 새로운 번역서에 대하여 다양한 문학 장르를 넘나들며 낭만과 판타지가 잘 어우러져 있으면서 고리타분한 고전문체에서 벗어나 몰입도가 높은 저서로 호평 (출처:International Examiner, 2020/7/24일자) https://iexaminer.org/a-new-translation-of-the-nine-cloud-dream-shares-a-classic-and-beloved-korean-novel-with-a-new-generation-of-readers/ □ 문화콘텐츠(문화산업) 정책 ㅇ 소니, 유니버셜, 워너 뮤직 2021년 1월까지 재택근무 권장 - 미국의 메이저 음반 레이블인 소니, 유니버설, 워너 뮤직이 코로나-19사태에 대응해 2020년은 직원들에게 재택근무 할 것을 권장. 비즈니스에 필요할 경우를 대비해 오피스는 항상 오픈되어 있을 예정이지만 가능한 재택에서 근무할 것을 권장하였음 - 유니버설 뮤직 그룹의 경우 최소 2021년 1월 말까지는 코로나가 종식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어 최소한의 필요한 인원만 사무실로 복귀할 것이라고 직원들에게 이메일을 발송하였으며, 워너 뮤직의 경우 빠르면 미국은 2021년 1월, 영국은 2020년 10월 사무실근무를 재개할 것이라고 직원들에게 알렸으며, 소니의 경우도 올해안에는 재택근무가 끝나지 않을 것이고 직원과 직원의 가족의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서신을 직원들에게 보낸 것으로 알려짐 - 미국 최대 규모 레이블인 유니버설 뮤직 소속 아티스트로는 테일러 스위프트, 레이디 가가, 리아나 등이 있어며, 워너 뮤직 소속 아티스트로는 브루노 마스, 콜드 플레이, 소니 뮤직 소속 아티스트로는 비안세, 브루스 스프링스틴 등이 있음https://variety.com/2020/biz/news/sony-universal-warner-music-coronavirus-work-from-home-remote-1234721073/https://www.rollingstone.com/pro/news/universal-warner-sony-music-remote-working-coronavirus-1036110/ □ 관광 정책 ㅇ 미국무부는 8월 6일 미국인들이 모든 해외여행을 피할 것을 권고했던 4단계 여행경보를 해제. 이는 지난 3월 19일 신종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해 4단계 여행경보를 발령한지 4개월여 만임. 이번 결정으로 한국과 일본등 전세계 대부분 나라기 여행금지권고 대상인 4단계에서 3단계인 여행으로 변경되었으나, 일부 멕시코 및 브라질등은 아직 4단계 유지됨.https://www.washingtonpost.com/travel/2020/08/07/state-dept-lifted-its-blanket-international-travel-advisory-what-does-that-mean-americans/ ㅇ 미국호텔숙박협회(AHLA)가 7월 23일부터 27일까지 1,200명 이상의 AHLA 회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호텔 10개 중 9개가 코로나19 여파로 직원들을 해고 또는 무급휴직으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남. 또한 호텔의 37% 만이 정규직원의 절반을 데려온 것으로 조사됨. https://www.hotelbusiness.com/ahla-only-37-of-hotels-have-brought-back-at-least-half-of-employees/ ㅇ 미 항공사 경영진 및 노조, 320억 달러 고용지원 혜택 연장 요구: 의회가 1차 경기부양책을 통해 320억 달러 지원했지만, 고용 보조금이 9월 30일 에 종료되면서 대규모 감원이 불가피해진 것으로 예상 대규모 추가 지원을 촉구함. 항공사 지난 6월부터 320억 달러 고용지원 혜택 연장을 요구하고 있음. https://www.cnbc.com/2020/08/03/airlines-unions-push-for-billions-in-additional-federal-aid-to-save-airline-jobs-as-loom.html ㅇ 미국인들에게 국내 여행경비를 지원하는 ‘익스플로어 아메리카’ 법안 연방상원에 공식 상정. □ 체육(스포츠) 정책 ㅇ NBA의 이사회와 National Basketball Players Association은 흑인커뮤니티의 경제 성장에 박차를 가할 최초의 NBA 재단을 설립 할 계획을 확정했으며, 기부금이 3 억 달러 이상이 될 것이라고 발표 (출처: NBC News)https://www.nbcnews.com/news/sports/nba-foundation-created-pledges-300-million-black-growth-n1235984 ㅇ 트럼프 대통령은 2020 년 시즌 경기를 희망하는 대학 축구 선수들을 지원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에 참여(출처: USA Today)https://www.usatoday.com/story/sports/ncaaf/2020/08/10/donald-trump-supports-college-football-players-wanting-play/3336861001/ ㅇ 뉴욕 자이언츠의 DeAndre Baker, 플로리다에서 총기 강도 혐의로 기소(출처: NBC NEWS)https://www.nbcnews.com/news/sports/deandre-baker-new-york-giants-charged-robbery-firearm-florida-n1236176 ㅇ 영화배우 드웨인 존슨(Dwayne‘The Rock’Johnson), 미식축구 리그(XFL, X Football League)을 1,500 만 달러에 인수(출처: ESPN)https://www.espn.com/xfl/story/_/id/29588303/dwayne-rock-johnson-investor-group-agree-buy-xfl-15m 주로스앤젤레스 한국문화원 | 2020.08.14
    상세보기
  • 필리핀 국기

    2020년 8월 필리핀 문화예술 등 동향보고

