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활동

전체 346

페이지 1 / 35

게시물검색영역
  • 브라질 브라질

Brazil

브라질

  • [전시] 브라질한국문화원, 12년 여정을 되돌아보는 특별전 개막

    [전시] 브라질한국문화원, 12년 여정을 되돌아보는 특별전 개막

    전시 소개 글이 적힌 벽면9월 13일 상파울루 파울리스타 대로에 위치한 브라질한국문화원에서 “우리 한국문화원을 소개합니다” 특별전이 개막했다. 2013년 개원 이래 12년간의 발자취를 조명하는 이번 전시는 관람객들의 뜨거운 관심 속에 성공적으로 시작되었다.한국문화원에서 개최된 지난 전시들의 포스터전시는 문화원의 주요 활동과 성과를 담은 사진, 포스터,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브라질 작가 문다노(Mundano)와 한국 작가 레오다브(Leodav)의 협업 벽화 "생존의 숲"이 특별한 주목을 받고 있다. 브라질 산불 재를 소재로 제작된 이 작품은 2024년 G20 정상회의 기간 중 "공정한 세계와 지속가능한 지구 구축"이라는 주제 하에 리우데자네이루 파르케 라제(Parque Lage)에서 처음 선보인 바 있다.벽화 「생존의 숲」브라질 예수상 프로젝션 매핑, "한국의 빛" 진주실크등 전시, 퍼엉(Puuung)과 정은혜 작가의 개인전 등 인상 깊은 프로젝트들을 다시 만날 수 있었다. 개막 첫 주부터 다양한 연령층의 관람객들이 전시장을 꾸준히 찾고 있다. 한 관람객은 “문화원과 같은 노력이 있었기에 오늘날 한국 문화와 한류의 영향이 더욱 커질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며 감탄을 전했다. 이번 전시는 지난 12년간 한국 문화가 브라질의 일상에 자연스럽게 뿌리내릴 수 있도록 이어져 온 문화원의 발자취를 되새기고 기록하는 데 의미를 두고 있다. 주브라질 한국문화원 | 2025.09.18
    상세보기
  • [워크숍] 상파울루대(USP) Korea Corner에서 전통 문양 비누 공예 워크숍 개최

    [워크숍] 상파울루대(USP) Korea Corner에서 전통 문양 비누 공예 워크숍 개최

    참가자들이 자신이 만든 비누 공예품을 들고 함께 기념사진 촬영2025년 8월 26일, 주상파울루 대한민국 총영사관과 아우카니(Aucani)의 후원으로 브라질 한국문화원은 상파울루대학교(USP) 국제교류센터 내 Korea Corner에서 ‘전통 문양 비누 공예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일반인도 참여할 수 있어, 한국의 전통 미감을 창의적이고 친근하게 체험하려는 참가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학생들이 자리에 앉아 강사의 설명을 집중해서 듣고 있다특히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향과 한국 전통 문양을 접목해 자신만의 특별한 비누를 완성함으로써, 한국의 미와 섬세함을 직접 체험하는 기회를 가졌다.책상 위에 도구를 준비한 학생들이 강사의 설명에 집중하고 있다이번 워크숍은 주상파울루 대한민국 총영사관과 협력하여 마련된 프로그램으로, USP 학생들과 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한국문화를 알리기 위한 상파울루대학 Korea Corner의 정기 문화 행사 중 하나다.다음 워크숍은 9월에 열리며, ‘한국 서예 텀블러 공예’를 주제로 진행될 예정이며, 참가 신청은 9월 19일까지 가능하다.향후 워크숍 관련 자세한 일정은 USP 국제교류처 홈페이지(https://internationaloffice.usp.br/new/category/evento/)에서 확인할 수 있다.또한, 브라질한국문화원은 PUC-캄피나스와 협력하여 다양한 워크숍을 운영하고 있으며, 관련 소식은 해당 기관의 공식 인스타그램(@kcpuccampinas)에서 확인하실 수 있다. 주브라질 한국문화원 | 2025.09.16
    상세보기
  • [FOLHA DE SÃO PAULO] 소주 수출 증가, 한국의 또 다른 소프트파워로 부상

