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일
- 2019.04.26
캐나다 총독예술상(미술·미디어아트상 및 공연예술상) 현황 보고
2019캐나다 총독예술상(미술·미디어아트상 및 공연예술상) 현황 보고 |
□ 캐나다 총독예술상 개요
o (개요) 캐나다 정부는 자국 예술가들의 업적을 국가차원에서 격려하고 문화예술계를 지원하기 위하여“총독상 (Governer General’s Awards)”제도를 두어 매년 해당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를 운영하여 수상자를 선정하고 있음
※ 작년 연말에 수상자를 발표한 “문학상”에 이어 최근에 “미술·미디어아트상”과 “공연예술상” 등 2개 분야에 수상자를 발표한 바 동 내용을 보고함
o (수상 분야)
- 미술·미디어아트상(GG's Awards in Visual & Media Arts)
- 공연예술상 (GG's Performing Arts Awards)
- 건축상 (GG's Medals in Architecture)
- 역사분야상 (GG's History Awards)
- 문학상 (GG's Literary Awards)
o (운영) 총독예술상은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 캐나다 총독실이 주관하되 캐나다예술위원회 등 관련 분야별 주요 문화예술기관들과 공동 운영하는 형식으로 진행됨
□ 총독 미술·미디어아트상
o (캐나다 미술분야 상 개괄) 지리적으로 미국이라는 거대시장과 인접하며 역사적으로 영국과 프랑스 등 외부의 영향을 토대로 발전한 캐나다 미술계는 자생력을 키워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캐나다 정부는 미술학교 지원 및 캐나다예술위원회를 통한 미술가 및 관련 업계 지원 등 다양한 지원정책을 펼쳐옴.
- 1999년부터는 총독실이 주관하고 캐나다예술위원회가 실제 운영하는 캐나다 미술계 최고 영예인 총독미술상이 제정되어 운영되고 있음.
- 이어 2002년에는 캐나다의 40세 이하 젊은 미술가들 중 우수작가를 육성하고 지원하기 위하여 소비미술상(Sobey Art Award)을 제정
- 그 이외에는 각 주 정부 산하 예술위원회 및 재단이나 민간 문화재단에서 운영하는 중·소규모의 미술상들이 있음.
o (총독미술·미디어아트상)
- (상의 종류) 6명의 원로 작가를 선정·수상하는 공로상(Artistic Achievement Awards), 원로 큐레이터를 선정·수상하는 공헌상(Outstanding Contribution Award), 원로 공예가를 선정·수상하는 사이드 브론프만 공예상(Saidye Bronfman Award) 등이 있음
- (선정 방법 및 상금) 수상자는 일반인 및 미술계의 추천을 받아서 원로미술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에서 선정하며, 각 수상자는 메달과 함께 25,000 CAD 수상
- (시상식 등) 매년 봄 총독 관저에서 시상식 및 축하 파티가 진행되며, 이때 전국에서 캐나다 미술계의 대표들이 참석하는 미술계 대표적 행사, 시상식 다음날에 캐나다국립미술관에서 수상자들의 작품을 특별 전시하며, 전시 후 사이드 브론프만 공예상 수상자의 작품은 캐나다역사박물관에 소장됨
- (특별 비디오 제작) 캐나다독립미디어아트연맹(IMAA)과 협력, 수상자별 미디어 작가를 배정하여 수상자들의 작품세계를 보여주는 특별 비디오를 제작하여 일반에게 공개후 국립자료보관소(LAC)에 보관
- (역대 한국계 수상자) 한국계 캐나다 공예작가이고 노바스코샤미술대학(NASCAD) 공예학과 교수인 손계연이 2011년에 사이드 브론프만 공예상 수상
- (2019년 수상자 현황)
공로상 |
- 스테판 앤드류스(Stephan Andrews, 화가, 토론토) - 코직(COZIC, Yvon Cozic and Monic Brassard로 구성된 화가그룹, 회화 및 설치, 퀘벡 Sainte-Anne-de-la-Rochelle) - 말렌 크리에이츠(Marlene Creates, 설치, 뉴펀드랜드& 라브라도) - 알리 카지미(Ali Kazimi, 영화 및 미디어 아트, 토론토) - 앤드류 제임스(Andrew James, 미디어 아트, 토론토) - 제프 토마스(Jeff Thomas, 사진에 기반한 스토리텔링, 오타와) |
공헌상 |
- 리-앤 마틴 (Lee-Ann Martin, 독리큐레이터, 온타리오) |
사이드 브론프만 공예상 |
- 수잔 에드걸리(Susan Edgerley, 유리공예, 퀘벡 Val-Morin) |
< 그 외 주요 미술상 현황 >
□ 소비미술상(Sobey Art Award)
o (주관 및 운영기관) 2002년 소비문화재단에서 미술상을 제정하였고 노바스코샤 주립미술관에 의해 운영되었으나, 2016년부터는 캐나다국립미술관이 주관하게 됨
