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활동

전체 10,204

페이지 960 / 1021

게시물검색영역
  • 빛의 화가 방혜자, 헝가리에서 <빛의 춤> 展 개최

    빛의 화가 방혜자, 헝가리에서 <빛의 춤> 展 개최

    주헝가리 한국문화원에서 기획한 방혜자 화백의 '빛의 춤' 전이 2월 20일부터 3월 20일까지 헝가리 한국문화원에서 개최한다.서울대학교에서 그림을 전공한뒤 1961년 프랑스로 건너가 50년 동안 서울과 파리를 오가며 빛과 자연, 생명, 우주에 관한 작업을 펼쳐온 방 화백은, ;우리는 빛에서 와서 빛으로 가는 존재다. 우리 눈을 통해 들어온 빛은 생의 정신적인 에너지가 된다. 빛을 통해 물질적 탐욕을 벗어나 숭고한 정신적 미로 가는 길을 안내하고 싶다;는 빛 예찬론자다.▲ 2월 20일부터 3월 20일까지 주헝가리 한국문화원에서 개최되는 방혜자 화백의 '빛의 춤'展 포스터이번 전시에서는 빛의 세계를 일관되게 탐색해 온 방 화백의 초기 작품과 최근 작품을 아우르는 작품들을 선보이며, 한지와 부직포, 흙과 광물성 천연안료 및 식물성 염료 등 재료의 공유한 설질을 바탕으로 단순 회화를 넘어서 다양한 형태의 설치작업물을 구현해 온 방 화백의 작품을 통해 빛의 숨결과 에너지, 환희를 느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한국 추상화 제1세대인 방혜자 화백은 프랑스에 정착한 후 자신의 문화정체성을 발견하고 한국문화와 어린시절의 추억을 작품에 담고자 노력해왔으며, 프랑스, 한국, 스위스, 독일, 스웨덴, 벨기에, 미국, 캐나다 일본 등 세계 각지에서 70회의 개인전 혹은 단체전을 열었고, 그만의 독특한 빛의 세계는 꾸준히 사랑을 받고 있다. 방화백은 자신의 작품활동을 통해 프랑스에 한국 현대 미술을 전파하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2012년 5월 한불문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자료제공 = 주헝가리 한국문화원글 = 해외문화홍보원 민수광▲ 방혜자, 빛의 울림, 부족포에 잔연채색, 170x198cm, 2011 주헝가리 한국문화원 | 2014.03.10
    상세보기
  • ‘다이나믹 K-POP', 다이나믹 듀오 콘서트 개최

    ‘다이나믹 K-POP', 다이나믹 듀오 콘서트 개최

    주미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은 오는 3월 27일 오후 6시 조지 워싱턴大 캠퍼스 젝 모튼 강당에서 ;다이나믹 K-POP;을 개최한다. 조지워싱턴 대학교 한인 학생회 (GW Korean Student Association)와 협력하여 진행하는 이번 행사에서는 K-POP 열풍과 함께 세계무대에 진출하고 있는 힙합 그룹 다이나믹듀오가 한국적인 감성을 담은 한국 힙합을 알릴 예정이다. 다이나믹듀오는 K-POP의 현주소와 미래 가능성은 물론 한국 힙합의 세계 시장으로서 진출 가능성을 이야기하며 약 300여명의 현지 팬들과 만남을 갖는다.▲ 3월 27일 조지 워싱턴대 캠퍼스 젝 모튼 강당에서 공연을 펼치는 다이나믹 듀오다이나믹듀오는 27일 ;다이나믹 K-POP; 일정 이후 다음날인 28일 금요일 저녁 6시 워싱턴 DC 대표 예술 공연 기관, 케네디 예술센터(The John F. Kennedy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1층 밀레니엄 스테이지에서 ;One Mic: Hip-Hop Culture Worldwide 페스티벌에 한국 힙합 대표 그룹으로 초청되어 단독 공연을 진행할 예정이다.다이나믹듀오는 2004년 발표한 1집 Taxi Driver의;Ring my bell"을 필두로 이후로 ;고백', ;출첵, ;Solo, ;죽일놈;, 'BAAAM' 등을 꾸준히 발표하며 동시대를 살아가는 청춘들을 대변하는 가사와 독보적인 플로우로 대중과 마니아를 모두 사로잡아오고 있다. 또한 한국대중음악상 힙합부문에서 최우수 음반, 최우수 노래 부문을 석권하여 기존 힙합씬에서 쉽게 찾아볼 수 없던 국민 힙합듀오로 자리 잡았다. 최근 11주년을 맞이한 다이나믹듀오는 대한민국 최고 힙합듀오라는 타이틀을 뛰어넘어 하나의 문화 아이콘으로 발돋움하며 세계시장진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다이나믹 듀오의 7집 앨범 LUCKYNUMBERS워싱턴 한국문화원은 이번 행사를 계기로 한류에 관심이 있는 DC 일원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한류 네트워킹을 추진할 계획이며 더 나아가 K-POP의 다양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획하며 지속적인 한류 확산을 통한 한국 음악의 미국 시장 진출에 발판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자료제공 = 주워싱턴 한국문화원글 = 해외문화홍보원 민수광 주워싱턴 한국문화원 | 2014.03.07
    상세보기
  • ' 아티스트 토크 파티'와 함께하는, <K-패션 오디세이>

