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subMenu
국립중앙박물관, 통일신라 금동불상 등 신소장품 공개
2014.10.20

섬세한 옷주름의 금빛 법의를 걸친 부처의 자태가 곱고 섬세하다. 곳곳에 녹이 슬었지만 불상 주변은 넝쿨무늬로, 가장자리는 불꽃모양으로 정교하게 장식됐다. 둥글게 뿜는 빛을 본뜬 모습의 광배와 불상을 앉힌 대좌를 모두 갖췄으며 광배와 대좌에 보석이 박혀있다.

이 통일신라 금동 불상은 국립중앙박물관이 올해 미국에서 환수한 것이다. 10월 14일부터 11월 30일까지 상설전시관 1층에서 선보이는 '새롭게 선보이는 우리문화재’테마전에서 일반에 최초 공개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매년 한국 문화와 역사가 담긴 주요 문화재를 수집해오고 있으며 이 전시는 최근 박물관 소장품이 된 중요 문화재를 엄선, 공개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금동불입상, 통일신라 8세기후반~9세기, 높이 30㎝

▲ 금동불입상, 통일신라 8세기후반~9세기, 높이 30㎝

이번에 공개되는 전시품은 2010년부터 최근까지 수집한 불상, 불화, 초상화, 도자기 등 다양한 장르의 주요 문화재 총 12점이다.

대표 전시품 중 하나인 통일신라 금동불상은 광배와 대좌를 모두 갖췄고 보석이 박혀 있는 보기 드문 수작으로 국내에는 처음 알려진 형식이다. 민길홍 학예연구사는 "처음에는 (불상, 대좌, 광배) 다 같이 제작되지만 전해지면서 유실된 예가 굉장히 많다"며 "광배 보석이 장식된 예는 현재 두 점 정도 알려졌는데 대좌까지 같이 장식된 것은 이 작품이 거의 유일하다고 볼 수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 밖에도 전시품 중 고려시대 불화, 나전칠기 경함(經函: 불교 경전을 보관하는 함)은 고려문화를 대표하는 문화재이다. 특히 나전칠기는 전 세계에 10여 점 밖에 남아있지 않고 한국에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점만이 존재하는 상황이어서 나전칠기 경함의 기증은 깊은 의미를 지닌다.

나전칠기 경함, 고려 후기, 높이 20.6cm

▲ 나전칠기 경함, 고려 후기, 높이 20.6cm

 ‘정왜기공도병(征倭紀功圖屛)’, 일본 19세기 추정, 174×370cm

▲ ‘정왜기공도병(征倭紀功圖屛)’, 일본 19세기 추정, 174×370cm

강세황 그림첩, 18세기, 종이에 엷은 색

▲ 강세황 그림첩, 18세기, 종이에 엷은 색

또한 정조 (재위 1776~1800) 당시 왕실화가 이명기(李命基, 생몰년 미상)가 그린 '김치인(金致仁, 1716-1790) 초상화, 정유재란(임진왜란 중 일본과의 교섭 결렬로 1597-1598년 일어난 왜란)의 마지막 해인 1598년 전라도 순천과 인근 바다에서 벌어진 전투 장면을 시간의 흐름과 지리적 배열에 따라 그린 '정왜기공도병(征倭紀功圖屛)', 조선 최고의 문인화가 강세황(姜世晃, 1713~1791)의 그림 등은 조선 문화의 깊이를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전시 입장료는 무료이며 월요일은 휴관한다. 더 자세한 정보는 박물관 홈페이지에서도 얻을 수 있다. http://www.museum.go.kr/ (9개 국어)

윤소정 코리아넷 기자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arete@korea.kr

왕실화가 이명기(李命基)가 그린 김치인(金致仁) 초상화, 177×71.5cm. 오른쪽 상단의 글은 이명기의 그림을 정조가 칭송하는 글을 적은 것이다.

▲ 왕실화가 이명기(李命基)가 그린 김치인(金致仁) 초상화, 177×71.5cm. 오른쪽 상단의 글은 이명기의 그림을 정조가 칭송하는 글을 적은 것이다.

 북을 올려놓는 받침대를 뜻하는 법고대, 조선 19세기, 높이 약 130cm

▲ 북을 올려놓는 받침대를 뜻하는 법고대, 조선 19세기, 높이 약 130cm

분청사기 조화어문 편병, 조선 15~16세기, 높이 23.3cm

▲ 분청사기 조화어문 편병, 조선 15~16세기, 높이 23.3cm

 시왕도(十王圖, 지옥세계를 관장하는 10명의 왕들의 재판 광경 및 지옥에서 고통받는 망자들을 묘사한 그림), 고려 후기 추정, 비단에 색.

▲ 시왕도(十王圖, 지옥세계를 관장하는 10명의 왕들의 재판 광경 및 지옥에서 고통받는 망자들을 묘사한 그림), 고려 후기 추정, 비단에 색.

국립중앙박물관의 '새롭게 선보이는 우리문화재’테마전 포스터

▲ 국립중앙박물관의 '새롭게 선보이는 우리문화재’테마전 포스터

 

※ 해당 콘텐츠는 저작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 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이 불가합니다.

게시물이동

이전글
'불가능이 우리를 이끈다' 인천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개막
다음글
한-남아시아 문화장관회의, 광주공동선언 채택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