    [FOLHA DE SÃO PAULO] 소주 수출 증가, 한국의 또 다른 소프트파워로 부상

    ■︎ 미디어: Folha de São Paulo■︎ 일자: 2025.8.31.■︎ 기자: Daigo Oliva■︎ 링크: Exportações de soju crescem, e bebida vira mais uma arma do soft power sul-coreano■︎ 내용:<비공식 번역문>※ 아래 번역문은 이해를 돕기 위한 비공식 요약본으로, 원문(포르투갈어)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상단의 본문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부제: 2024년 해외 판매 2억 달러 달성, 4년 연속 증가… 소주, 음악과 드라마에 등장하며 문화적 열풍소주가 해외 시장에서 점차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2024년 소주 수출액은 1억400만 달러에 도달하며 4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여기에 과일맛 소주의 판매까지 포함하면 그 수치는 더욱 커진다. 과일맛 소주는 2024년 9,600만 달러로, 2019년 2,900만 달러 대비 큰 폭의 성장을 기록했다.이 같은 흐름은 소주를 한국의 또 다른 소프트파워로 부각시키고 있다. 음악, 영화, 드라마, 예능을 비롯해 음식과 패션에 이르기까지 문화적 파급력 속에서 소주의 존재감은 단순한 맛의 차원을 넘어선다. 소주는 기쁨과 슬픔의 순간 모두에 함께하는 한국인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술로 자리매김했다.최근 뉴욕에서 한국식 바를 운영하는 아이린 유(Irene Yoo)는 저서 에서 소주의 인기가 한류 열기와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고 설명합니다. 또한 블랙핑크 로제와 브루노 마스가 함께 부른 히트곡 속 ‘아파트 술자리 게임’을 예로 들며, 소주가 문화 전반에 스며들어 있음을 강조했다.소주를 활용한 놀이 문화도 다양하다. 젓가락 위에 샷잔을 올리는 ‘타워 놀이’나, 소주와 맥주를 섞은 '소맥' 등 다양한 술자리 문화가 있다. 음주 문화에는 예절도 존재한다. 어른에게 먼저 술을 권하고, 술을 받을 때는 두 손으로 받는 것이 기본 예법이다.소주 수출은 과거 일본 중심에서 벗어나 현재 95개국으로 확대되었다. 현재 주요 수입국은 미국(24.3%)과 중국(19.9%), 일본(19.2%)이 차지했다. 수출 증가 요인으로는 합리적인 가격과 담백한 맛이 꼽힌다.상파울루에서는 소주를 스트레이트로 마시거나 칵테일 형태로 마실 수 있다. 특히 한인 사회의 중심지인 봉헤치루 지역에서는 브라질 대표 칵테일 '카이피리냐(caipirinha)'를 소주로 변형한 ‘소주리냐(sojurinha)’가 인기를 끌고있다.로제와 브루노 마스가 함께 부른 히트곡 유투브 영상 썸네일 주브라질 한국문화원 | 2025.09.12
    상세보기
  • [VEJA]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한국 소비·금융 시장을 움직이다

    [VEJA]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한국 소비·금융 시장을 움직이다

    ■︎ 미디어: Veja■︎ 일자: 2025.9.04.■︎ 기자: Ana Cláudia Guimarães■︎ 링크: Guerreiras do K-pop: animação agita o mercado de ações na Coreia do Sul■︎ 내용:<비공식 번역문>※ 아래 번역문은 이해를 돕기 위한 비공식 요약본으로, 원문(포르투갈어)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상단의 본문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Guerreiras do K-pop)>가 한국의 소비 시장과 증시에까지도 파급력을 미치고 있다.애니메이션 속 그룹 ‘헌트릭스(Huntrix)’의 노래는 현실 세계의 브랜드 마케팅으로 확산되었고, 농심은 주인공 캐릭터가 담긴 신라면 한정판을 출시해 6천 개 물량이 2분도 안 돼 매진되었다. 이어 새우깡, 신라면 특별 패키지로 협업을 확대하며 주가가 9% 이상 급등했다. 파리바게뜨도 영화 속 장면과 한국 전통 설화를 접목한 신제품을 선보이며 열풍에 합류했다.또한, 에버랜드는 영화 속 주요 장면과 삽입곡을 활용한 체험형 공간을 준비 중이다. 이처럼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단순한 애니메이션을 넘어, 한국의 소비 시장과 금융 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소프트파워로 부상했다.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속 주인공 루미, 미라, 조이가 등장하는 한정판 ‘신라면’ 컵라면. (넷플릭스 제공) 주브라질 한국문화원 | 2025.09.12
    상세보기
  • [전시] 우리 한국문화원을 소개합니다