    <아티스트 토크 파티>와 함께하는, 'K-패션 오디세이'

    주영 한국문화원은 'K-패션 오디세이'전의 부대 행사로 3월 14일 문화원 복합홀에서 'Artist Talk Party'를 개최한다.본 행사는 유럽 및 영국 패션 무대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 디자이너 4명(애덜라인 리, 레지나 표, 서혜인, 코니 남)이 참석해 패션 산업의 트렌드, 국제 무대 진출을 위한 전략에 대해 청중들과 의견을 나눌 예정이며, 특히 국제 패션무대 진출을 노리는 젊은 디자이너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2월 7일부터 3월 15일까지 열리는 'K-패션 오디세이'전 포스터특히 서혜인 디자이너는 '인터내셔널 패션 쇼케이스 이머징 아티스트' 행사에서 '베스트 디자이너' 상을 수상한 역량있는 디자이너로, 작품 활동에 대한 자신의 생생한 경험담을 들려줄 예정이다.토론 후에는 지지 현정 정과 서혜인이 꾸미는 실험적인 패션 퍼포먼스가 DJ 마르코스 스파누다키스의 음악과 함께 흥겨운 파티가 이어질 예정이며, 이번 '아티스트 토크 파티' 행사를 통해 한국과 영국의 젊은 디자이너들, 패션업계 종사자들이 서로의 의견을 나누고 교감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자료제공 = 주영국 한국문화원글 = 해외문화홍보원 민수광 주영국 한국문화원 | 2014.03.06
    상세보기
  • 소설 <울릉도> 출판기념회 및 저자 '임정'과의 만남

    소설 <울릉도> 출판기념회 및 저자 '임정'과의 만남

    주프랑스 한국문화원에서 3월 12일, 임정 작가의 소설 '울릉도'의 출판 기념회가 열린다. 갈릴레(Galil;e) 출판사에서 소개하는 '울릉도'는 작가이자 조각가인 임정의 첫번째 소설로, 총5부작으로 구성될 '창작소설 시리즈'의 첫 단원이다.▲ 주프랑스 한국문화원에서 개최하는 임정 작가의 출판 기념회 포스터이번 출판기념회에서는 Jean-Marie Touratier가 소설 '울릉도'를 소개하고, Agnes Rauby 낭독할 예정이며, 독자들은 이 소설을 읽으며 '성과' '창의성', '물질성'과 '정신성'이 긴밀히 맞물려 일어나는 사건들의 미궁 속으로 빠져들 것으로 기대된다.한반도에서 멀리 떨어진 섬으로 동료들과 교사 연수를 온 여자. 그녀는 그곳에서 젊은 날의 첫 사랑을 만나게 된다. 세상의 관능, 존재하는 모든 것의 일시성, 자연의 야성적 아름다움 속에서 그 사랑은, 단지 육체적 쾌락 뿐 아니라 존재를 초월하고 영적 환희에 도달하기 위한오랜 여정의 첫 발걸음이 된다...- 작가 임정자료제공 = 주프랑스 한국문화원글 = 해외문화홍보원 민수광▲ 갈릴레(Galil;e) 출판사에서 출간된 임정 작가의 소설 '울릉도' 주프랑스 한국문화원 | 2014.03.06
    상세보기
  • 붓 끝을 통해 예술로 승화된 문자, '한국현대서예초대전'

    붓 끝을 통해 예술로 승화된 문자, '한국현대서예초대전'

