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일
- 2019.03.19
[While in Korea] Episode 1 – 나의 한국 핸드폰

나의 한국 핸드폰

독일에서 한국학을 전공하는 대학 3학년생 Jessie는 교환학생으로 한국에 왔다. 10시간이 넘는 비행은 처음이었던 Jessie는 걱정하고 계실 부모님께 전화를 드리려고 하는데, 이럴 수가! 핸드폰 개통은 어떻게 할까. 대책없이 와 버렸다. Jessie가 독일에 있을 때 한국 교환학생이었던 수현은 마중나와 예상했다는 듯 웃는다.

제시: 독일에서 쓰던 핸드폰을 그대로 가지고 왔어. 한국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바꾸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
수현: 한국에는 크게 SKT, KT, LG유플러스라는 3개의 통신사가 있어. 찾아보니깐 외국인등록증이나 여권 같은 신분증은 꼭 필요하다고 하더라고.
제시: 외국인등록증은 아직 없는데?
수현: 자세한 건 대리점에 가서 물어보자!
제시: 좋아. 당장 오늘부터 사용하고 싶으니까 가능한 것으로 해 달라고 해 봐야겠어.

대리점 직원: 안녕하세요. 소지하고 계시는 신분증은 어떤 게 있나요?
제시: 오늘 입국해서 아직 외국인 등록증은 없고 여권만 갖고 있어요.
대리점 직원: 여권으로 핸드폰을 개통하면 선불로 결제해야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요. 고객님이 쓴 만큼 통신비를 내고 싶다면 후불제를 추천해 드리는데, 이 방식은 외국인 등록증으로만 개통이 가능합니다. 그러려면 추가로 한국에서 발급받은 통장이나 신용카드가 필요할 수도 있어요. 이건 통신사마다 요구하는 서류가 다르니까 나중에 다시 한번 통신사로 문의해 보세요. 오늘은 일단 선불 요금제로 개통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기존에 사용하고 계시는 핸드폰이 있으신가요?
제시: 독일에서 쓰던 핸드폰이 있어요.
대리점 직원: 요금제가 다양해요. 이 중에서 마음에 드는 걸로 골라서 알려주세요.
수현: 곧 있으면 후불 핸드폰으로 바꿀 수도 있으니까 너무 비싼 걸로는 고르지 마.
제시: 그래 그게 좋겠어. 저는 이걸로 할게요!
대리점 직원: 잠시만요…. (얼마 후) 개통되었습니다!
제시: 우와, 벌써요?
수현: (웃음) 다음주부터 오는 독일 친구들 휴대폰 개통 안내는 이제 네가 맡아.
제시: 당연하지! (직원을 바라보며) 외국인 등록증이 나오면 또 올게요.
대리점 직원: 참. 외국인 비자 코드에 따라서 변동사항이 있을 수도 있어요.
제시: 아 어려워요……
대리점 직원: 걱정하지 마세요. 통신사별로 외국인 대응 직원이 있으니까요.
수현: 다 됐으면 어서 부모님께 전화 드려봐!

제시: 이제 인스타에도 한국 사진 올릴 수 있네!!!
수현: (웃음) 너 아직 할 일이 산더미야. 계좌 만들어야지, 외국인등록증 발급 받아야지, 또 운전도 하고 싶다며! 그럼 운전면허증도 받아야 하잖아. 내가 도와줄 테니까 하나씩 다 해보자!
제시: 아 맞아. 한국 관공서는 평일 9시부터 6시까지 열려있지?
수현: 응 맞아!
제시: 수현아 오늘 너무 고마웠어. 우리 맛있는 거 먹으러 가자. 나 산낙지 먹어볼래~
수현: 하하하 그래. 광장시장으로 고고!
통신사 별 외국인 응대 가능 전화번호
SKT: 080-011-6000 (고객센터 전화 후 외국어 서비스로 교환 요청해야 함, 영어·중국어·일본어)
KT: 02-2190-1180 (외국인 전담팀, 영어·중국어·일본어)
LG: 1544-0010 (고객센터 전화 후 외국어 서비스로 교환 요청해야 함, 영어)
서울글로벌센터
이동통신 지원서비스: 02-2075-4134
SKT: 080-011-6000 (고객센터 전화 후 외국어 서비스로 교환 요청해야 함, 영어·중국어·일본어)
KT: 02-2190-1180 (외국인 전담팀, 영어·중국어·일본어)
LG: 1544-0010 (고객센터 전화 후 외국어 서비스로 교환 요청해야 함, 영어)
서울글로벌센터
이동통신 지원서비스: 02-2075-4134
글 = 민예지 기자 jesimin@korea.kr
번역 = 김영신 기자
일러스트 = 유하일 작가
· 코리아넷 뉴스의 저작권 정책은 코리아넷(02-2125-3501)으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