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활동

전체 10,175

페이지 958 / 1018

게시물검색영역
  • 동양문화와 남미문화의 절묘한 융합, <박재곤의 긴여정> 展

    동양문화와 남미문화의 절묘한 융합, <박재곤의 긴여정> 展

    LA한국문화원에서 기획한 고 박재곤 작가의 유작전 '박재곤의 긴여정'이 2월 7일부터 26일까지 개최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1960년 서울대학교 미술회화과를 졸업한 박재곤(1937-1993)작가는 한국의 전 후 추상세대로 색체에 대한 섬세한 능력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추상세계를 구축해나갔으며, 1972년 한국을 떠나 1992년 귀국하기까지 20여년의 세월을 캐나다 퀘백을 시작으로 멕시코, 타이티, 토바고, 파라과이, 우루과이,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 남미지역을 방랑하며 인간의 삶의 뿌리를 찾고자 했다.▲ 고 박재곤의 작품 <미스테리오>, 1989, 캔버스에 유체 97x97cm이번 전시에는 박재곤 작가의 1970년도부터 마지막 93년까지의 작품 등 총 44점의 유화와 드로잉을 소개했으며, 많은 문화인들을 비롯해 라크마, 게티 관계자들이 참여해 연계 전시를 제안 하는 등 현지 관람객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박재곤의 긴여정' 전시 전경LA한국문화원은 앞으로도 한국의 우수한 문화를 미국 현지에 알리고, 한국문화의 이해폭을 넓힐 수 있는 작가들을 발굴하여, 지속적으로 전시를 기획하겠다고 밝혔다.자료제공-주LA 한국문화원글=해외문화홍보원 민수광 주LA 한국문화원 | 2014.02.28
    상세보기
  • 첫인상 전

    시드니, 한국 현대 조각전, <첫인상> 개막행사 개최

    주시드니 한국문화원이 기획한 한국 현대 조각전, <첫인상> 개막행사가 2월 19일 문화원에서 개최됐다.▲ 주시드니 한국문화원장 개막사(왼)/ 김영원 작가의 작품 '하루' 설치 모습문화원의 2014년도 첫 전시인 ;첫인상;전은 2011년 문화원 개원이래로 처음으로 한국 현대조각에 초점을 맞춘 전시로써, 2011년 호주 시드니 본다이 해변 조각 축제에서 관객상을 수상한 문병두 작가, 광화문 세종대왕 동상을 제작한 김영원 작가, 1976년 제1회 시드니비엔날레에 초청받은 박석원 작가 등 호주 관객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유명 작가 작품 및 한국 현대 미술 특유의 재치와 발랄함이 돋보이는 작품 위주로 선별했다.▲ 주시드니 한국문화원에서 기획한 한국 현대 조각전, <첫인상> 포스터전시 개막행사는 이동옥 문화원장의 주관하에, 찰스 카수셀리 NWS 주의원, 마이클 헤져 맨리 시립 미술관 관장, 아루나 라나세나 주시드니스리랑카 부총영사, 키스 애드워즈 전 파워하우스 뮤지엄 부장, 황명하 재호주 광복회 회장, 고남희 코윈 호주지회 회장, 허남순 KWASS(한인여성미술협회) 회장과 전시에 참여한 최진호, 이채현 작가 등 총 120여명의 관람객이 이번 개막행사에 참여했다.문화원은 5월 9일 까지 지속 되는 이번 전시를 전호주 공립학교 및 대학교 대상 홍보를 통해 수시 단체 관람을 실시할 예정이며, 이번 한국 현대 조각전을 계기로 올 해 사진전, 비디오아트 전 등을 기획하여, 다양한 한국 현대 미술을 호주 현지인들에게 소개하겠다고 전했다.자료제공-주시드니 한국문화원글=해외문화홍보원 민수광 주호주 한국문화원 | 2014.02.28
    상세보기
  • 뉴욕패션위크서 ‘컨셉코리아 S/S 2014’ 개최