    주인도네시아 한국문화원이 기획한 '한국현대서예초대전'이 2월 26일부터 3월 11일까지 주인도네시아 한국문화원 다목적홀에서 열린다.▲ 주인도네시아 한국문화원에서 열리고 있는 '한국현대서예초대전' 포스터이번 전시는 인도네시아에 거주하는 교민과 현지인을 비롯한 다양한 외국인에게 한국현대서예의 정수를 보여주기 위해 기획되었으며, 2월 26일 열린 개막식에는 한국서예협회 윤점용 이사장과 한국서예협회 서울지회장인 김기동 작가를 비롯해 인재 손인식 작가 등이 참석해 인도네시아의 서예 애호가들과 교류하며 성황을 이뤘다.현대한국서단의 원로와 중견작가가 고루 참가한 이번 전시에는 도정 권상호 작가를 비롯해 총36명의 한국현대서예작가가 참여해 총36점의 작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현대한국서단의 대표 작가들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한국 서예의 진면목을 인도네시아에 알리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자료제공 = 주인도네시아 한국문화원글 = 해외문화홍보원 민수광 '서예는 문자나 문장이 필묵을 통해 혼이 담긴 것이다. 역사를 통해 다져진 법(法)이라 칭하는 보편성에 작가가 깨달은 혼을 불어넣어 역사와 개인의 위(位)를 세운 것이 곧 서예작품이다. 그러므로 글씨가 예술일 수 있음은 전적으로 혼의 유무에 달려있다. 작품의 고저 또한 혼의 경중에 달려 있다. 문장의 의미를 미처 다 알지 못해도 드러나는 형체만으로도 힘과 미의 감정이 느껴지는 이유다. 혼이 있는 한 서예는 옛 것이 아니라 오늘의 것이다. 예술성에 대한 연구가 거듭된 현대에 와서 그 가치가 더욱 커지는 이유다. 마침내 ;나를 알려고 할진대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매우 현실적인 삶의 질문 앞에 당당히 대안으로 내세울 수 있으니, 아주 오랜 과거에도 바로 오늘에도 서예는 사람의 내면과 함께 하는 모던일 뿐이다'.(인재 손인식)▲ '不期自心(불기자심), 자신을 속이지마라.' 인재 손인식, 2011 주인도네시아 한국문화원 | 2014.03.05
    상세보기
  • 美 를 매료시킨 <조선의 미술>, 필라델피아 뮤지엄에서 열려

    美 를 매료시킨 <조선의 미술>, 필라델피아 뮤지엄에서 열려

    필라델피아 뮤지엄이 한국의 국립중앙박물관, LA 카운티 뮤지엄, 휴스턴 뮤지엄과 공동으로 기획한 한국미술 특별전 'Treasures from Korea : Arts and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조선의 미술 : 조선시대의 예술과 문화)'이 3월 2일부터 5월 26일까지 개최된다.▲ '조선의 미술: 조선시대의 예술과 문화' 전에 소개되는 18세기 <십장생도병>'Treasures from Korea : Arts and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조선의 미술 : 조선시대의 예술과 문화)' 전시는 2013년 2월 5일부터 5월 26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미국 미술 300년, Art Across America'전에 이은 한미 교류전의 일환으로, 한국의 국보, 보물 등 지정 문화재를 포함한 150점 이상의 작품이 소개되며, 이중 다수가 해외 관람객들에게 처음으로 선보이는 작품으로 3월 필라델피아 뮤지엄, 6월 LA 카운티 뮤지엄, 11월 휴스턴 뮤지엄 순회전으로 이어질 예정이다.이번 전시에는 조선시대 전 시기에 걸친 주요 작품이 총 망라되는 가운데 특히,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국보 제 93호), 백자 철화매죽문 항아리(국보 제 166호), 백자 달항아리(보물 제 1437호) 등 백자, 청화백자에서 회화 등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및 주요 사찰 소중품이 대거 소개되고 있다.▲ '조선의 미술: 조선시대의 예술과 문화' 전에 소개되는 보물 1056호 <백자청화철화삼산뇌문산뢰>, 국보 166호인 16~17세기 백자 <백자철화매죽문호>필라델피아 뮤자엄의 Timothy Rub 관장은 '국립중앙박물관, LA 카운티 뮤지엄, 휴스턴 뮤지엄과의 긴밀한 협력 속에서 이번 전시회를 준비하게 되어 대단히 기쁘게 생각한다. '조선미술대전'은 '미국미술300년전'이 한국 관람객에게 그러하였 듯 미국 관람객에게 한국의 문화를 만날 수 있는 값진 경험과 기회를 선사할 것이며, 또한 미국내 다양한 지역의 한국교민들이 위대한 문화유산을 통해 하나되는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이번 전시는 한국과 미국 간의 문화 교류 증진을 위해 기획된 전례 없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지난 2013년 가을부터 지난 2월 23일까지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뮤지엄에서 개최된 'Silla, Korean's Golden Kingdom' 전시와 더불어 그동안 서구 사회에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중세의 한국 문화와 역사를 소개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자료제공 -주뉴욕 한국문화원글 = 해외문화홍보원 민수광▲ '조선의 미술: 조선시대의 예술과 문화' 전에 소개되는 18세기 김홍도의 <송하맹호도> 주뉴욕 한국문화원 | 2014.03.04
    상세보기
  • '세계 여성의 날', 한-서 여성작가 교류전 개최