    [전시] 우리 한국문화원을 소개합니다

    주브라질한국문화원은 개원 이후의 발자취와 주요 활동을 되돌아보는 특별 전시 「우리 한국문화원을 소개합니다」를 9월 13일부터 9월 28일까지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주브라질한국문화원이 주최하고 주상파울루총영사관이 후원하며, 문화원의 역사와 의미 있는 순간들을 사진과 작품을 통해 선보입니다. 한국문화가 브라질 현지에 뿌리내려온 과정을 함께 나누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입니다. 문화원장 전시 인사말전시 정보● 전시 기간: 2025년 9월 13일 ~ 9월 28일● 운영 시간:○화요일~토요일: 오전 10시 ~ 오후 6시 30분○일요일: 오전 11시 ~ 오후 5시● 장소: 주브라질한국문화원● 주소: Avenida Paulista, 460, Bela Vista, São Paulo/SP● 입장료: 무료 (현장 수용 인원에 따라 입장 제한 가능)● 문의: contato@kccbrazil.com.br 주브라질 한국문화원 | 2025.09.09
    상세보기
  • [북클럽] 10월 북클럽 – 한국의 역사 (에밀리아노 운저)

    [북클럽] 10월 북클럽 – 한국의 역사 (에밀리아노 운저)

    주브라질한국문화원에서는 10월 북클럽 참여자를 모집합니다. 이번 달에는 에밀리아노 운저 (Emiliano Unzer) 작가의 『한국의 역사』를 함께 읽습니다. 이 책은 초기 고조선부터 20세기까지의 한국 역사를 다루며, 10월 3일 개천절과 10월 9일 한글날을 맞아 선정되었습니다. 개천절은 단군이 고조선을 세운 날을 기념하는 국경일로, 한글날과 함께 한국의 역사와 정체성을 되돌아보기에 의미 있는 시기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번 북클럽에서는 책을 통해 한국 역사와 문화를 깊이 이해하고 함께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매월 선정되는 도서와 북클럽 일정은 주브라질한국문화원 공식 홈페이지와 SNS 채널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루아라 프랑사(Luara França) 진행자에 대해 루아라 프랑사는 10년 이상 책과 함께해 온 한국 문학의 열정적인 애호가입니다. 그녀는 독서 모임 'Leia Mulheres'의 오프라인 모임과 온라인 한국 문학 독서 모임을 수백번 진행한 경험이 있습니다. 문학 토론의 중재에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며, 참가자들과의 깊이 있는 대화를 이끌어냅니다. 10월 북클럽 – 한국의 역사 (에밀리아노 운저)●일시:○A그룹: 10월 22일 (수), 19:30~21:00○B그룹: 10월 25일 (토), 15:00~16:30●장소: 주브라질한국문화원●주소: Avenida Paulista, 460. Térreo. Bela Vista, São Paulo–SP.●신청 기간: 25년 9 월 15 일 10시부터 9 월 21 일 23시 59분까지 (브라질리아 시간)●신청 방법: 구글폼 (9 월 15 일 10시부터)○링크: https://forms.gle/S6NP9Dh4UG7qCvXw7○합격자는 9 월 22 일까지 확인 이메일 수신○승인 메일을 받지 못한 경우, 등록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의미하며, 별도의 답변은 없을 예정입니다.○모든 북클럽 신청은 월별로 이루어집니다.●선발 방식: 선착순(구글폼을 통해 신청)●정원: 각 그룹 최대 20명●최소 연령: 15세●수강료: 무료●합격자 발표: 9 월 22 일 개별 이메일 통보●추가공지: 10월 북클럽 활동은 진행되며, "한국의 역사" (에밀리아노 운저 (Emiliano Unzer))를 다룰 예정입니다. 원활한 참여를 위해 사전에 책 전체를 읽어 오시기 바랍니다.문의처: 주브라질한국문화원 강좌 메일 (kccbrazilcursos@gmail.com) 주브라질 한국문화원 | 2025.09.08
    상세보기
  • [특별] 세종학당재단·문체부 파견 한국어 예비교원, 주브라질한국문화원 세종학당에서 실습 마무리