    2020년 8월 필리핀 문화예술 등 동향보고□ 코로나 19 현황 ㅇ 7월 30일, 필리핀 코로나 19의 1일 회복자수가 38,075명으로 큰 폭으로 증가함. 필리핀 보건부는 코로나 19 확진자 관리 체계의 강화로 회복자수가 증가하였음을 피력하였으며, 미국, 인도, 유럽 질병 통제 예방 센터가 따르고 있는 프로토콜을 채택하여 무증상 혹은 경증 확진자의 경우 확진 판정 후 14일이 지나면 회복자로 표기할 것을 발표함. *출처: 필리핀 보건부 공식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OfficialDOHgov)ㅇ 7월 30일, 필리핀 두테르테 대통령은 NCR지역 내 감염자수의 지속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일반 지역사회 격리조치(General Community Quarantine, GCQ)」를 8월 15일까지 연장한다고 밝힘. 이에 의료계는 「강화된 지역사회 격리조치(Enhanced Community Quarantine, ECQ)」로의 격상을 요구함. *출처: Philippine Daily Inquirer(https://newsinfo.inquirer.net/1315204/medical-frontliners-to-govt-time-out-revert-metro-manila-back-to-ecq#ixzz6UnMGAHYU)ㅇ 8월 2일 필리핀 두테르테 대통령은 의료계의 요구를 받아들여 메트로 마닐라를 포함한 5개 지역에 8월 4일부터 8월 18일까지「수정된 강화된 지역사회 격리조치(Modified Enhanced Community Quarantin, MECQ)」를 선포함. *출처: Philippine Daily Inquirer(https://newsinfo.inquirer.net/1315726/duterte-heeds-frontliners-plea-reimposes-mecq-in-metro-manila-other-areas-from-aug-4-to-18#ixzz6UnMo7oWe)ㅇ 8월 6일 필리핀은 총 코로나 19 확진자 119,460명을 기록하며 인도네시아를 뛰어넘어 동남아시아 최다 확진국이 됨. 필리핀 보건 당국 관계자는 최근 검사수를 늘리기 위한 노력이 확진자의 증가로 이어졌다고 발표함. *출처: Philippine Daily Inquirer(https://globalnation.inquirer.net/190091/ph-now-has-most-covid-19-cases-in-southeast-asia#ixzz6UnPBecfg))ㅇ 08.14.(금), 16:00시 기준, 필리핀 COVID-19 확진자 감염 현황 -총 확진자: 153,660명(전일대비 ▲6,216명) -회복자: 71,405명(전일대비 1,038▲명) -사망자: 2,442명(전일대비 ▲16명) *출처: 필리핀 보건부 공식 홈페이지(https://www.doh.gov.ph/)□ 문화예술 정책ㅇ 7월 20일 알란 피터 카예타노(Mr. Alan Peter Cayetano) 대변인은 대한민국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언급하며 국가 차원에서 필리핀 공연예술 산업의 부흥을 지원할 수 있는‘예술문화부’의 설립 필요성을 제기함. ‘예술문화부’는 공연예술 및 창작 활동을 관리하는 정부 산하 기관을 통합하여 설립될 것이라고 밝힘. *출처: Manila Bulletin(https://mb.com.ph/2020/07/21/house-speaker-seeks-creation-of-department-of-arts-and-culture-to-promote-ph-arts/)□ 관광 정책 ㅇ 7월 27일 필리핀 두테르테 대통령은 국정연설을 통해 경제 활성화를 위한 국내 관광을 장려함. 이어서 7월 29일 베르나데트 로물로 푸야트(Ms. Bernadette Romulo-Puyat) 관광부 장관은 팔라완, 보라카이, 보홀, 다바오, 바기오와 같은 주요 관광지에서의 안전 행동 수칙 등을 마련하고 있으며,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해 필리핀관광협회 연합체(Tourism Congress of the Philippines, TCP)와 제휴를 맺어 다양한 홍보 활동을 펼칠 것이라고 발표함. *출처: CNN Philippines(https://www.cnnphilippines.com/news/2020/7/31/DOT-assures-businesses-stakeholders-support-industry-slowly-reopens-.html) ㅇ 베니토 뱅존 주니어(Mr. Benito C. Bengzon, Jr.) 필리핀 관광부 차관은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1월부터 7월까지의 해외 관광객수가 작년 동기간보다 73% 하락하였다고 발표함. 그러나 작년 국내 관광 수요가 증가하였음을 언급하며, 트래블 버블 없이도 국내 관광 업계의 위기를 극복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함. *출처: Manila Bulletin(https://mb.com.ph/2020/08/11/foreign-tourist-arrivals-down-73-as-of-july/)□ 교육 정책 ㅇ 8월 14일 필리핀 교육부는「수정된 강화된 지역사회 격리조치(Modified Enhanced Community Quarantin, MECQ)」로 온라인 수업 인프라가 충분히 구축되지 못한 학교에 추가 준비 기간을 주기위해서 8월 24일 예정이던 정식 개학을 10월 5일로 연기한다고 발표함. *출처: Philippine Daily Inquirer(https://newsinfo.inquirer.net/1321659/deped-opening-of-classes-in-public-schools-moved-to-october-5)□ 한류 동향 ㅇ 필리핀 대표 통신사 스마트는 지난 6월 현빈을 광고모델로 발탁한데 이어 손예진 또한 자사의 광고모델로 선발함. 손예진은 앞으로 스마트 커뮤니케이션의 후불제 서비스인 스마트 시그니처의 공식 모델로 필리핀에서 활동할 예정임. *출처: ABS-CBN News(https://news.abs-cbn.com/ancx/culture/spotlight/08/03/20/korean-superstar-son-ye-jin-is-the-face-of-smarts-latest-campaign) ㅇ 데이식스 영케이, NCT 마크 등이 라이브 방송에서 언급한 필리핀 인기 밴드 Ben&Ben의 ‘Leaves’가 멜론 차트 실시간 검색에 등장함. 이에 Ben&Ben은 8월 5일 유트브 채널을 통해 트와이스, 레드벨벳, 데이식스, NCT드림의 히트곡 커버 영상을 공개해 감사를 표함. 8월 14일 기준 Ben&Ben 유튜브 채널 구독자는 110만 명, 해당 영상 조회수 약 704,000회임. *출처: GMA Network(https://www.gmanetwork.com/news/lifestyle/hobbiesandactivities/750037/ben-amp-ben-covers-songs-by-k-pop-artists-twice-nct-dream-red-velvet-day6/story/)ㅇ 드라마 ‘사이코지만 괜찮아’는 8월 13일 기준 월간 필리핀 넷플릭스 TV 드라마 부문 스트리밍수 1위를 기록함. 8월 13일 일일 필리핀 넷플릭스 TV 드라마 부문 스트리밍수 Top10에 ‘사이코지만 괜찮아’, ‘사랑의 불시착’이 각 1위와 7위를 기록함. *출처: flixpatrol(https://flixpatrol.com/top10/netflix/philippines) 주필리핀 한국문화원 | 2020.08.14
