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subMenu
역사의 성지 광주, 민주화운동의 표상 5․18
2018.05.18
문재인 정부를 탄생시킨 ‘광화문 촛불 혁명’은 5․18민주화운동에서 시작됐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기념식에서 “불의한 국가권력에 맞선 시민들의 항쟁이 민주주의의 이정표를 세웠다”며 “5․18민주화운동과 촛불혁명의 정신을 받들어 이 땅의 민주주의를 온전히 복원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5․18민주화운동 38주기를 맞아 17일(한국시간) 광주에서 전야제가 열린 것을 비롯해 전국 곳곳에서 광주항쟁의 의미를 되새기는 행사가 이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 대표 다국어 포털인 코리아넷은 5·18민주화운동 38주기를 맞아 그 역사적 의미를 돌아보는 전문가의 글을 싣는다.

800522_rue_1_in.jpg

▲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에 맞선 시민군 모습. 이창성 촬영, 5․18기념재단 제공



최용주 5․18기념재단 연구원

대한민국 정부는 매년 5월 18일을 5․18민주화운동을 국가적으로 기념하는 날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성대한 기념식을 치루고 있다. 올해는 5․18민주화운동이 일어난 지 38주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지 21주년이 되는 해다. 이날 대통령을 비롯해 정부 각료와 많은 시민들이 광주 5․18국립묘지를 찾아 민주화운동에 헌신하다 유명을 달리한 이들을 참배한다.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열흘 동안 한반도 서남단의 대도시 광주에서는 시민들이 불법적으로 정권을 빼앗으려는 정치군인 집단에 저항하다 수백 명이 희생당한 비극적인 사건이 일어났다. 광주 시민들은 ‘계엄철폐’ ‘독재타도’를 외치며 죽음을 무릅쓰고 항거했다. 이 사건은 한국 현대사에서 군인들이 자국민을 향해 총구를 겨둔 최초의 사건이자, 시민들이 스스로 무장을 하고 군인들의 무력 진압에 맞선 전무후무한 정치적 사건으로 기록되고 있다. 광주 시민들은 일시적이긴 하지만 자력으로 계엄군을 물리치고 세계사에서 그 유례가 드문 자치공동체를 실현했다.

당시 계엄군이 물러간 광주는 독재의 압박에서 벗어난 해방의 공간이었으며,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경이로운 자치의 학교가 됐다. 경찰도 없는 치안 부재의 상태였지만 인구 70만 명의 이 대도시에선 단 한 건의 강력범죄도 없었다. 또 외부와 차단돼 생활물자가 태부족했지만, 시민들은 아끼고 나눠 쓰는 놀라운 협동정신을 보여줬다. 계엄군의 폭력에 의해 부상당한 시민들의 치료에 필요한 혈액을 제공하기 위해 병원마다 헌혈하려는 사람들이 줄을 이었다.

800522_moon_2_in.jpg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5월 18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 37주년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5월 27일 계엄군에 의해 진압당한 후 광주 시민들의 항쟁은 한때 ‘북한의 사주에 의한 폭동’으로 매도당했다. 하지만 진상 규명을 위한 끈질긴 투쟁으로 1997년에는 국가가 기념하는 민주화운동으로, 2001년에는 피해자들이 민주화 유공자로, 희생자가 안장된 묘지는 국립묘지로 승격돼 명예를 회복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군부독재정권이 광주 시민들에게 저지른 만행의 진상을 제대로 밝혀 광주 시민의 아픔을 달래고 역사를 바로세우겠다고 다짐해 큰 환영을 받았다.

5·18민주화운동은 한국 민주주의의 분수령이 된 1987년 6월항쟁의 동력이 돼 한국사회의 정치 발전과 인권 신장에 크게 기여했다. 더 나아가 독재정권에 맞서 싸우고 있는 전 세계 여러 나라의 민주화운동이 지향해야 할 모범적인 표상으로 평가받고 있다. 5․18민주화운동이 지향한 국가폭력에 대한 저항과 연대 그리고 나눔의 정신은 대한민국이 민주주의를 더 공고화하기 위해 지켜나가야 할 소중한 자양분이 되고 있음은 물론이다.

공공누리 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
위 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게시물이동

이전글
“오월광주, 정의를 세우다!” 5·18민주화운동 38주년 기념식
다음글
트럼프 "북한에 리비아식 모델 적용하지 않을 것"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