    [특별] 세종학당재단·문체부 파견 한국어 예비교원, 주브라질한국문화원 세종학당에서 실습 마무리

    손수 만든 열쇠고리를 버여주고 있는 선생님과 참가자들세종학당재단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는 지난 8월 21일, 국내 대학(원)생 94명을 한국어 예비교원 및 문화인턴으로 선발해 전 세계 33개국 49개 세종학당에 파견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번 파견의 일환으로 주브라질한국문화원 세종학당에도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전공한 예비교원 4명(금보배(Bobae Kum), 길아정(Ajeong Kil), 윤지윤(Jiyun Yun), 박민혁(Minhyeok Park))이 파견되어 직접 수업에 참여하고 현지 학생들과 교류하는 실습을 진행했습니다.수업 중인 모습실습 기간 동안 예비교원들은 세종학당 수업 참관, 모의수업, 현지 한국문화행사 참여 등을 통해 한국어 교원으로서의 전문성을 높이고 진로를 구체적으로 탐색했습니다.주브라질한국문화원장은 “브라질 세종학당에서 진행된 이번 한국어 예비교원 실습이 예비교원들이 현장에서 직접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뜻깊은 기회가 되었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이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에 한국어를 널리 알리는 발판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습니다.웃으며 기념사진을 찍는 선생님과 학생들참가한 예비교원들은 “브라질에서 따뜻한 학생들과 즐겁게 수업하며 큰 추억을 쌓을 수 있었다”며 “현지에서 활동 중인 훌륭한 선생님들의 도움을 받으며 직접 학생들에게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앞으로 한국어 교사로 성장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소감을 전했습니다. 주브라질 한국문화원 | 2025.09.05
    상세보기
  • [공연] 유나이트, 브라질 투어 성료 "앞으로 더 힘차게 활동하겠다"

    [공연] 유나이트, 브라질 투어 성료 "앞으로 더 힘차게 활동하겠다"

    유나이트(은호, 스티브, 은상, 형석, 우노, DEY, 경문, 시온)는 지난 8월 16일부터 31일까지 주브라질한국문화원(CCCB)의 주최로 진행된 브라질 투어를 성료했다. 멤버들은 상파울루, 쿠리치바, 피라시카바, 리우데자네이루, 벨루오리존치, 고이아니아, 브라질리아 등 브라질 7개 도시에서 현지 페스티벌 참여부터 단독 공연까지 진행하며 현지 팬들의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이번 투어에서 유나이트는 지난 8월 4일 남미를 겨냥해 발매한 두 번째 싱글 '봄바(BOMBA)'의 무대를 최초 공개하며 이번 투어의 특별함을 더했으며, 이외에도 그간 많은 사랑을 받았던 '락 스테디(Rock Steady)', '기킨(GEEKIN)', '워터폴(WATERFALL)' 등 다채로운 무대들을 선보이며 팬들과 함께 소중한 추억을 쌓았다.더욱이 유나이트는 첫 브라질 투어였음에도 불구하고 현지 주요 매체들과 인터뷰를 진행한 것은 물론, 상파울루주 피라시카바 시청으로부터는 공식 감사패까지 수여받으며 글로벌 아티스트로서의 영향력을 입증했다.데뷔 후 첫 브라질 투어를 성황리에 마친 유나이트는 "이렇게 브라질 투어를 진행할 수 있어서 영광이었다. 설레는 마음 안고 시작한 투어였는데, 생각보다도 더 많은 에너지를 받았고 좋은 추억이 될 것 같다. 이렇게 먼 곳에서도 우리를 응원해 주시는 팬분들이 있다는 것이 너무 감사하고 행복하다. 브라질에서 받은 사랑과 에너지를 원동력 삼아 앞으로의 활동도 더욱 힘차게 할 수 있을 것 같다. 다음에 또 좋은 기회로 만나길 기대한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주브라질 한국문화원 | 2025.09.02
    상세보기
  • [NETFLIX] <케이팝 데몬 헌터스>, 넷플릭스 역사상 최다 시청 영화 기록