o (대상) 40세 이하의 젊은 미술가들을 대상으로 매년 일반인 및 미술계의 추천을 받음
o (심사위원회) 캐나다국립미술관의 선임큐레이터가 심사위원장을 맡고 캐나다 5개지역(동부, 퀘벡, 온타리오, 중부 및 북부, 서부 및 유콘)을 대표하는 미술인으로 구성
o (시상금) 최종 수상자에게 10만불, 그 외 최종후보 4인에게 각 2만5천불, 1차 후보자 20명에게 각 2천불 시상
o (역대 한국계 수상자) 사진, 설, 퍼포먼스 작가인 팀 리(Tim Lee)는 2008년 수상
o (2019년 수상자) 캅와니 키왕가(Kapwani Kiwanga, 대형 설치미술, 온타리오)
- 탄자니아계 캐나다 설치미술가로 식민문화와 환경문제, 경제적인 종속과 이에 대한 현대인들의 무관심에 경종을 울리는 작품 제작
□ 오데인 미술분야 평생공로상(Audain Prize for Lifetime Achievement in the Visual Arts)
o (연혁) 벤쿠버 소재 건축회사 대표이고 예술 애호가인 마이클 오데인이 BC주의 미술가를 지원하고 그 업적을 축하하기 위해 2004년에 창설
- 그동안 밴쿠버시립미술관에 의해 운영되었으나 2020년부터 휘슬러에 소재한 자신의 개인박물관에서 운영할 예정
o (시상) 매년 대표적 BC 주 출신 작가를 1명을 선정, 10만불 상금 지원
□ 나티샨 미술상((The Hnatyshyn Foundation Awards)
o (운영) 전 캐나다 총독으로 1992년 총독 재임 당시 총독 공연예술상을 창설했던 Ramon John Hnatyshyn 총독을 기리기 위해 설립된 재단(The Hnatyshyn Foundation)이 운영
o (상의 종류와 상금)
- (미술상) 매년 중견작가 1인을 선정, 2만5천불 수여
- (큐레이터상) 매년 중견 큐레이터 1인을 선정, 1만5천불 수여
- (신진 작가상) 매년 신진 작가 3인을 선정, 상금 각 5천불씩 수여
- 그 외 TD은행과 공동으로 35세 이하의 작가와 큐레이터를 대상으로 하는 신진작가 및 큐레이터상, 포고 아일랜드 아트센터와 공동으로 젊은 큐레이터 레지던시 상을 운영중
□ RBC 젊은 미술가상(RBC Canadian Painting Competition and Emerging Artists)
o (운영) RBC 캐나다왕립은행 문화재단에 의해 1999년 창설
o (시상) 1등 수상자 1인에게 2만5천불, 2등 2인에게 각 1만5천불, 입상자 12명에게 2천5백불을 각각 지원
□ 총독 공연예술상
o (연혁) 1992년 캐나다 건국 125주년을 기념, 캐나다 공연예술계 격려 및 지원하고자 당시 총독 Ramon John Hnatyshyn에 의해 공연예술상이 제정됨
- CBC 캐나다공영방송, 국립아트센타(NAC), 캐나다예술위원회, 캐나다예술컨퍼런스(Canadian Conference for the Art)가 참여, 총독공연예술상재단을 설립하였고, 캐나다 문화유산부가 예산을 지원함
- 2007년부터 캐나다영상위원회(National Film Board of Canada:NFB)가 재단에 참가함
o (수상 분야)
- (공로상, Lifetime Artistic Achievement Award) 연극, 무용, 클래식음악, 팝송, 방송 및 영화 분야, 특별공로상 등 6개 분야에서 일생동안 크게 공헌한 예술가들을 선정·시상
- (RJH 공연예술 봉사상, RJH Award for Voluntarism in the Performing Arts) 공연예술발전을 위해 헌신한 자를 선정·시상
- (캐나다국립아트센타 상, NAC Award) 지난 1년간 캐나다 공연예술발전에 크게 기여한 개인이나 단체를 선정·시상
o (시상식 등) 캐나다국립아트센타(NAC)에서 매년 시상식 행사 진행하며, 캐나다영상위원회(NFB) 후원으로 수상자별 영상감독을 배정하여 수상자들의 작품세계를 보여주는 비디오를 제작하여 일반에 공개후 캐나다영상위원회에 보관
o (역대 한국계 수상자) 오타와 출신으로 세계적인 배우로 활동중인 산드라 오(Sandra Oh)가 2019년 캐나다국립아트센타(NAC)상 수상자로 결정
o (2019년 수상자)
- 루이 베셋(Louise Bessette, 피아니스트, 평생공로상)
- 콜름 피오레(Colm Feore, 연극 및 영화배우, 평생공로상)
- 릭 머서 (Rick Mercer, 방송인, 평생공로상)
- 로레인 핀탈(Lorraine Pintal, TV·영화·연극배우/감독, 평생공로상)
- 마비 스텐스(Mavis Staines, 발레, 평생공로상)
- 산드라 오(Sandra Oh, 캐나다국립아트센타상)
- 노엘 스피넬 (E. Noël Spinelli, RJH 공연예술 봉사상)
< 그 외 주요 공연예술상 현황 >
□ 캐나다예술위원회에서 운영하는 공연예술상
o (월터칼슨 공연예술 우수상, Walter Carsen Prize for Excellence in the Performing Arts) 음악, 연극, 무용부문에서 최고의 예술성과 활동을 보인 1인 선정, 5만불 수여.