    '세계 여성의 날', <한-서 여성작가 교류전> 개최

    주스페인 한국문화원에서는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이하여 마드리드에서 벌어지는 'Miradas de Mujeres 2014' 행사 참여의 일환으로, 주재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스페인의 Mercedes R. Elvira작가, 및 한국의 우경화 작가 교류전이 'Dos Culturas, Dos Escultoras' 라는 주제로 오는 3월 7일부터 31일까지 3월 한 달 동안 주스페인 한국문화원에서 열린다.▲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3월 7일부터 3월 31일까지 주스페인 한국문화원에서 열리는 한-서 여성작가 교류전 포스터 본 전시회에 참여하는 두 여성 작가는 스페인과 한국이라는 다른 국가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지만 모성애, 여성미 등 작품 주제 및 성향에 있어서 비슷하며 목재, 시멘트, 및 청동을 주재료로 활발한 작품활동을 하고 있다.이번 전시 외에도 주스페인 한국문화원은 'Miradas de Mujeres 2014' 행사 참여의 또 다른 일환으로, 목요일 영화상영회에 이정향 여성감독의 영화, '미술관 옆 동물원'(3월 6일), '집으로'(3월 13일), 및 '오늘' (3월 27일)을 상영한다. ▲ 이정향 감독의 영화, '미술관 옆 동물원', '집으로', '오늘' 포스터 이정향 감독은 '미술관 옆 동물원(1998)'으로 데뷔해 두 번째 영화 '집으로(2002)'를 통해 기록적인 흥행을 거뒀으며, 2011년 9년 만에 세 번째 장편 영화 '오늘'을 연출했다.세계 여성의 날은 매년 3월 8일로, 여성의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업적을 범세계적으로 기리는 날로 여성들의 정치적, 사회적 자각을 잘 드러내주는 행사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번 한-서 여성작가 교류전이 양국의 여성 문화 교류 발전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자료제공 = 주스페인 한국문화원글 = 해외문화홍보원 민수광 주스페인 한국문화원 | 2014.03.04
    상세보기
  • <프랑스-한국, 교차된 시선>, 도빌 국제 아시아 영화제

    <프랑스-한국, 교차된 시선>, 도빌 국제 아시아 영화제

    유럽에서 유일하게 아시아 영화만을 모아 상영하는 국제 영화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도빌 국제 아시아 영화제(Festival du Film Asiatique de Deauville)가 오는 3월 5일부터 9일까지 프랑스 북부에 위치한 도빌에서 막을 올린다.▲ 제 16회 도빌 국제 아시아 영화제 포스터도빌 국제 영화제는 그간 수준 높은 아시아 영화를 소개함으로써 아시아 영화에 대한 프랑스 영화 애호가들의 관심을 증폭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특히 도빌 영화제를 통해 소개된 한국 영화들은 그 예술성과 독창성으로 크게 각광 받고 있다.▲ 제 16회 도빌 국제 아시아 영화제 경쟁부문에 진출한 이수진 감독의 '한공주'올해 제 16회 프랑스 도빌 아시아 영화제 경쟁부문에서는 이수진 감독의 '한공주'와 최진성 감독의 '소녀'를 포함한 아시아 감독들의 작품 총 8편이 진출했으며, 같은 부문에서 2007년 '왕의 남자'가 심사위원 대상, 2009년 '똥파리'가 최우수 작품상, 2011년 '무산일기'가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뿐만 아니라 작년, 배우 유지태가 연출한 '마이 라띠마'가 개막작으로 선보임과 동시에 심사위원 대상을 받아 이름을 알린 바 있다.특히 금년 영화제에서는 도빌시, 지방의회, 도빌미래사업국이 주관하는 '프랑스-한국, 교차된 시선' 행사를 3월 7일 개최해 도빌시장,주불한국대사를 포함하여 영화계의 다양한 인물들이 참석하여 향후 양국의 문화, 경제 교류에 대하여 논의할 예정이다.자료제공 -주프랑스 한국문화원글 = 해외문화홍보원 민수광 주프랑스 한국문화원 | 2014.03.03
    상세보기
  • 내가 모국이다

