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라노를 매료시킨 한국 공예,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2014' 展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주최한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2014(Constancy & Change in Korean Traditional Craft 2014)'전이 밀라노 트리엔날레 디자인 박물관에서 4월 8일부터 4월 13일까지 열렸다.금속, 나전, 도자, 섬유, 한지 등 전통공예 5개 분야 장인 21인의 작품 174점을 선보인 이번 전시는 밀라노 디자인위크 및 국제가구 박람회 기간 중 밀라노 트리엔날레 박물관에서 한국공예 특유의 절제된 아름다움으로 형상화된 작품들을 소개했다. 한국공예전이 열리는 트리엔날레 디자인 전시관은 밀라노디자인위크에서 꼭 찾아야 할 장소로 손꼽힐 정도로 권위를 자랑하는 전시장이다.▲ 4월 8일부터 4월 13일까지 밀로노 트리엔날레 디자인 박물관에서 열린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2014(Constancy & Change in Korean Traditional Craft 2014)'전밀라노 디자인 위크 및 국제가구박람회는 매년 약 2500여개 업체가 참여하고 30여만명의 관람객이 참가하는 세계적인 박람회로 동 기간 중 시내 전역에 주요 기업 및 국가들이 전시관을 운영하여 자사제품 및 국가 브랜드를 홍보하고 있다.올해 한국공예전시는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된 것으로, 4월 8일 개최된 개막식에는 본직, 신호석 문화홍보관, 박영규 한국공예디자인 문화진흥원 이사장, 중요무형문화재 이봉주 등 5명의 전시작가, 손혜원 예술감독, 전시 디자이너, 아르투로 벨라비키스 트리엔날레 박물관 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되었으며 많은 관람객들이 전시장을 찾았다.▲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2014(Constancy & Change in Korean Traditional Craft 2014)'전에 참여한 황삼용 작가의 <조약돌>한지 분야에서는 중요무형문화재 박명배 장인(소목)과 한경화 장인(한지 배첩)이 만든 '삼층지장'(三層紙欌), 강성희;김은혜 작가가 한지를 꼬아서 만든 지승 작품을 선보였으며, 김효중 침선장을 비롯한 한산 모시 장인 9명이 만든 한산모시 조각보 작품 100점(섬유공예 부문)은 전시장 천장을 가득 메웠다. 금속공예 분야에서는 중요무형문화재 이봉주 장인의 방짜유기좌종(坐鐘)과 이경동 작가의 방짜유기그릇이, 나전칠기 분야에서는 나전을 하나씩 끊는 기법으로 만든 황삼용 작가의 조약돌 모양의 오브제와 고(故) 정창호 작가의 나전 건칠 과반(乾漆 果盤), 이성운 작가의 나전 문자도 상자를 소개했다.지난해 4월 개최했던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2013;은 이탈리아 현지 언론과 유럽 지역으로부터 대대적인 호평을 받은 바 있으며, 밀라노 전시를 참관했던 대만과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의 초청에 따라 대만 국제문화창의산업박람회와 사우디아라비아 국립박물관에서 한국공예전을 개최한 바 있다.자료 제공 = 주이탈리아 한국대사관글 = 해외문화홍보원 민수광
주이탈리아 문화홍보관 | 2014.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