    뉴욕패션위크서 ‘컨셉코리아 S/S 2014’ 개최

    문화체육관광부와 대구광역시,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패션산업연구원이 공동 주관하는 글로벌 패션 프로젝트, ;컨셉코리아(Concept Korea F/WS14); 패션쇼 행사가 2월 11일, 뉴욕 맨해튼 소재 링컨센터 더 살롱(The Salon at Lincoln Center)에서 성황리에 개최되었다.특히, 월스트릿저널, Elle, WWD등 주요언론 및 영향력있는 패션지에 관련 소식이 상세히 소개되었고, 동아일보, SBS, 연합뉴스 등 국내 주요 미디어는 이번 ;컨셉코리아; 행사를 뉴욕 패션위크의 패션 이벤트 특집기사로 보도해 이번 패션쇼 행사를 향한 국내외 언론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이번 행사에는 계한희, 김홍범, 김서룡, 박윤수, 최복호, 고태용, 이석태 디자이너, 가장 영향력 있는 편집샵 바이어 오프닝세레모니의 캐롤송(Carol Song)을 비롯한 패션 관계자 뿐만 아니라 아메리칸 아이돌 출신 가수 라토야(La Toya Lodon), 미국미식축구(NFL) 선수 마이클 켄드릭(Mychal Kendricks), 미스 USA 에린 브랜디(Erin Brandy)등 등 영향력 있는 현지 패션유력인사들을 포함하여 또한 월스트리트저널, 뉴욕포스트, 로이터, USA투데이, WWD, GQ 등 현지 주요 언론 및 패션 관계자, 언론인, 예술계 주요 인사 약 700여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2014 뉴욕패션위크 컨셉코리아에 참여한 디자이너들"문화를 어우르다(Aspire to Inspire)"를 주제로 창작뮤지컬을 오프닝 퍼포먼스로 선보였으며, 뮤지컬 배우 김다현, 김호영 등이 퍼포머로 등장해 알래스카의 오로라를 주제로 참여 디자이너들의 의상 콘셉트를 무용극으로 표현한 공연을 펼쳐 뉴욕 패션관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문화를 어우르다'를 주제로 선보인 창작뮤지컬 오프닝 퍼포먼스본 행사 이전 진행된 특파원 간담회에서 참석한 최복호 디자이너는 ;컨셉코리아는 세계진출을 원하는 한국디자이너들의 하나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 지금까지 전 세계 7개국 24개 매장에 의상을 공급해왔는데 지난해부터 참가한 컨셉코리아 덕분에 10개 매장이 더 늘었다.;고 밝혔다.신진디자이너를 위한 프레젠테이션 쇼와 기성디자이너들의 해외진출을 위한 런웨이쇼 등 다각적인 형태로 선보인 이번 시즌은 각 디자이너마다 동서양의 문화를 접목시킨 개성있고 실험적인 작품으로 호평 받았으며, 참가 디자이너 전원은 브랜드 현지 정착을 위해 편집매장 입점 및 지속적으로 브랜드 홍보, 컨설팅을 지원 받을 예정이며, 컨셉코리아를 통해 소개 된 디자이너들의 현지 유통기반구축과 인지도가 강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글 - 해외문화홍보원 민수광▲2014 뉴욕패션위크 컨셉코리아 피날레 주뉴욕 한국문화원 | 2014.02.27
    상세보기
  • '묵향이 그윽한 한일서예교류전'

    '묵향이 그윽한 한일서예교류전'

    한국의 돋음 한글서우회와 일본의 히가시야마토 서예애호가와 동료들의 주최로 '묵향이 그윽한 한일서예교류전'이 3월 25일 부터 29일까지 주일 한국문화원 갤러리MI에서 열린다.▲주일 한국문화원 갤러리MI에서 열리는 한일서예교류전 포스터이번 전시회의 주최자인 돋움 한글서우회는 한국의 성남시 분당을 중심으로 20여년간 한글궁체를 꾸준히 연구하고, 다양한 전람회에 참가하는 등 회원 모두가 적극적으로 작품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다.돋움 한글서우회와 히가시야마토 서예애호가와 동료들의 귀중한 인연이 계기가 되어 열리게 된 이번 전시는, 앞으로도 두 단체가 지속적으로 교류를 나누며 작가들의 실력 향상을 도모하는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주일 한국대사관과 미우도예, 현천소토용요가 후원 하는 이번 행사는 전시 외에도 부대행사로 26일 한글 서예체험 프로그램을 마련해 관람객들과 소통할 예정이다.자료제공-주일 한국문화원글=해외문화홍보원 민수광 주동경 한국문화원 | 2014.02.27
    상세보기
  • 아리랑, 미국의 심장을 두드리다!