    [NETFLIX] <케이팝 데몬 헌터스>, 넷플릭스 역사상 최다 시청 영화 기록

    ■︎ 미디어: Netflix Brasil■︎ 일자: 2025.8.26.■︎ 기자: 보도자료■︎ 링크: 보도자료■︎ 내용:<비공식 번역문>※ 아래 번역문은 이해를 돕기 위한 비공식 요약본으로, 원문(포르투갈어)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상단의 본문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넷플릭스는 뮤지컬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자사 역사상 최다 시청 영화로 등극했다고 발표했다. 단 지난주에만 2천54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넷플릭스 글로벌 최다 시청작 순위에서 선두 자리를 지켰다. 이로써 누적 2억3천600만 회라는 역사적인 기록을 세웠다.<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전 세계적인 현상이 되었으며, 스트리밍을 넘어 브라질 관객까지 사로잡았다. 지난 6월 20일 개봉 이후, 브라질 SNS에서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으며, 브라질 내 언급량만 11만4천 건 이상을 기록했다. 작품은 뛰어난 애니메이션과 사운드트랙의 완성도로 팬들을 매료시켰는데, 특히 브라질판 더빙과 포르투갈어로 각색된 노래들, 그중에서도 히트곡 이 주목받았다.또한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역시 글로벌 차트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놀라운 기록을 세우고 있다. 영화 삽입곡 네 곡이 빌보드 순위 5위권에 올랐는데, (1위), (3위), (4위), (5위)이다.더 나아가 미국, 캐나다, 영국/아일랜드, 호주/뉴질랜드의 팬들을 극장으로 이끌며 특별 이벤트 <케이팝 데몬 헌터스: 싱어롱 이벤트(The Sing-Along Event)>를 통해 이틀간 대형 스크린에서 상영되었다. 지난 주말에만 총 2천180개 극장이 관객을 맞았고, 미국과 캐나다에서만 1천300회 이상의 상영이 매진되었다. 주브라질 한국문화원 | 2025.09.02
    상세보기
  • [FOLHA DE SÃO PAULO]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브라질판 노래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FOLHA DE SÃO PAULO]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브라질판 노래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 미디어: Folha de S. Paulo■︎ 일자: 2025.8.27.■︎ 기자: Carol Pfeiffer■︎ 링크: Como foi criada a versão brasileira das canções de 'As Guerreiras do K-Pop'?■︎ 내용:<비공식 번역문>※ 본 번역은 이해를 돕기 위한 비공식 번역본으로, 원문(포르투갈어)과 내용상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위의 본문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지금 넷플릭스에서 가장 화제가 된 작품 중 하나로, 상위 10위권에 올라 있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궁금해하는 것은 브라질 버전의 삽입곡, 특히 하루 종일 사람들의 입에 맴도는 '소다팝'의 브라질판 ‘메우 뻬께노 과라나(Meu Pequeno Guaraná, 뜻: 나의 작은 과라나)’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하는 점이다. 이는 단순히 가사를 번역하는 수준이 아니라, 브라질 문화와 조화를 이루는 음악으로 재창작하는 과정이었다.영화의 음악감독 마르쿠스 에니(Marcus Eni)는 “원곡은 직역된 형태로 전달된다. 우리는 그것을 브라질식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바꾸고, 화면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포르투갈어 가사가 원래의 멜로디에 어떻게 어울리는지를 고려해야 하며, 화면에서 펼쳐지는 장면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올해 1월, 에니는 원곡들을 처음 받았을 때 이미 흥행을 직감했다고 한다. 그러나 ‘소다팝’이라는 곡에서 막혔다. 원문에서는 ‘나의 작은 소다팝’과 같은 표현을 쓰지만, 이를 직역하면 멜로디에 맞춰 부르기가 어려웠다. 고민 끝에 그는 브라질 사람들에게 친숙한 음료인 과라나를 떠올렸고, ‘Meu Pequeno Guaraná(나의 작은 과라나)’라는 가사가 탄생했다. 이 곡은 멜로디와의 호흡도 잘 맞았을 뿐 아니라 틱톡에서 유행할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 주브라질 한국문화원 | 2025.09.02
    상세보기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