    상세보기
  • <img src = "Kaz-01.jpg" alt="Kazakhstan">

    [카자흐스탄]8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 문화예술 동향 ㅇ 카자흐 문화체육부, 온라인 콘서트 “Zhaz Kuenderi”진행 - 코로나19로 인한 문화예술산업 위기 극복을 위해 7월 24일 자로 온라인 콘서트 사업 시행 - 주재국내 15개 지역별 필하모닉 및 크리에이티브 팀이 참여, 8월 말까지 30개 이상의 콘서트조직 참여로 규모 확대 예정 - 소셜네트워크 라이브* 뿐 아니라 TV유선채널에도 상영할 계획 *시험단계인 현재 약 4,000여명의 시청한 주재국민들이 긍정적으로 평가함 (자료원 : 카자흐스탄 문화체육부, 8월 3일자) ㅇ 아바이 탄생 175주년 “아바이의 날”기념일 행사 - 8월 10일 “아바이**의 날” 주재국 국가공휴일로 지정 **아바이: 주재국 국민들의 정신적 선인으로 평가받는 시인, 작곡가, 번역가, 철학자 - 8.10.(월) 17:00 세계 8개 국어***로 아바이의 시를 낭송하는 “온라인 아바이 월드챌린지” 진행 및 전국 각지 100여개의 행사 진행 예정 ***영어, 프랑스어, 아랍어, 스페인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중국어, 일본어 - K.K.토카예프 대통령 “아바이 탄생 175주년 행사는 카자흐인들의 정체성 및 의식을 발전시키기 위한 행사” 성명 발표 (자료원 : 카자흐스탄 문화체육부, 8월 9일자) □ 관광 정책 ㅇ 카자흐 관광공사 «카작 투어리즘» 예산 절반 이상 삭감조치 - 현재의 역학적 상황과 주재국 국가비상사태 조치를 미루어 보아 관광산업 차원의 심각한 위기상황이라 분석 - 이에 따라 전년대비 예산 56% 삭감 및 인력 20% 감축 결정 - 해결책으로 관광 상품 개발범위 확장 및 지역별 관광서비스 구축이 절실하다고 판단(자료원: 카즈인폼, 7월 28일자) ㅇ 올 가을 카라반 육로 관광 상품 활성화 예정 - 현재 중국과 러시아에서 지프 투어를 포함한 카라반, 오토바이 등 육로여행에 대한 수요가 수천만 명에 달한다고 분석 - 카자흐 관광공사는 현 시국에서 카라반 육로여행이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키며 가장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다고 판단 - 이에 따라 올 가을 상황이 안정될 시 카라반을 이용한 실크로드 투어 상품 개발 착수예정(자료원: 뉴스타임, 7월 29일자) 주카자흐스탄 한국문화원 | 2020.08.14
    상세보기
  • 썸네일(2)

    [미국] (워싱턴) 8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 문화예술 정책 ㅇ 문화예술계 코로나19 관련 연구 - 미 박물관연맹(American Alliance of Museum)이 760여개 미 박물관장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 추가 지원금 부재 시 미 박물관 1/3 향후 기관 운영 지속 및 재개관 확신할 수 없다 답변 - 조지아텍이 실시한 미 수도 지역(워싱턴 디씨, 메릴랜드주, 버지니아주) 코로나19 감염 확률에 대한 연구 결과, 참가인원 100명 이상의 문화예술 행사 참석 시, 워싱턴 디씨 동부 지역 내 코로나19 감염 가능성(76%)이 서부 지역 내 감염 가능성(58%)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 ㅇ 문화예술계 코로나19 피해현황 - 존 F. 케네디센터, 코로나19 여파로 약 230만 달러 손실 기록 및 직원 64명 해고 ㅇ 주요 문화예술기관 재개방 계획 및 현황 - (전시) ▴뉴욕 메트로폴리탄 뮤지엄(8.29. 재개관, 주중 4일 운영), ▴워싱턴 국립 미술관(시간제 및 예약제 운영), ▴스미소니언 허쉬혼 야외 조각박물관, ▴스미소니언 우주항공박물관 스티븐 F. 우드바 헤이지 센터(예약제 운영), ▴스미소니언 미 국립 동물원(예약제 운영), ▴국립여성미술관(8.1. 재개관, 시간제 및 예약제 운영) / (공연) ▴존 F. 케네디센터, ▴내셔널 심포니 오케스트라, ▴워싱턴 내셔널 오페라, ▴ABT 발레단, ▴뉴욕발레단, ▴앨빈엘리 아메리칸 댄스 시어터, ▴폴 테일러 댄스컴퍼니 등 (2021년 1월 재개관) ㅇ 문화예술계 내 유색인종 인권운동 확산 - 브로드웨이 공연예술계 내 아프리카계 미국인 직원 고용 장려 캠페인 확산 - 미 하원, 스미소니언 라틴 박물관 설립안 통과□ 문화콘텐츠(문화산업) 정책 ㅇ 소셜 미디어 및 어플 - 트럼프 대통령, 틱톡(TikTok)과 위챗(WeChat) 중국 소유권 유지 시, 45일 이내로 미국 내 사용 금지 선언 - 인스타그램,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내 틱톡 사용 금지 발표에 따라 유사 영상 공유 어플 '릴스(Reels)' 공개 - 미 음악가들, 아마존 CEO 제프 베조스의 영상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트위치(Twitch)' 상대로 저작권 소송 제기 - 페이스북, 트위터, 코로나19 관련 거짓정보 담은 트럼프 대통령 계정 게시물 삭제 - 페이스북 및 구글, 2021년 7월까지 전면 재택근무 실시 ㅇ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 미 최대 영화관 체인 AMC 및 유니버셜 픽처스, 온라인 영화 관람 시대의 도래에 따라 극장의무 상영 일수 기존 75일에서 17일로 축소 합의. 극장 상영 17일 이후,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연계를 통한 추가 수익 창출 가능 - 디즈니, 영화 '뮬란' 실사판 북미지역 극장개봉 포기 선언 및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디즈니 플러스(Disney +)를’ 통한 상영 계획 발표(9.4.) - 디즈니 플러스(Disney +) 상영 브로드웨이 뮤지컬 '해밀턴(Hamilton)', 7월 중 넷플릭스 영화 모두 제치고 최고 조회수 기록 ㅇ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업계 - 코로나19로 인한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업계 막대한 손실 기록. 월트 디즈니사, 2001년 이후 처음으로 1분기 손실 기록. 