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활동

전체 10,470

페이지 1 / 1047

게시물검색영역
  • 한국-멕시코 문화 교류 공연 「Conexión musical México y Corea」

    한국-멕시코 문화 교류 공연 「Conexión musical México y Corea」

    ▲︎ 공연 홍보 포스터 주멕시코 한국문화원(원장 전우표, 이하 ‘문화원’)은 2025년 8월 3일 멕시코시티 국립재무부미술관(Museo de Arte de la SHCP)에서 한국과 멕시코 아티스트가 함께하는 한국-멕시코 음악 교류 공연 「Conexión musical Corea y México」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공연은 한국과 멕시코 간 문화예술 협력을 증진하고 지속 가능한 교류 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마련된 무대로, 전통예술과 현대음악이 어우러진 다채로운 협업을 선보였다. 이날 공연에는 약 250명의 관객이 찾아 객석을 가득 메웠으며, 무대가 진행되는 내내 뜨거운 반응과 환호가 이어졌다. 무대는 국악팀 서의철가단과 연희팀 청하가 굿, 풍류, 비나리 등 한국 전통음악의 정수를 선보이며 시작되었고, 이어 2019년에 결성된 멕시코-한국 합동 앙상블 Coreatitlan이 멕시코 민속음악과 라틴 명곡을 한국 성악 및 전통 악기와 결합한 특별한 무대를 선사했다. 마지막 합동 무대에서는 두 팀이 함께 <비나리>, <뒷풍류>, , <7월 7일>, , , <신모듬> 등 한국과 라틴을 대표하는 곡들을 협연하며 관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이끌어냈다. 공연이 끝난 뒤, 현장을 찾은 관객들은 모두 자리에서 일어나 기립박수로 화답하며 아티스트들에게 깊은 감동과 존경을 전했다. 이번 공연은 단순한 음악회가 아닌 양국 아티스트 간 창의적 협업과 교류의 장으로, 음악을 매개로 한국과 멕시코가 우정을 나누고 화합하는 뜻깊은 시간이었다. 주멕시코 한국문화원 | 2025.09.13
    상세보기
  • 광복 80주년, 국악으로 울리는 자유와 희망

    광복 80주년, 국악으로 울리는 자유와 희망

    ▲︎ 광복 80주년 기념 국악콘서트 포스터주멕시코 한국문화원(원장 전우표, 이하 ‘문화원’)은 광복 80주년을 맞이하여 국악을 통해 민족의 정신과 문화적 자긍심을 기리는 특별 공연 「광복 80주년 기념 국악콘서트」를 개최했다. 이번 공연은 현지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한국의 역사와 예술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 국악을 통해 한국문화의 깊이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공연 프로그램이번 무대는 국악팀 서의철가단과 연희팀 청하가 함께 꾸미며 약 60분간 다채로운 전통음악과 연희를 선보였다.- 문굿: 무대를 여는 길굿 형식의 연주로 관객의 안녕과 축제를 기원- 생소병주 ‘수룡음’: 전통 관악기의 선율미가 돋보이는 고전적 연주- 삼도 사물놀이: 한국 각 지역의 가락을 엮어낸 타악 합주로 역동적인 에너지를 전달- 아리랑 연곡: 한국을 대표하는 민요 아리랑을 다채롭게 편곡하여 선보임- 판굿: 공연의 대미를 장식하며 관객과 어우러지는 흥겨운 무대로 마무리 이번 공연은 광복 80주년이라는 역사적 의미를 담아 국악의 울림으로 한국인의 정체성과 예술적 자긍심을 표현하는 장이 되었다. 관객들은 힘차고도 섬세한 연주와 퍼포먼스에 큰 호응을 보냈으며, 한국의 역사와 문화적 가치를 함께 느끼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주멕시코 한국문화원 | 2025.09.13
    상세보기
  • 글로벌 히트곡 안무를 직접 배워보는 케이팝 댄스 강좌 현장