    아리랑, 미국의 심장을 두드리다!

    아리랑의 유네스코 무형문화재 등재 1주년을 기념하며 한국과 미국, 오늘과 미래의 아티스트들이 함께 하는 '아리랑' 공연이 내달 18일과 22일, 뉴욕 퀸즈 칼리지에서 열린다.▲3월 18일과 22일 뉴욕 퀸즈 칼리지에서 열리는 아리랑 공연 포스터미국 뉴욕에서 아리랑의 브랜드화 세계화를 위해 한국 전통예술의 최고 명인들과 미국의 미래세대 음악가들이 국악, 재즈, 클래식, 빅밴드, 합창단,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을 통한 아리랑 글로벌 공연을 개최하며, 우리나라의 우수한 무형유산 전반에 대한 현지인들의 관심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아리랑은 대표적인 한국의 민요로 '민족의 혼'이라 불리며, 지난 2012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7차 무형유산위원회에서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 되었으며, 우리나라의 문화유산이 세계로 뻗어나가는데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했다.▲영화 '아리랑' 포스터문화재청은 아리랑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등재를 계기로, 각 지역에 산재한 아리랑의 전승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인 지원을 위하여, '무형문화재 아리랑 전승 활성화 방안'을 시행해 나가고 있으며, 대외 문화외교 자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있도록 아리랑의 다각도 진흥 전략을 펼치고 있다.한편 우리나라는 아리랑 외에도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2001), 판소리(2003), 강릉단오제(2005), 강강술래(2005), 남사당(2009), 영산재(2009), 제주 칠머리당영등굿(2009), 처용무(2009), 가곡(2010), 대목장(2010), 매사냥(2010), 줄타기(2011), 택견(2011), 한산모시짜기(2011), 아리랑(2012), 김장문화(2013) 등 총 15종목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있다.자료제공-주뉴욕 한국문화원글=해외문화홍보원 민수광 주뉴욕 한국문화원 | 2014.02.26
    상세보기
  • 2014 한국영화의 밤 '한국영화를 만드는 사람들'

    2014 한국영화의 밤, '한국영화를 만드는 사람들'

    주영 한국문화원의 정례프로그램 '한국영화의 밤'의 3년 기획 시리즈가 올해 '한국영화를 만드는 사람들'이라는 주제로 막을 내린다.▲ 주영 한국문화원 '한국영화의 밤' 박훈정 감독과의 만남 포스터2012년 런던 올림픽을 맞아 '감독 12인전'을 기획한 데 이어 2013년에는 한국영화제에서 현지 관객들이 가장 보고 싶은 배우를 선정해 작품을 소개하는 '한국배우 4인 4색전'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올해에는 한국영화의 성장을 위해 현장에서 뛰어온 주역을 조망하며, 스크린 뒤에서 묵묵히 영화를 만들어온 그들을 시나리오, 음악, 촬영, 미술의 네 분야로 나누어 집중 조명한다.이번 행사에는 시나리오 작가이면서 최근 감독으로 데뷔하여 연출력을 인정 받고 있는 박훈정의 첫 작품 '악마를 보았다(2010)'로 2월 13일 문을 열었으며, 3월 27일에는 가장 최근작 '신세계(2013)' 상영 후 영국 관객과 대화의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이 행사는 영국의 영화잡지 엠파이어와 가디언 신문의 편집 기자인 데이먼 와이즈(Damon Wise)의 사회로 진행될 예정이며, 같은 날 영국 국립 영화 텔레비전 학교(NFTS) 시나리오 학과 학생들과 시나리오 작가로서 살아남는 노하우에 대한 진솔한 워크샵을 계획하고 있다.▲ 박훈정 감독의 영화 신세계(2013) 포스터올해 주영 한국문화원의 남다른 기획 프로그램 '한국영화를 만드느 사람들'을 통해 영국 현지에서 이미 확보된 관객층을 넘어 보다 전문적인 영화관계자까지 한국영화 관객의 층을 확장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자료제공-주영 한국문화원글=해외문화홍보원 민수광 주영국 한국문화원 | 2014.02.24
    상세보기
  •  한국의 어제와 오늘, 전통과 현대의 절묘한 조화-<Strata of Time: Layers of Tradition> 전