미 대형 미디어/엔터테인먼트 회사 'NBCUniversal', 직원 10% 일시해고 발표. HBO, CNN, TBS 등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및 방송채널 보유 WarnerMedia사, 60억 지출 절감 및 직원 정리해고 계획 발표. - 미 헐리우드, 코로나19 공백기 깨고 제작 활동 재개. 드웨인 존슨, 9월 넷플릭스 영화 '레드 노티스(Red Notice)' 촬영 돌입. 타일러 페리, 7월 중 '페리의 BET 시리즈(Terry's BET series)' 등 본인 주연 쇼 제작. 제니퍼 가드너, 본인의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할리우드 각계 인사들과의 콜라보 의사를 밝힘. - 한국계 미국인 유명 헐리우드 배우 대니얼 킴, 헐리우드 내 아시아계 배우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미처 대우받지 못한 중국계 헐리우드 배우 제임스 홍의 명예의 거리 입성을 위한 모금운동 진행 및 나흘 만에 5만 달러 달성 - 디즈니사, 유서 깊은 '20세기 폭스(20the Century Fox Television)' 브랜드명 '20세기 TV(20th Television)'로 변경 - 2020 뉴욕 코믹콘 오프라인 행사 취소 및 유튜브 통한 온라인 행사로 대체 - 미 헐리우드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로 유명한 영국계 미국인 영화배우 올리비아 드 하빌랜드, 2020년 7월 26일 별세 - 파라마운트 픽처스, 미 공영방송 CBS, MTV 등 소유했던 미 미디어 거물, 썸너 레드스톤 8월 11일 향년 97세로 별세 - 미국 유명 가족프로그램 채널 홀마크(Hallmark), 10월부터 12월까지 크리스마스 연휴 시즌 중 상영할 신작 영화 40개 선공개 ㅇ 의류 및 요식업계 - 미 유명 백화점 로드앤테일러(Lord & Taylor) 코로나19 여파로 파산보호 신청 - 브룩스 브라더스(Brooks Brothers), 럭키 브랜드(Lucky Brand), 헤리티지 브랜드(Heritage Brands) 등 9개 미국 대형 의류체인 7월 중 매주 연달아 파산보호 신청 - 맥도날드, 코로나19 여파로 미국 내 점포 200개 폐쇄 예정□ 관광 정책 ㅇ 관광업계 코로나19 피해동향 - 아메리칸 항공, 7월 15일 직원 2만 5천 명에 해고 통보 - 로얄 캐리비안 크루즈, 카니발 크루즈, 노르웨이 크루즈 등 크루즈 업계, 코로나19 확산 이후 항해 중이던 선박 직원들의 자택 복귀에 수개월 간 난항을 겪음. - 디즈니월드, 코로나19 팬데믹 여파로 '스티치의 위대한 모험(Stitch's Great Escape)', '빙글빙글 원시시대(Primeval Whirl)', '빛의 강(Rivers of Light)' 3개 놀이기구 영구 운영 중단 결정 ㅇ 관광업계 코로나19 대응동향 - 포브스지, 미국인에 대한 유럽의 관광 봉쇄 정책에 따라, 대체 가능한 미국 내 유럽풍 관광지 추천 - 유나이티트, 아메리칸, 루프트한자 등 항공사 미-유럽 운항 재개 위해 공동 코로나19 검사 프로그램 제시 ㅇ 관광 및 이동수단 어플 현황 - 에어비앤비(Airbnb) 8월 내로 주식공개상장(IPO) 계획 발표 - 캘리포니아주, 우버(Uber) 및 리프트(Lyft) 운전노동자 계약직 아닌 정규직으로 판결□ 체육(스포츠) 정책 ㅇ 전미대학체육협회(NCAA) 2020년 가을 챔피언십 취소 ㅇ 미 프로미식축구(NFL),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시즌 라이브 국가 애창 공연 전면 취소 ㅇ 빅텐(Big Ten), 팍-12(Pac-12), 미 주요 대학 미식축구리그 중 처음으로 코로나19로 인해 시즌 연기 ㅇ 미 프로농구(NBA), 이례적으로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결집 진행된 시즌에도 빈틈없는 코로나19 검진 진행 및 확장 ㅇ 미 프로야구(MLB), 마이애미 마린스(Miami Marlins), 세인트 루이스 카디널(St. Louis Cardinals) 구단 내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에 따라 건강 및 방역 지침 강화 ㅇ 헐리우드 배우 드웨인 존슨 부부, 파산보호 신청 중인 미식축구리그, 익스트림풋볼리그(XFL) 1500만 달러에 인수□ 한류 동향 ㅇ 타임즈 매거진, 'BTS: 세계를 정복한 K-pop 밴드' 잡지 특별호 발행(7.31). 한편, 전자상거래 아마존에서 해당 잡지에 대해 '미국 밴드 백스트릿 보이즈(The Backstreet Boys)와 NSYNC가 BTS의 성공가도를 미리 닦아놓았다'고 설명해 미국 미디어 내 K-pop 가수들에 대한 인식 및 대표성 부족 문제가 제기됨. ㅇ BTS, 'Break The Silence' 다큐영화 미국 내 상영 확정(영화관 9.10., 온라인 9.24.) ㅇ BTS, 2020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서 신규 싱글 앨범 'Dynamite' 공연 확정 ㅇ BTS 정국,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공연 중지 기간 중, 저스틴 비버 원곡 '10,000 Hours' 커버곡으로 미국 팬심 충족*썸네일 이미지 출처: Fox 5 Washington DC 주워싱턴 한국문화원 | 2020.08.13
    상세보기
  • 캐나다 수도 오타와

    [캐나다] 8월 주재국 문화예술 동향 등 보고

    □ 문화예술 정책 ① 캐나다문화유산부 장관 Steven Gilbeault, 몬트리올 유진씨(Usine C) 문화예술센터 지원 발표(8.11) -(행사일시 및 장소) 2020년 8월 11일, 몬트리올 Usine C -(주요내용) ▲캐나다를 대표하는 다목적 공연장인 Usine C의 새 음향 및 무대장비 구입과 안전설비 확충을 위해 $1,504,516 (한화 13억여 원 해당)을 지원하고 문화유산부가 운영하는 캐나다문화공간기금 (Canada Cultural Space Fund)을 통해 노후시설 보완을 위한 추가지원 약속 ▲1995년 설립된 Usine C는 그동안 연극, 무용, 전시, 뉴미디어아트 공연등 다양한 혁신적인 예술작품들을 소개해 옴 ② 캐나다예술위원회 대표 Simon Brault, 2021-2026 5개년 전략계획 수립을 위한 문화계 설문조사 실시 발표(7.14) -(일시 및 장소) 2020년 4월 14일, 오타와 캐나다예술위원회 -(배경) ▲2016-2021 5개년 전략계획의 마지막 해를 맞는 상황에서 문화계의 의견을 묻는 설문조사 실시▲캐나다 문화인구는 2016년 현재 16만 여 명의 예술가(캐나다 노동인구의 1% 해당)와 73만 여 명의 문화계 종사자(4%)들로 