    글로벌 히트곡 안무를 직접 배워보는 케이팝 댄스 강좌 현장

    주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케이팝의 인기 안무를 배우는 케이팝 댄스 강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이번 강좌는 지난 8월 5일 개강하여 8월반과 9월반, 두 그룹으로 나누어 매주 화요일마다 진행되고 있습니다.수업은 지난 7월 개최된 '제16회 케이팝 경연대회'에서 최영준 안무가와 함께 심사위원을 맡았던 전문 케이팝 안무 강사 샤밀라 아리아스(Yamila Arias)가 지도하고 있으며, 트와이스(TWICE)의 'Strategy', 제니(Jennie)의 'Like Jennie', 르세라핌(LE SSERAFIM)의 'Crazy' 에스파(Aespa)의 'Pink Hoodie', 에이티즈(ATEEZ)의 'Crazy Form' 등 다양한 히트곡 안무를 익힐 수 있습니다.현재 15명의 수강생이 참여하고 있는 이번 강좌는 수업마다 스트레칭과 워밍업, 기초 테크닉, 안무 연습의 세 단계로 진행되어 누구나 즐겁게 따라올 수 있습니다. 매 순간 뜨거운 열정과 활기가 가득하며, 좋아하는 곡의 안무를 함께 배우는 과정 속에서 케이팝의 매력을 생생하게 경험하는 특별한 시간이 되고 있습니다.앞으로도 한국문화원은 케이팝을 비롯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현지인들이 한국 문화를 더욱 가까이에서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마련할 예정입니다. 주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 | 2025.09.12
    상세보기
  • 2025 바르샤바 한국 영화제

    2025 바르샤바 한국 영화제

    주폴란드한국문화원은 오는 10월 11일부터 10월 19일까지 바르샤바 Kino Muranów에서 제 11회 2025 바르샤바 한국 영화제를 개최합니다.올해 영화제에서는 총 18편의 한국 영화가 상영될 예정이며, 영화 라인업은 다음 주부터 순차적으로 공개됩니다. 다양한 장르와 주제를 아우르는 한국 영화의 매력을 직접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티켓 판매 및 브로츠와프 영화제 관련 정보는 빠른 시일 내에 별도로 안내될 예정입니다.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주폴란드 한국문화원 | 2025.09.12
    상세보기
  • 대학생 교류로 미래를 여는 한일미래팩토리포럼 2025

    대학생 교류로 미래를 여는 한일미래팩토리포럼 2025

    ▲ 주일한국문화원을 방문한 한일 대학생 교류단주일한국문화원은 일본 쓰쿠바대학교가 한일국교정상화 60주년 기념사업으로 개최한 탐구형 국제교류 프로그램‘한일미래팩토리포럼 2025’에 협력하여 문화원 특별 연수와 견학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한일 고등학생과 대학생 등 100여명이 참가였다.쓰쿠바대학의 창학 151년 ㆍ 개교 5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어 올해로 3회째로 실시된 이번 행사는 한일 대학생 100명이 4박 5일 동안 팀별 활동을 통해 한일우호에 대한 과제탐구와 타문화 커뮤니케이션 능력 및 팀 협업 능력 배양을 위한 필드워크 형식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문화원에서 진행된 특별 연수에서는 참가 학생 100여명이 ‘한일 문화교류의 흐름과 문화원의 역할’에 대한 설명을 듣고,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의 한국 미술 계보를 들여다보는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기념 전시회와 전통 한옥 재현 공간인 사랑방과 하늘정원, 도서영상자료실 등을 견학하며 한국문화의 흐름을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자리를 가졌다.▲ 주일한국문화원 소개▲ 주일한국문화원 사업에 대한 소개 시간▲ 한국전통공간을 재현한 사랑방 등 시설 견학쓰쿠바대학 학생이자 이번 행사 담당자인 탐구형 국제교류프로그램 추진위원회의 호즈미 노리히토씨는‘한일미래팩토리포럼은 단순한 상호방문이나 친선교류 행사가 아닌 양국 젊은 세대들이 함께 고민하고 협력을 모색하는 과정을 경험하는 의미있는 사업이다.'라며 인적교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앞으로도 문화원은 한일 청소년 교류 사업에 대해 현지 교육기관 및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연수 및 체험을 지속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다. 주일 한국문화원 | 2025.09.12
    상세보기
  • [FOLHA DE SÃO PAULO] 소주 수출 증가, 한국의 또 다른 소프트파워로 부상