* 2001년 토론토의 사업가이며 예술애호가인 월터 칼슨이 110만불을 기부로 시작됨
o (피터 드와이어 장학금, Peter Dwyer Scholarships) 캐나다국립발레학교와 국립연극학교 학생 중 추천 받아 심의를 거쳐 1명씩 선정, 각 1만불 수여
* 1957년 캐나다예술위원회 설립에 지대한 공을 세웠으며 1969∼71년 예술위원회 이사장을 역임했던 피터 드와이어의 업적 기리기 위해 제정
o (연극부문 상)
- (존 홉데이 공연 매니지먼트상, John Hobday Award in Arts Management) 2명의 재능있고 헌신적 공연예술 매니저를 선정, 각 1만불 수여
* 2008년 브론프만재단이 1백만불을 기부하여 조성된 기금으로 저명한 공연예술컨설턴트인 존 홉데이의 공로를 기리기 위해 제정
- (존허쉬 상, John Hirsch Prize) 2명(영어, 불어연출가 각 1명)의 젊은 연극연출가를 선정, 각 6천불 수여
* 1989년 캐나다 저명 연극연출가인 John Hirsch의 기금 출연 및 그 공로를 기리기 위해 제정
- (J.B.C 왓킨스 상, J.B.C Watkins Award for Music & Theatre) 음악과 연극분야에서 해외에서 대학원 이상의 교육을 받고자 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1명을 선정, 5천불 지원
o (음악부문 상)
- (쥴스 레져 상, Jules Léger Prize for Chamber Music) 1978년 당시 총독이던 쥴스레져가 챔버 음악을 진흥할 목적으로 제정, 매년 1명의 작곡가 선정, 7천5백불 수여
- (에크하트 그라마테 상, The Eckhardt-Gramatté National Music Competition) 피아노, 성악, 현악기 분야의 젊은 음악가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러시아 출신 캐나다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 소피-카르멘 에크하트 그라마테를 기리기 위해 1997년 제정, 1등 8천불, 2등 3천불, 3등 2천불 각각 수여
- (버지니아 파커 상, Virginia Parker Prize) 예술애호가인 버지니아 파커를 기리기 위해 1982년 제정, 32세 이하의 클래식음악 성악가, 연주자, 지휘자 중 1인을 선정하여 2만5천불 수여
- (버나드 다이아망 상, Bernard Diamant Prize) 유명한 바리톤이며 음대교수였던 버나드 다이아망의 기부로 2003년에 설립, 2년마다 35세 이하 성악가 1인을 선정, 5천불 수여
- (힐리 윌란 상, Healey-Willan Prize) 캐나다합창협회(Choral Canada)가 1980년 제정한 상, 매년 아마츄어합창단 전국대회에서 우승한 1개 단체에게 5천불 수상
- (쟝-마리보뎃 상, Jean-Marie Beaudet Award in Orchestra Conducting) 1989년 보뎃 일가의 기부로 제정, 젊은 오케스트라 지휘자 1인을 선정, 1천불 수여
- (죠셉S. 스타우퍼 상, Joseph S. Stauffer Prizes) 사업가 스타우퍼의 기부로 1987년제정, 음악, 미술, 문학 분야의 신진 혹은 15년 이하의 경력를 갖춘 예술가들을 분야별 1인씩 선정, 5천불 수여
- (마이클 메줘스 상, Michael Measures Prize) 사업가인 마이클 메줘스의 기부로 2011년 제정, 캐나다청소년오케스트라 여름 캠프에 등록한 16세 이상 24세 이하 학생 중 2명 선정, 1등 2만5천불, 2등 만오천불 수여
- (로버트 플레밍 상, Robert Fleming Prize) 캐나다의 유명 클래식 음악가이며 칼튼대 음대 교수였던 로버트 플레밍을 기리기 위해 1991년 제정, 캐나다 신진 작곡가들에게 수여되는 유일한 상으로 1인을 선정, 2천불 지원
o (무용부문 상)
- (쟈끄린 레미오 상, Jacqueline Lemieux Prize) 무용가 레미오를 기리기 위해 1980년제정, 캐나다 무용발전에 기여한 우수한 무용가 1인을 선정, 6천불 수여
위 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