구성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더 많은 인구가 다양한 매체와 플랫폼을 이용하여 창의산업에 종사하고 있음 ▲따라서 향후 5년은 캐나다 문화예술계가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맞는 시기임을 지적 -(2016-21 전략계획 성과) ㅇ주요목표: ▲예술지원 ▲문화계의 디지털화 ▲원주민 및 원주민예술가들 과의 관계개선 ▲캐나다 문화계의 국제적 위상 확보 ▲형평성 수립 등 ㅇ주요결과: ▲예술가 및 예술단체를 위한 지원금 83% 증가 ▲증가한 지원금으로 신설된 새 지원프로그램의 29%가 기존의 지원금 수혜자가 아닌 신진 지원자를 지원 ▲카화 5천만 달러(한화 444억여 원 해당)를 디지털 전략기금으로 지원 ▲2016년 이전 대비, 원주민 예술가 지원기금 3배 이상 증가 ▲국제 문화 활동 지원금 3배 이상 증가 ▲이민자 문화예술 단체 지원율 (227%), 영어-불어 공용어 소수자단체 지원율(133%), 장애자문화예술단체 지원율(538%) 증가 -(2021-2026 전략계획 논제들 제시) ㅇ예술계에 영향을 미칠 사회적 변화들: ▲기후변화와 환경적 지속성 ▲경제적 불확실성 ▲원주민-비원주민간 화해 ▲문화단체와 예술행위의 탈식민지화 ▲인구변화 ▲문화교류와 외교 ▲기술혁 명의 속도 ▲일상생활과 노동현상의 변화 등 ㅇ향후 5년간 문화예술 활동에 어려움을 줄 수 있는 요소들: ▲예술활동을 통한 수입창출 ▲작업실, 리허설룸 등 부족 ▲인터넷, 기술, 도구, 재료 등 부족 ▲관객감소 ▲공공 지원금 확보 ▲민간부문 지원금 확보 ▲지원신청 작성 시 드는 시간과 노력 ▲공평한 접근성을 저해하는 제도적 차별 ▲예술교육 비용 등 ㅇ향후 5년간 캐나다에서 예술을 접하고 참여하는데 어려움으로 작용할 수 있는 요소들: ▲참여 비용 ▲문화예술 공간의 폐관 ▲문화공간이나 행사장에 대한 휠체어 등 접근성 ▲문화적 다양성의 부족 ▲거주 도시나 커뮤니티가 제공하는 문화예술의 양적 부족 ▲문화향수를 위한 시간적 부족 ▲젊은이들을 위한 문화교육 부족 등 □ 체육(스포츠) 정책① 캐나다육상협회, 3명의 코치들을 영구제명 조치 후, 새로운 내부고발자 정책 도입(CBC)(8.6) -(주요내용) 캐나다육상협회는 선수들을 학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새로운 정책을 도입함 -(발단사유) 지난 2월 前 걸프대학교(University of Guelph) 코치이자 스피드 리버 육상클럽(Speed River Track and Field Club) 코치였던 데이브 스캇-토마스(Dave Scott-Thomas)가 선수들과의 부적절한 관계로 인해 영구 제명됐으며, 5월 오타와 라이언스 육상클럽(Ottawa Lions Track and Field Club)소속 코치, 앤디 맥이네스(Any McInnes)와 이사 캔 포터(Ken Porter)도 위법 혐의로 영구 제명됨 -(신규 가이드라인) 신규 내부고발자 정책은 과거 학대, 추행, 괴롭힘을 당했던 당사자만이 고발 가능케 했던 규정을 ▲제 3자가 목격하거나 들은 내용도 신고 가능하게 하였고, ▲“2명 이상 대면 규칙(Rule of Two)”을 제정하여 코치와 선수들 간의 1:1 대면을 금지하고, 코치와 1인 이상 복수의 선수들과의 대면만 가능 ▲불필요한 신체 접촉뿐만 아니라, 선수들에게 문자 전송 등을 금지하여 선수 개인 생활에 지나친 간섭을 금지함 -(전문가 의견) 신규 가이드라인이 효율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체육계 환경 변화와 선수, 코치들에게 교육이 지금 당장 필요함. 특히 유소년 선수들에게 선수들의 권리에 대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밝힘 URL:https://www.cbc.ca/news/canada/kitchener-waterloo/athletics-canada-introduces-new-whistleblower-policy-after-3-coaches-banned-for-life-1.5675786□ 관광 정책① 캐나다 주정부들, 관광업계에 위생교육 제공 및 위생인증서 제도 도입 -(개요) 캐나다 주정부들은 관광에 있어 위생에 대한 관광객 및 소비자들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관광업계에 위생교육을 제공하고, 교육을 이수하는 업체에 위생인증서 제도를 도입하는 ‘Clean it Right’ 캠페인을 출범하고 있음.* 2020.5월 캐나다 매니토바주를 시작으로 현재 뉴브런스윅주, PEI주, 노바스코샤주, 뉴펀드랜드주 등 캐나다 10개 주 중 5개 주에서 시행되고 있음.-(상세내용) 해당 위생교육은 숙박업체, 요식업, 리테일업(일반 가게)을 주요대상으로 온라인(약 1시간 소요)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교육 내용은 청소 방법, 청소 대상, 청소 주기 등으로 구성됨. 업체 소속 직원들 전원이 교육을 이수하면 인증서를 오프라인 스티커 및 온라인 로고 등의 양식으로 제공하여 사업홍보에 사용할 수 있고, 주정부 공식 관광책자에 위생인증 업체로 소개될 수 있는 제도임.*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해당 교육 및 인증서는 최소 2021년 6월까지 무료로 제공되고 있으며, 무기의 유효기간으로 제공됨.-(반응 및 여론) 뉴브런스윅주는 7월 초에 출범후 1주만에 60개의 업체로부터 등록을 접수하였다고 밝히며 전체적으로 관광업계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음. https://www.cbc.ca/news/canada/new-brunswick/cleaning-certificate-new-brunswick-tourism-1.5651728② 캐나다 수도 오타와관광청, 여행투숙객에 현금 상품권 제공 -(개요) 캐나다 오타와관광청은 코로나19로 인해 줄어든 관광객에 대한 대응책으로 최소 2박 투숙하는 관광객에게 CAD$100(약 8.6만원) 현금 상품권을 제공하는“It’s on us(우리가 쏜다)” 관광객유치 캠페인을 발표함.* 오타와관광업은 평균적으로 연 CAD$3billion(약 2.6조원)의 매출을 기록하고 약 43,000명의 일자리를 제공하지만, 전문가들은 올해 코로나19로 인해 매출액이 50% 이상 감축될 것이라고 예상함.-(상세 내용) 오타와관광청에서 지정한 호텔에 2박 투숙예약을 진행하면 체크인시 CAD$100 현금 상품권을 받을 수 있음. 예약은 7월 27일부터 9월 30일까지 해야 하며, 투숙은 올해 7월 29일과 12월 31일 사이에 해야 함. -(반응 및 여론) 오타와관광청의 관광객유치 캠페인에도 불구하고 오타와지역호텔협회 회장은 2019년도 통계로 회복하는 길은 길고 느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론을 통해 밝힘. https://www.obj.ca/article/local/tourism/ottawa-tourism-launches-100-gift-cards-lure-hotel-guests 주캐나다 한국문화원 | 2020.08.13