    [FOLHA DE SÃO PAULO] 소주 수출 증가, 한국의 또 다른 소프트파워로 부상

    ■︎ 미디어: Folha de São Paulo■︎ 일자: 2025.8.31.■︎ 기자: Daigo Oliva■︎ 링크: Exportações de soju crescem, e bebida vira mais uma arma do soft power sul-coreano■︎ 내용:<비공식 번역문>※ 아래 번역문은 이해를 돕기 위한 비공식 요약본으로, 원문(포르투갈어)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상단의 본문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부제: 2024년 해외 판매 2억 달러 달성, 4년 연속 증가… 소주, 음악과 드라마에 등장하며 문화적 열풍소주가 해외 시장에서 점차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2024년 소주 수출액은 1억400만 달러에 도달하며 4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여기에 과일맛 소주의 판매까지 포함하면 그 수치는 더욱 커진다. 과일맛 소주는 2024년 9,600만 달러로, 2019년 2,900만 달러 대비 큰 폭의 성장을 기록했다.이 같은 흐름은 소주를 한국의 또 다른 소프트파워로 부각시키고 있다. 음악, 영화, 드라마, 예능을 비롯해 음식과 패션에 이르기까지 문화적 파급력 속에서 소주의 존재감은 단순한 맛의 차원을 넘어선다. 소주는 기쁨과 슬픔의 순간 모두에 함께하는 한국인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술로 자리매김했다.최근 뉴욕에서 한국식 바를 운영하는 아이린 유(Irene Yoo)는 저서 에서 소주의 인기가 한류 열기와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고 설명합니다. 또한 블랙핑크 로제와 브루노 마스가 함께 부른 히트곡 속 ‘아파트 술자리 게임’을 예로 들며, 소주가 문화 전반에 스며들어 있음을 강조했다.소주를 활용한 놀이 문화도 다양하다. 젓가락 위에 샷잔을 올리는 ‘타워 놀이’나, 소주와 맥주를 섞은 '소맥' 등 다양한 술자리 문화가 있다. 음주 문화에는 예절도 존재한다. 어른에게 먼저 술을 권하고, 술을 받을 때는 두 손으로 받는 것이 기본 예법이다.소주 수출은 과거 일본 중심에서 벗어나 현재 95개국으로 확대되었다. 현재 주요 수입국은 미국(24.3%)과 중국(19.9%), 일본(19.2%)이 차지했다. 수출 증가 요인으로는 합리적인 가격과 담백한 맛이 꼽힌다.상파울루에서는 소주를 스트레이트로 마시거나 칵테일 형태로 마실 수 있다. 특히 한인 사회의 중심지인 봉헤치루 지역에서는 브라질 대표 칵테일 '카이피리냐(caipirinha)'를 소주로 변형한 ‘소주리냐(sojurinha)’가 인기를 끌고있다.로제와 브루노 마스가 함께 부른 히트곡 유투브 영상 썸네일 주브라질 한국문화원 | 2025.09.12
    상세보기
  • [VEJA]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한국 소비·금융 시장을 움직이다

    [VEJA]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한국 소비·금융 시장을 움직이다

    ■︎ 미디어: Veja■︎ 일자: 2025.9.04.■︎ 기자: Ana Cláudia Guimarães■︎ 링크: Guerreiras do K-pop: animação agita o mercado de ações na Coreia do Sul■︎ 내용:<비공식 번역문>※ 아래 번역문은 이해를 돕기 위한 비공식 요약본으로, 원문(포르투갈어)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상단의 본문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Guerreiras do K-pop)>가 한국의 소비 시장과 증시에까지도 파급력을 미치고 있다.애니메이션 속 그룹 ‘헌트릭스(Huntrix)’의 노래는 현실 세계의 브랜드 마케팅으로 확산되었고, 농심은 주인공 캐릭터가 담긴 신라면 한정판을 출시해 6천 개 물량이 2분도 안 돼 매진되었다. 이어 새우깡, 신라면 특별 패키지로 협업을 확대하며 주가가 9% 이상 급등했다. 파리바게뜨도 영화 속 장면과 한국 전통 설화를 접목한 신제품을 선보이며 열풍에 합류했다.또한, 에버랜드는 영화 속 주요 장면과 삽입곡을 활용한 체험형 공간을 준비 중이다. 이처럼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단순한 애니메이션을 넘어, 한국의 소비 시장과 금융 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소프트파워로 부상했다.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속 주인공 루미, 미라, 조이가 등장하는 한정판 ‘신라면’ 컵라면. (넷플릭스 제공) 주브라질 한국문화원 | 2025.09.12
    상세보기
  • 아르헨티나 탱고부터 '케데헌'까지...양다규 해금 콘서트 성료

