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subMenu
사진전을 통해 보는 한-이탈리아 140년 우정의 역사
2024.02.27



서울 = 김혜린 기자 kimhyelin211@korea.kr
사진 = 전한 기자 hanjeon@korea.kr
영상 = 이준영 기자 coc7991@korea.kr

한국과 이탈리아의 140년 간 수교 역사를 살펴볼 수 있는 사진전이 열린다.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26일 한국-이탈리아 수교 140주년을 기념해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특별 사진전 '모든 길은 역사로 통한다, 이탈리아 그리고 한국' 개막식을 개최했다.

개막식에는 유인촌 문체부 장관, 에밀리아 가토 주한 이탈리아 대사, 한-이탈리아 의원친선협회 회장인 홍영표 의원, 로마시립예술원 석좌교수인 임형주 성악가, 이탈리아 출신으로 현재 흥국생명 여자배구단을 이끄는 마르첼로 아본단자 감독 등 양국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유인촌 장관은 환영사에서 "지난해 양국은 정상회담을 계기로 ‘2024~2025 한국-이탈리아 상호문화교류의 해’를 선포했다"며 "이번 사진전은 그 여정의 힘찬 출발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사진전을 찾은 관객들이 양국이 함께 걸어갈 미래를 그려보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에 가토 대사는 "이 전시가 지리적으로는 멀리 떨어져 있지만 공통의 가치와 목표를 가진 두 나라의 유사성을 조명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화답했다.


▲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6일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화관에서 한국-이탈리아 수교 140주년 특별 사진전 '모든 길은 역사로 통한다, 이탈리아 그리고 한국' 개막식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6일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화관에서 한국-이탈리아 수교 140주년 특별 사진전 '모든 길은 역사로 통한다, 이탈리아 그리고 한국' 개막식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27일부터 3월 31일까지 열리는 이번 전시는 100여 점의 사진 자료를 통해 1884년 조선이 이탈리아와 수교를 맺은 직후부터 오늘날까지 양국 관계의 발전상을 아우른다.

특히 한국전쟁 당시 파견됐던 이탈리아 의료지원 부대 '제68적십자병원'의 의료 활동 모습이 처음 공개된다. 의무장교, 간호사 등 60여 명은 처음 한국 땅을 밟은 뒤 1955년 초까지 부상자 등 약 23만명을 치료했다.

총 4부로 구성된 전시의 1부에서는 1902년 영사로 부임해 8개월간 한국에 머문 카를로 로세티가 가마를 타고 있는 사진을 비롯해 그가 직접 찍은 한국의 사진, 조이수호통상조약 이탈리아어본 사진 등을 만날 수 있다.

2부에서는 한국전쟁 시기 따뜻한 손길을 내밀었던 이탈리아 사람들의 모습을 비춘다. ‘제68적십자병원’의 활동이 담긴 사진과 영상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 노숙인 무료 급식소 '안나의 집'을 운영해 온 김하종 신부와 한센인 정착촌에 머무르며 환자들을 보살핀 강칼라 수녀의 모습도 만날 수 있다.

3부에서는 클래식 음악에서 대중음악, 스포츠, 패션에 이르기까지 여러 분야에서 교류하는 양국 관계를, 4부에서는 반도국인 한국과 이탈리아의 자연경관과 문화 유적을 주제로 한 파노라마 영상 등을 볼 수 있다.

▲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오른쪽)이 26일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화관에서 한국-이탈리아 수교 140주년 특별 사진전 '모든 길은 역사로 통한다, 이탈리아 그리고 한국'을 관람하고 있다.

▲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오른쪽)이 26일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화관에서 한국-이탈리아 수교 140주년 특별 사진전 '모든 길은 역사로 통한다, 이탈리아 그리고 한국'을 관람하고 있다.



게시물이동

이전글
한국 작품 2편, 벨기에 최대 애니메이션 영화제 경쟁부문 후보로
다음글
[사진으로 보는 한국] 리움미술관, 필립 파레노 개인전 개최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