    상세보기
  • 8월 주재국 문화예술동향 대표이미지

    [러시아] 8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보고

    □ 문화예술 정책 ○ 문화기관들, 입장 시 방문객 체온 측정 - 문화기관 (음악회, 연극, 서커스 등)들은 다음 사항들을 준수해야 함: 열화상 카메라 또는 비접촉 체온계로 체온 측정 및 가시적 컨디션 체크 이후에만 건물 출입을 허가함. - 체온이 37도 이상이거나 호흡기질환 증상(기침, 콧물, 몸살기운 등)을 보이는 방문객은 출입을 불허함. ※ 출처 : 타스 통신 (http://tass.ru/obschestvo/9126773) ○ 차이코프스키 콘서트 홀, 코로나 사태 이후 첫 관객 대면공연 진행 - 8월 7일 러시아 인민 예술가 피아니스트 마추예프 데니스가 코로나로 인한 제재 해제 이후 첫 음악회로 관객들 앞에 섬. 지휘자 우류핀 발렌틴, 러시아 국립 청소년 교향악단과 협연해 라흐마니노프 3번 피아노 협주곡, 차이코프스키 ‘로미오와 줄리엣’ 판타지 서곡 등을 선보임. - 러시아 문화부 장관 류비모바 올가 외 여러 귀빈이 관람함. - 본 공연은 러시아 문화부의 온라인 플랫폼 ‘Culture.RF.Live’에서도 방송 되었고 조회수가 100,000회가 넘음. ※ 출처 : 러시아문화부 홈페이지 (https://culture.gov.ru/press/news/v_kontsertnom_zale_im_p_i_chaykovskogo_sostoyalsya_pervyy_kontsert_so_zritelyami_posle_rezhima_samoi/) ○ 한국 현대 판화 전시회 모스크바에서 개최 - 모스크바 국립동양박물관에서 8월5~30일 ‘폴리포니: 한국 현대 판화’ 전시회를 개최함. 본 전시회는 한-러 수교 30주년 기념 행사임. - 전시회 참여 32명의 작품은 1950년대부터 현대까지 한국 미술의 발전사를 보여줌. ※ 출처 : 타스 통신 (https://tass.ru/kultura/9120977) ○ 볼쇼이 극장, 오는 9월6일 첫 공연 - 국립 볼쇼이 극장이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9월 6일 245번째 공연 시즌을 베르디의 오페라 ‘돈 카를로스’로 막을 염. 소프라노 안나 네트레브코가 주연으로 참가 예정임. ※ 출처 : 인터팍스 통신 (https://www.interfax.ru/culture/720724) ○ ‘Bolshiye gastroli’ 9월까지 매주 토요일 온라인 공연 제공할 것 - ‘Bolshiye gastroli’는 러시아 문화부 주최 전국 극장순회공연 프로그램으로 코로나 19 이후 주말마다 전 러시아 국민을 위한 온라인 공연을 지속하고 있음. - 격리 기간 동안 107회 생방송 상영, 48개 지역 (러시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아브카지아, 우즈베키스탄 등)의 112개 극장이 소개됨. 조회수는 2,500만 회 이상임. - 모든 상영은 무료로 제공되며, ‘볼시예 가스트롤리’ SNS에 라이브 방송에 접속하면 됨. 또한 홈페이지 ‘온라인’ 메뉴에서 녹화본을 볼 수 있음. ※ 출처 : 러시아문화부 홈페이지 (https://culture.gov.ru/press/news/bolshie_gastroli_prodolzhat_onlayn_translyatsii_spektakley_po_subbotam_do_sentyabrya/) ○ 'Russian Seasons', 온라인으로 콘서트 상영 - 러시아 최대 국제문화프로젝트인 'Russian Seasons'는 'Stay home with Russian Seasons' 조직위원회 결정에 따라 온라인 방송을 지속하고 있음. - 8월10일 – 우랄 주립 필하모니 음악회 (지휘: 드미트리 리쓰), 클릐로프 세르게이 협연 : 파가니니 바이올린 협주곡 5번, 차이코프스키 4번 교향곡. - 8월12일 – 제9회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오페라 축제 ‘All together opera’ 일환 공연 생방송: 다르고미시스키 오페라 ‘인어공주’ - 8월14일 – 바슈키리아 국립 오페라 갈라콘서트 ‘아이다, 오페라!’ ※ 출처 : 러시아문화부 홈페이지 (https://culture.gov.ru/press/announcement/russkie_sezony_predstavyat_novye_onlayn_translyatsii_kontsertov_/)□ 문화콘텐츠(문화산업) 정책 ○ ‘장벽 없는 문화의 날’ 프로젝트, 한-러 수교 30주년 맞아 - 2020년 한-러 수교 30주년 기념 ‘한러 문화교류의 해’ 일환으로 로스콘서트는 ‘장벽 없는 문화의 날’ 프로젝트를 추진함. - ‘Culture.RF’ 포털에서 8월11~14일 매일 15:00에 한국 문화기관들의 공연 상영 : 8월11일 – 국립현대무용단의 ‘Black Beyond’ 8월12일 – 국립발레단의 ‘허날설헌 - 수월경화’ 8월13일 – 코리아 심포니 오케스트라 ‘러시안 나이트: 프로코피예프와 라흐마니노프’ 8월14일 – 국립관현악단 ‘아리랑로드 – 디아스포라’ - ‘네이버 TV’에서는 러시아 공연 상영: 8월11일 – ‘유리 바슈메트와 모스크바 솔로이스츠’ 함부르크 공연 8월12일 – 가스카로프 민속무용단 공연 8월13일 – 모스크바 뮤지컬 시어터 ‘리버스’ 8월14일 – 모스크바 국립 그젤 무용단의 ‘창작 30주년 공연’ ※ 출처 : 러시아문화부 홈페이지 (https://culture.gov.ru/press/news/proekt_dni_kultury_bez_pregrad_otmechaet_30_letie_dipotnosheniy_mezhdu_respublikoy_koreya_i_rossiey/)○ 러시아 문화부, 국가 프로젝트 ‘Culture’실행을 모니터링하는 언론사와 블로거 대상 ‘Culture of the word’ 대회 개최 - 8월11일 국가 프로젝트 ‘Culture’ 진행사항을 모니터링하는 언론사, 블로그, 네트워크 미디어 프로젝트 대상 공모전이 시작됨. - 접수는 2020년 8월11일부터 9월14일까지 공모전 공심 홈페이지 kulturaslova.ru 에서 진행되며, 공모대상은 2020년 7월1일부터 9월14일까지 발표된 기사들임. 