    한국의 어제와 오늘, 전통과 현대의 절묘한 조화 'Strata of Time: Layers of Tradition' 전

    뉴욕 한국문화원의 공식 공모 프로그램인 2014 Call for Aritists에 당선된 작가들의 그룹전 'Strata of Time: Layers of Tradition' 이 3월 5일 부터 3월 31일 까지 뉴욕 한국문화원 갤러리 코리아에서 개최된다. ▲ 뉴욕 한국문화원 'Strata of Time: Layers of Tradition' 전 공식 포스터한국의 뿌리 깊은 전통 공예와 그 속에 깃들인 장인 정신에 영감을 받아 미국에서 작품 활동을 펼치고 있는 재미 한인 아티스트 4인의 작품을 선보일 예정 인 이번 전시는 'Strata of Time: Layers of Tradition' 이라는 전시 주제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한국과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깊은 관심과 애정, 이를 토대로 현대적 기법과 주제로 재해석된 수준 높은 작품들을 통하여 시공을 넘나드는 한국의 어제와 오늘, 전통과 현대의 절묘한 조화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전시를 기획한 뉴욕한국문화원의 이우성 원장은 ;뉴욕의 미술 시장의 시작을 알리는 3월 초, 아모리쇼 및 2014 아시아 위크(Asia Week New York 2014)에 맞춰 2014년 뉴욕한국문화원의 첫 번째 전시를 개막하게 되었다;며 ;한국인 아닌 미국에서 활동하는 젊은 한인 아티스트들이 한국의 전통문화에 영감을 받아 각각 독특한 방법으로 재해석한 작품들을 선보이게 되는 이번 전시는 아모쇼를 계기로 뉴욕을 방문하는 미술계 주요 인사들에게도 매우 흥미를 끄는 전시가 될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다. 'Strata of Time: Layers of Tradition' 전시 프리뷰 및 개막식 행사는 3월 5일 수요일 저녁 6시부터 8시까지 참여 작가 및 미술계 주요 인사들이 참석하는 가운데 뉴욕 한국문화원 갤러리 코리아에서 열릴 예정이다. 자료제공-주뉴욕 한국문화원글=해외문화홍보원 민수광 주뉴욕 한국문화원 | 2014.02.24
    상세보기
  • <한국의 아름다운 섬, 그리고 독도> 홍보 사진전 개최

    <한국의 아름다운 섬, 그리고 독도> 홍보 사진전 개최

    주LA 한국문화원은 1월 17일 부터 1월 30일 까지 '아름다운 섬, 그리고 독도'라는 주제로 한국 알리기 홍보 사진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LA 한국문화원이 주최하고 한국관광공사 미주사무소가 후원한 이번 행사는 독도를 비롯해 서해 및 남해에 산재해 있는 크고 작은 섬들을 소개하며 한국을 홍보했다.▲ '아름다운 섬, 그리고 독도' 전에 전시된 사진45점이 넘는 사진과 독도 동영상을 상영한 이번 전시에서는 독도의 지리적 인식과 역사적 근거를 패널을 통해 독도가 한국의 영토임을 간접적으로 제시해 독도의 중요성을 미 주류 사회 및 현지인들에게 소개했으며, CNN에서 한국의 섬 33개를 아름다운 청정바다와 자연으로 꼭 가봐야 할 관광지로 소개한바 있듯이, 아름다운 우리나라의 섬 사진과 패널을 비치해 재미교포는 물론 현지인들에게 수려한 한국의 경치를 알렸다.LA 한국문화원은 우리의 문화와 함께 한국을 소개하는 행사를 꾸준히 개최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으며, 지속적인 행사 개최로 외국인의 한국 방문을 유도하고, 나아가 그들에게 친근한 한국의 이미지를 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글 = 해외문화홍보원 민수광사진 ⓒ 해외문화홍보원▲ 2014년 1월 30일 한국일보 미주지사에 게재된 사진전 관련 기사 주LA 한국문화원 | 2014.02.20
    상세보기
  • 전통과 현대의 어울림 속으로, <gamin> 공연