    K-Literature, 워싱턴 원로시인들과의 문학의 밤

    한국 및 미국 문단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작가와의 만남을 통해 북토크, 토론, 자가 사인회 및 작가의 최근 근황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는 행사인 K-Literature의 일환으로 주미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에서 3월 6일 오후 6시, '한국의 시문학 전통화 미국 속의 한국 시인들'이란 주제로 워싱턴 원로 시인 최연홍 시인을 초청해 문학의 밤 행사를 개최한다.이날 문학의 밤 행사를 통해, 최연흥 시인은 그가 시인으로 살았던 젊은 시절과 최근 출판한 영문 시선집 '내가 모국이다(I am Homeland)'에서 말하는 미주 시인들의 삶을 통해 한국의 문학과 시의 역사를 애기할 예정이다. ;내가 모국이다;는 최연홍 시인이 편집하고, 한인 시인 정두현, 서윤석, 이병기, 이천우, 백순, 준백, 노세웅, 경암, 김호길, 이성호, 김형오 시인의 작품이 각각 10편식 총 120편에 걸쳐 실려 있다. 한인 이민 1세대 12인의 한국 시인들을 통해 바라본 그들의 각기 다른 삶과 이민자로서의 희노애락을 시를 통해 잘 표현하고 있으며, 워싱턴 최고의 시인이라고 알려진 에텔버트 밀러는 이 시집이 이민자들의 나라인 미국 안에서 다른 문화와 문화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하며 세계평화를 이루는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연흥 시인이 편집한 '내가 모국이다(I am Homeland)' 책 표지최연흥 시인은 한인 이민 1세대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연세대학교 재학시절 "현대문학"으로 등단했고, 1968년 인디애나 대학으로 유학을 한 후 학자로서 또한 시인으로서 활발히 활동했다. 그는 미주시 문학회 회장이자 초대 워싱턴문인회 회장을 역임한 바 있으며, 3권의 영문시집과 3권의 미국 속의 한인 시집을 영문으로 출판하였으며, 하와이 이민 100주년 기념사업으로 펴낸 미국 속의 한국문학을 편집했다.자료제공 -주워싱턴 한국문화원글 = 해외문화홍보원 민수광 주워싱턴 한국문화원 | 2014.03.03
    상세보기
  • 동양문화와 남미문화의 절묘한 융합, <박재곤의 긴여정> 展

    동양문화와 남미문화의 절묘한 융합, <박재곤의 긴여정> 展

    LA한국문화원에서 기획한 고 박재곤 작가의 유작전 '박재곤의 긴여정'이 2월 7일부터 26일까지 개최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1960년 서울대학교 미술회화과를 졸업한 박재곤(1937-1993)작가는 한국의 전 후 추상세대로 색체에 대한 섬세한 능력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추상세계를 구축해나갔으며, 1972년 한국을 떠나 1992년 귀국하기까지 20여년의 세월을 캐나다 퀘백을 시작으로 멕시코, 타이티, 토바고, 파라과이, 우루과이,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 남미지역을 방랑하며 인간의 삶의 뿌리를 찾고자 했다.▲ 고 박재곤의 작품 <미스테리오>, 1989, 캔버스에 유체 97x97cm이번 전시에는 박재곤 작가의 1970년도부터 마지막 93년까지의 작품 등 총 44점의 유화와 드로잉을 소개했으며, 많은 문화인들을 비롯해 라크마, 게티 관계자들이 참여해 연계 전시를 제안 하는 등 현지 관람객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박재곤의 긴여정' 전시 전경LA한국문화원은 앞으로도 한국의 우수한 문화를 미국 현지에 알리고, 한국문화의 이해폭을 넓힐 수 있는 작가들을 발굴하여, 지속적으로 전시를 기획하겠다고 밝혔다.자료제공-주LA 한국문화원글=해외문화홍보원 민수광 주LA 한국문화원 | 2014.02.28
    상세보기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