    아르헨티나 탱고부터 '케데헌'까지...양다규 해금 콘서트 성료

    지난 9월 8일(월), 주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 대강당에서는 해금 연주자 양다규의 감성적인 콘서트가 열렸습니다. 전통음악과 영화 OST, 탱고, 그리고 케이팝을 넘나든 이번 공연은 현지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하며, 잊지 못할 음악 여정으로 기억됐습니다.기대감으로 가득 찬 관객들 앞에서 양다규는 다양한 장르의 명곡들을 섬세한 감성으로 풀어냈습니다. 거장 엔니오 모리꼬네의 'Gabriel’s Oboe'(미션 OST)와 'Love Theme'(시네마 천국 OST)을 연주하며 영화 속 한 장면 같은 서정적인 분위기를 자아냈고, 카를로스 가르델의 탱고 'Por una cabeza'를 통해 아르헨티나 관객들과 정서적 교감을 나누는 무대를 만들었습니다.공연 후반부에는 한국의 전통적 감성과 현대적 감각이 어우러진 무대가 이어졌습니다. 드라마 '황진이'의 OST로 잘 알려진 '꽃날'과 최근 전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는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사운드트랙으로 대중에게 익숙한 'Golden'을 연주하며 공연의 열기를 더했습니다.공연 내내 이어진 뜨거운 환호와 박수 속에서 양다규는 관객들에게 진심 어린 감사 인사를 전하며 감동의 무대를 마무리했습니다.관객과 깊이 교감하여 음악으로 소통한 이번 공연은, 해금이라는 한국 전통악기가 지닌 풍부한 표현력과 아름다움이 세계의 다양한 음악과 조화를 이루며, 문화를 잇는 감성의 다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 뜻깊인 시간이었습니다. 주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 | 2025.09.12
    상세보기
  • 한국화의 과거를 현재의 시각에서 새롭게 바라보는 기획전 '다시 그린 세계'

    한국화의 과거를 현재의 시각에서 새롭게 바라보는 기획전 '다시 그린 세계'

    ▲ 전시 내람회 풍경주일한국문화원은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이하여 일민미술관과 함께 8월 8일(금)부터 ‘다시 그린 세계 2025’기획전을 문화원 1층 갤러리MI에서 개최하고 있다.‘다시 그린 세계 2025’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이 재외한국문화원을 거점으로 국내 우수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해외 순회를 지원하는 ‘2025 투어링 케이-아츠(Touring K-Arts)’에 선정된 프로그램이다. 2022년 일민미술관에서 열린 ‘다시 그린 세계: 한국화의 단절과 연속’을 원형으로 ‘한국화’가 다루는 주제, 재료, 기법이 지닌 확장 가능성을 탐색한다.▲ 기획전 전시 작품 ▲ 기획전 전시 작품▲ 기획전 전시 작품 ▲ 기획전 전시 작품일민미술관 소장 작가인 겸재 정선, 추사 김정희 등 10명의 역사적 대가를 소개하는 한편, 2000년대 이후 등장한 젊은 작가 5명의 작품을 병치하며 한국화의 과거를 현재의 시각에서 새롭게 바라본다. 이러한 접근은 전통을 정체된 유산이 아닌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동적인 힘으로 재해석하기 위한 시도이며 한국화를 통해 양국의 문화를 잇는 문화교류 사례로서 의의를 갖는다.▲ 전시관람 풍경‘다시 그린 세계 2025’는 문화원내 갤러리 MI에서 오는 10월 11일까지 전시된다. 주일 한국문화원 | 2025.09.11
    상세보기
  • 주남아공한국문화원, 한복과 공예로 전한 한국 전통의 정수

    주남아공한국문화원, 한복과 공예로 전한 한국 전통의 정수

    주남아공한국문화원은 지난 9월 8일 한국의 전통 의복과 공예를 주제로 한 특별 문화 프로그램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전문가 강연을 통해 한복의 미적 가치와 생활 속 의미를 다각도로 조명하고, 이어진 공예 활동에서는 참가자들이 직접 한국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마련되었습니다.강연에서는 한복의 역사와 상징성, 그리고 현대 사회와 대중문화 속에서 재해석되는 흐름이 소개되었으며, 실제 한복 착장 시범도 선보여 참석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습니다.이후 참가자들은 귀주머니를 만들고 민화를 그려보며 한국 전통공예의 섬세한 기법과 창의성을 직접 경험했습니다.이날 행사를 통해 참가자들은 한복이 단순한 의복을 넘어 한국인의 정체성과 미적 감각을 담아낸 소중한 문화유산임을 이해하고, 특히 공예 체험을 통해 한국 문화가 지닌 따뜻한 정서와 세대 간 계승의 의미를 직접 체감할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습니다.주남아공한국문화원은 앞으로도 한국 전통문화의 깊이와 아름다움을 알리고, 남아공 현지인들이 이를 직접 체험하며 공감할 수 있는 자리를 꾸준히 마련해 나갈 예정입니다. Korean Cultural Centre in South Africa (KCCSA) | 주남아공한국문화원 • Website: https://sa.korean-culture.org/en• YouTube: https://www.youtube.com/@kccsa• Instagram: https://www.instagram.com/kcc.sa/• Facebook: https://www.facebook.com/kccsa• X: https://twitter.com/KCC_SA 주남아프리카공화국 한국문화원 | 2025.09.10
    상세보기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