    전통과 현대의 어울림 속으로, 가민 앙상블 공연

    주뉴욕 한국문화원에서 기획한 '2013-2014 OPEN STAGE'의 세 번째 무대로 가민 앙상블의 공연을 개최해 한국 전통음악과 현대무용,즉흥음악 연주 등 다채로운 공연을 선보였다.이번 공연은 1부 피리 산조 연주를 통해 국악 고유의 아름다운 선율로 문을 열었으며 2부에서는 피리와 피아노, 현대무용이 결합된 다원예술적 작품인 '메타모르포즈 2014'을 공연 했다. 마지막으로 3부에서는 가민의 생황 연주와 서양 전자기타, 드럼 등 타악과 협연하는 즉흥음악 연주를 선보인관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2013-2014 OPEN STAGE'의 세 번째 무대로 가민 앙상블의 공연 피리, 생황, 태평소를 연주하는 대표적인 신세대 전통 국악기 연주자인 가민을 필두로한 가민 앙상블은 이번 무대를 위해 생성된 프로젝트 그룹으로, 뉴욕에서 활동하고 있는 현대무용가 홍지윤과 국내외에서 다양한 연주와 작품 활동 중인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 강효지, 전자기타연주자 겸 작곡가 Elliott Sharp, 타악 연주자 Satoshi Takeishi로 구성되었다.가민 앙상블은 이번 공연에서 '전통현대의 연결'이라는 주제로 전통 관악기를 통해 서양의 현대무용과 재즈, 클래식, 현대 음악과 협업하며 우리 전통 음악이 단순하게 국가적 경계에 국한된 것이 아닌 타 장르와 함께 어울릴 수 있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가민 앙상블 공연 모습한국 전통 음악의 아름다움과 우수성을 뉴욕 관객들에게 알리고,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들과의 협업을 통해 국악의 지평을 넓힌 것으로 평가되는 이번 공연을 계기로 주뉴욕 한국문화원은 지속적으로 한국의 공연단과 현지 공연단의 공동 창작활동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전했으며, 우수한 한국의 국악 음악인이 뉴욕 현지의 음악계에 진출 할 수 있는 기반을 다져 국악의 세계화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글 = 해외문화홍보원 민수광사진 ⓒ 해외문화홍보원 주뉴욕 한국문화원 | 2014.02.20
    상세보기
  • '한국 어린이 교육영화, 마드리드 어린이들을 만나다.'

    '한국 어린이 교육영화, 마드리드 어린이들을 만나다.'

    주스페인 한국문화원에서는 마드리드 씨네테카(CINETECA Madrid)와 발렌시아의 조르디 무솔 문화협회(la Asociaci;n Cultural Jordi Mussol en Valencia)와 함께 한국의 교육영화, 어린이를 위한 단편 및 애니메이션을 3월 1일과 2일, 이틀에 걸쳐 상영한다.▲ 마드리드 CINETECA에서 상영될 이루비, 이현진 감독의 스노우 래빗(Snow Rabbit)상영될 영화들은 오는 2월 20~23일 개최되는 어린이 문화 예술교육에 기반한 축제인 발렌시아 교육영화제에 초청된 작품들로 상기 두 기관의 도움으로 마드리드에서도 상영하게 되었다.이번 행사로 한국 전통 그림에서부터 스톱모션, 컴퓨터를 이용한 애니메이션까지 시각적으로 다양한 단편 영화들을 소개하며, 아이들에게 재미와 감동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일시: 2014/ 3/ 1 (토) ~3/ 2 (일), 12:00시장소: CINETECA 마드리드 (Paseo de la Chopera, 14 ; 28045 Madrid)자료제공-주스페인 한국문화원글=해외문화홍보원 민수광 주스페인 한국문화원 | 2014.02.20
    상세보기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