공모 카테고리는 ‘인터뷰’, ‘사진’, ‘인쇄 출판물’, ‘영상’, ‘온라인 출판물’, ‘라디오 방송’, ‘포스팅’, ‘영상포스팅’임. - 본 사업의 목적은 문화 대중화 및 현대화를 위한 이니셔티브를 발굴하고, 문화계 종사자들의 직업적 의미를 부각시키기 하기 위함. ※ 출처 : 러시아 문화부 홈페이지 (https://culture.gov.ru/press/news/minkultury_rossii_provodit_konkurs_kultura_slova_sredi_smi_i_blogerov_osveshchayushchikh_realizatsiyu/) ○ 제5회 국제문화회의 ‘문화유산: 과거에서 미래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개최 - 제5회 국제문화회의 ‘문화유산: 과거에서 미래로’가 2020년 11월 10~11일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과학아카데미에서 개최될 예정임. - 주최 : 러시아 리하쵸프 문화자연유산 연구소,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교, 러시아 예술사 대학교 - 목적 : 문화관련 과학(기술) 현황 및 발전방향, 국내외 문화 성장 방향 등 모색 ※ 출처 : 러시아 문화부 홈페이지 (https://culture.gov.ru/press/news/v_rossiyskiy_kulturologicheskiy_kongress_kulturnoe_nasledie_ot_proshlogo_k_budushchemu_sostoitsya_v_/)□ 관광 정책 ○ WORLD TRAVEL AWARDS 2020: 상트페테르부르크, 5개 부문 후보에 오르다 - WORLD TRAVEL AWARDS 2020: 상트페테르부르크가 5개 부문 후보로 선정 : △‘유럽 최고의 도시 목적지’ (Europe’s Leading City destination 2020), △‘단기간 방문하기 가장 좋은 유럽의 도시’ (Europe’s Leading City Break Destination 2020), △‘유럽 최고의 크루즈 목적지’ (Europe’s Leading Cruise Destination 2020), △‘유럽 최고의 유산 목적지’ (Europe’s Leading Heritage Destination 2020) 등 - 투표는 8월17일까지 진행될 예정. 유럽 예선 우승도시들의 시상식을 9월28일 터키 안탈리아에서 개최 예정. 결선은 2021년 모스크바에서 진행될 예정. ※ 출처 : 러시아관광청 홈페이지 (https://www.russiatourism.ru/news/16859/) ○ 러시아 관광산업연합, 박물관에 최대 20명 단체팀 입장 허가 요청 - 최근 러시아 관광산업 연합은 러시아소비자보호감독청에 박물관 단체방문팀 최대 인원을 20명까지 관람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해 줄 것을 요청함. ※ 출처 : 인퍼팍스 통신 (https://www.interfax.ru/business/720734)□ 체육(스포츠) 정책 ○ 러시아 각국에서 하프마라톤 ‘자베그 RF’ 개최 - 8월2일 러시아 85개 도시에서 코로나바이러스 팬더믹 확산 이후 처음으로 대규모 체육대회가 개최됨. - 모스크바 대회 참가자 16,000명, 상트페테르부르크 참가자 9,000명. - 본 대회는 러시아소비자보호감독청 지침에 따라 마라톤 참가자들과 응원단을 위한 마스크, 일회용 장갑 등을 배치하고, 팬존과 스타트 존에 체온 측정기기 등을 제공함. ※ 출처 : 러시아 체육부 홈페이지 (https://minsport.gov.ru/press-centre/news/35103/) 주러시아 한국문화원 | 2020.08.13
    상세보기
  • 이미지

    [폴란드]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8월분)

    □ 문화예술 정책 ㅇ 폴란드 정부, 코로나19 관련 문화지원기금 조성 발표(8.5) - 폴란드 정부는 지난 8월5일, 코로나19 확산의 여파에 대응하는 4억 즈워티(한화 1,200억원 상당) 규모의 문화지원기금 조성 발표 - 동 기금은 폴란드 지방 정부의 문화관련 기관, 비정부기구(NGO) 및 기업 지원에 쓰일 예정이며, 문화기관의 안정적 운영 및 고용 유지 목적 - 3.12(폴란드 코로나19 확산 공표 시점)일부터 12.30.일까지의 손실 보전에 지원될 예정 * 문화지원기금 지원 사항 세부내역: 1. 위기방지책(Anti-Crisis Shield)하의 민법계약에 따른 문화기업, 비정부기구, 기업 지원 방안(수억 원 상당): 보조금, 일자리 유지 보조금, 주차비용(한화 약 100만원까지), 사회보장세 3개월 면제, 사업운영비 지원(한화 약 160만원 까지), 지방세 면제 등. 2. 특별 지원 사업, ‘Culture on the Web’실시 (한화 250억원 상당의 예산) 3. 문화유산부 사회 복지 지원금 (한화 51억원 상당) - 현재까지 6,000여명의 수당을 지급. 4. 문화유산부 장관 프로그램의 예산 증설(한화 170억 원~1,200억 원 상당) 및 현 상황을 고려한 사업운영 규정 변경. 5. 문화유산부 장학금 예산 규모 증액(한화 4억 7천 만원 → 20억원 상당) 6. 한화 약 1600억 원 상당의 BGK 은행(Bank Gospodarstwa Krajowego; 폴란드 국립산업은행) 신용 보증 7. ‘위기방지책(Anti-Crisis Shields)’관련 영화산업 특별지원 8. 인쇄된 서적에 대한 유럽 연합 내 부가가치세 면제 9. 전문예술인 권리에 관한 법률 작업의 지속 10. 국립 문화센터,‘문화-중개(Kultura-Interwencje)’프로그램 예산 (한화 31억원 상당) 11. 문화유산부 및 문화재청이 공동 운영하는 문화기관의 활동 제한과 관련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예산 개정안 마련 12. 문화행사 미사용 티켓 등을 교환 할 수 있는 바우처 도입. 13. 문화기관장이 기관 외부에서 수행되는‘대체’활동 에 대해 예술인에게 추가 보수를 지급할 수 있도록 함 ※ 출처 : 폴란드 문화유산부 홈페이지 (www.gov.pl), 2020.8.5 https://www.gov.pl/web/kultura/400-mln-zl-na-walke-ze-skutkami-pandemii-powolujemy-fundusz-wsparcia-kultury ㅇ 폴란드 문화유산부‘박물관에서의 휴일(Holidays at the Museum)’ 캠페인 홍보(7.30) - 폴란드 문화유산부는 전국을 동, 서, 남, 북부 및 중앙 등 5개 지역으로 분류하여 각 지역의 방문가치가 있는 주요 박물관 및 전시회 소개, 역사적 명소에 관한 지도 등 자료를 제작·제공하여 휴가기간(7-8월) 동안 학습과 오락을 겸한 여가활동 유도 ※ 출처 : 폴란드 문화유산부 홈페이지 (www.gov.pl), 2020.7.30 https://www.gov.pl/web/kultura/jak-spedzic-rodzinne-lato-w-centralnej-polsce-akcja-mkidn-wakacje-w-muzeum □ 문화콘텐츠(문화산업) 정책 ㅇ 베니스 국제영화제, 폴란드 영화 초청 신기록 수립(7.28) - 금년 베니스 영화제는 총 9편의 폴란드 영화를 초청 - 5년 만에 최초로 주요 경쟁 부문(‘국제 장편 경쟁 부문’)에 초청된 작품*을 포함, 비경쟁 극영화 및 비경쟁 비극영화 부문 등 다양한 부문에 초청 * 슈모브스카(M. Szumowska)-엔그레르트(M. Englert) 감독 작품 <Śniegu już nigdy nie będzie, “Never gonna snow again”> - 초청작 대부분은 폴란드 영화예술 위원회(PISF) 국제 공동제작지원 작품 ※ 출처 : 폴란드 영화예술위원회(Polski Instytut Sztuki Filmowej), 2020.7.28 https://pisf.pl/aktualnosci/rekordowa-polska-obecnosc-na-festiwalu-w-wenecji/? □ 관광 정책 ㅇ 폴란드 관광공사(POT), “요한 바오로 2세와 함께하는 여행” 사진 공모전 개최(8.1) - 폴란드 출신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탄생 100주년 기념, 폴란드 관광공사는 요한 바오로 2세와 관련된 장소 방문을 장려하는 행사를 8월말까지 진행 - 개발부 차관 구트 모스토브(A. Gut-Mostowy)는‘젊은이들에게 큰 영향을 끼친 정신적 지도자 요한 바오로 2세가 임기 중 전 세계를 여행, 특히 자연에 대해 애정을 보였고 모국 방문 시 여행을 즐기며 하이킹 및 카누 등을 주로 했다’고 언급, 교황의 발자취를 따라 전국을 여행할 것을 권장 - 공모전 사이트(jp2.polska.travel.)에서 요한 바오로 2세와 관련 장소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접수 등도 동 사이트를 통해 진행 예정 ※ 출처 : 폴란드 관광공사(Polska Organizacja Turystyczna) 홈페이지, 2020.8.1 https://www.pot.gov.pl/pl/nowosci/polecane/wedrowki-z-janem-pawlem-ii-wez-udzial-w-konkursie-pot#t 주폴란드 한국문화원 | 2020.08.13
    상세보기
  • 이집트

    이집트 문화예술 동향 (2020.8월)

    이집트 문화예술 동향 (2020.8월)□ 문화예술 정책 ㅇ 문화부, 7월 중순부터 오프라인 문화활동 점진적 재개 - 7월 중순부터 문화예술 관련 기관의 수용률 25%를 기준으로 문화활동을 점진적으로 재개 ※ 이집트 문화부는 3월부터 “Stay at home, Culture is in your hand” 제하, 공연·강좌 프로그램을 편성,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제공 중 □ 문화콘텐츠(문화산업) 정책 ㅇ 제 4회 '엘구나 국제영화제' 참가작 발표 - 이집트 대표 국제영화제인 '제 4회 2020 엘구나(El-Gouna) 국제영화제'에 16작이 출품 예정. 10.23~10.31까지 열릴 예정인 영화제는 실내활동 최소화, 야외행사장 및 가상기술을 활용하여 코로나-19에 대응할 것이라 밝힘 (자료원 : Al-Masry Al-Youm 통신, 8월 9일자) ※ '엘구나 국제영화제'는 이집트 사업가이자 백만장자인 나깁 사위리스(Naguib Sawiris)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2017년 9월 이후, 매년 이집트 홍해주 최고급 관광지인 엘구나(El-Gouna)에서 열림 ※ 엘구나 국제영화제 공식 사이트 링크 : http://elgounafilmfestival.com/ ㅇ 카이로 오페라 하우스, '레바논 재건과 꿈' 제하 콘서트 실시 - 카이로 오페라 하우스는 레바논 항구 폭발 피해자 애도 및 레바논에 대한 이집트의 연대를 표현하기 위해, '레바논 재건과 꿈' 제하 콘서트를 8.12일 온라인으로 실시 (자료원: Al-Youm 통신, 8월 10일자) □ 관광 정책 ㅇ 관광유물부, 관광산업 증진을 위한 '이집트 여행기' 영상 제작 - 이집트 관광유물부는 7월 국제공항 재개와 함께 관광산업 재건을 위해, '이집트 여행기' 영상을 제작, 걸프 방송사, CNN, Discovery Channel, 온라인 SNS 플랫폼 등을 통해 배포 - 홍보영상은 국제 관광객 수용을 위해 다양한 이집트 대표 관광지 소개 이외, 코로나-19 예방 절차 및 위생 안전에 대한 조치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구글 7천7백만, 페이스북 8천만 조회수를 기록함 (자료원: Al-Masry Al-Youm 통신, 8월 10일자) ※ 이집트 관광객 증가율 : 독일 (45%), 폴란드 (43%), 이탈리아 (39%) (7월 기준) ㅇ (CNN) 2021 개장 예정 '이집트 그랜드 박물관' 홍보 영상 제작 - CNN은 이집트 관광유물부와 협력하여 2021년 개장 예정인 '이집트 그랜드 박물관' 홍보 영상을 제작하여, 온라인 홈페이지 및 소셜미디어 외 남미, 유럽, 아시아지역 CNN에 방영함.(자료원: Al-Ahram 통신, 8월 9일자) ※ CNN 홍보영상 링크 : https://cnn.it/2XMqNVm □ 스포츠 동향 ㅇ 이집트,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총재 본부 10년 연장 확정 - 이집트 청년체육부는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본부의 이집트 내 존속을 10년 연장키로 승인함. 체육부는 성명을 통해 아프리카 축구 발전과 인기를 높이기 위해 1957년 연맹 창립 멤버로서 사명을 다하겠다고 밝힘 (자료원: Daily News 통신, 8월 4일자) ㅇ 이집트 청년체육부 '자전거는 당신의 건강' 캠페인 발족 - 이집트 청년체육부는 이집트 국민의 건강 증진 및 환경친화적인 스포츠 육성을 일환으로 '자전거는 당신의 건강(Your Bike Your Health)' 캠페인을 발족하여, 7월 스포츠 센터 등을 통해 1,400대 자전거 제공 (자료원 : Youm7 통신, 8월 4일자) □ 한류 동향 ㅇ 이집트 'K-Pop 온라인 콘테스트' 성황리 종료 - 주이집트 한국문화원은 7월 온라인 'K-Pop Battles' 최종 우승자 투표를 공개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홍진욱 신임 주이집트 한국대사가 온라인 생중계로 우승자 발표함. 온라인 공개 투표에는 약 2만명이 참여 (자료원: Al-Ahram 통신, 7월 21일자). 끝. 주이집트 한국문화원 | 2020.08.13
    상세보기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