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활동

전체 297

페이지 1 / 30

게시물검색영역
  • 튀르키예공화국 튀르키예공화국

Republic of Türkiye

튀르키예공화국

  • 제4회 앙카라 한국영화제 성료

    제4회 앙카라 한국영화제 성료

    - 개막작 '밀수' 등 총 4편의 한국영화 현지 영화팬들에게 선보여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이 주최하고 영화진흥위원회가 지원하는 제4회 앙카라 한국영화제가 8월 30~31일 개최되었다. 올해로 4회째를 맞이한 앙카라 한국영화제 개막식에는 정연두 주튀르키예대한민국대사 및 각 국 외교단, 현지 한류팬, 교민 등이 참석하였고 개막작 ‘밀수’를 시작으로 30일, 말할 수 없는 비밀, 보통의 가족 등 총 4편의 다양한 한국영화가 수도 앙카라의 Cepa 백화점 Paribu Cineverse 영화관을 가득 메운 가운데 상영되었다.▲ 제4회 한국영화제 정연두 대사 축사정연두 대사는 축사를 통해, “여러분 모두 최근 전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K-POP Demon Hunters] 라는 영화를 잘 알고 계실 것으로 믿습니다. 이처럼 영화는 서로 다른 국적과 문화를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도 쉽게 교감할 수 있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아주 좋은 매개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과 튀르키예 양국이 영화 분야에서의 활발하고 다양한 교류가 있기를 희망합니다. 아울러 영화를 보시면서 한국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시고, 현재의 젊은 사람들의 생각과 사고방식을 헤아리실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 되시면 좋겠습니다.”라고 하였다.▲ 제4회 한국영화제 정연두 대사 축사 2▲ 제4회 앙카라 한국영화제 참석한 관객들참가자 에일륄 귀네쉬는, “평소 K-Pop은 물론 K-Movie에도 관심이 많아 영화제에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개막작 밀수와 30일, 보통의 가족 등 총 3편의 영화를 감상하였는데 모두 흥미롭고 인상 깊은 작품이었습니다. 첫날 개막식에서는 K-Food 체험도 할 수 있어서 더 즐거운 경험이 된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한국영화제 행사가 있을때마다 참가할 계획입니다. 감사합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30일 영화상영회 후 진행된 한식 리셉션 주튀르키예공화국 한국문화원 | 2025.09.02
    상세보기
  • 광복 80주년 기념 ‘빛을 품다’ 전시회

    광복 80주년 기념 ‘빛을 품다’ 전시회

    -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 전시회, 한-튀 작가 단체 전시회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은 광복 80주년 기념 ‘빛을 품다’ 전시회를 8월 15일에 튀르키예 앙카라에 위치한 하제테페대학교 아흐멧 괴우쉬 사나트 전시관에서 개최하였다.▲ '빛을 품다' 전시회 정연두 대사 개회사▲ '빛을 품다' 전시회 개막식에 작품 관람이번 전시는 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 고송문화재단, 그리고 하제테페대학교 미술대학의 공동 주최로 마련되었으며, 한국 작가 40명, 튀르키예 작가 40명 등 총 80명이 참여하여 빛에 대한 해석과 감성을 담은 작품들을 선보였다. 또한 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 서예 강좌 졸업생들의 모임인 글꽃 그룹도 찬조 작가로 참여하여 빛을 주제로 민화가 들어간 작품 등을 준비하였다. 한편, 이번 전시에 참여한 원로 작가 김홍자 교수의 작품은 서울공예박물관, 국립 현대미술관, 영국 V&A 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본 전시회 개막식에 참석한 현지인들▲ '빛을 품다' 전시회 개막식에 작품 관람이날 개회식에서는 정연두 주튀르키예대한민국대사의 개회사로부터 시작하여 고서숙 고송문화재단 이사장, 금속미술의 거장 김홍자 교수, 나딜레 쉴레 아틸간 하제테페대학교 미술대학 학장의 인사말이 있었다. 이후 양승미 예술 감독의 안무로 준비한 함경도 검무춤 보존회 단원들의 멋진 축하무대가 이어졌는데, 대한민국의 광복을 상징하기 위해 나라의 태평과 안녕을 비는 태평무를 시작으로 아리랑과 애국가에 맞춰 5명의 무용수가 빨강, 파랑 천으로 태극기를 형상화한 모습을 표현했다.▲ 빨강, 파랑 천으로 태극기를 형상화한 모습▲ '빛을 품다' 전시회 전통무용 축하공연이번 전시는 단순한 예술 전시를 넘어, 광복의 의미와 한-튀르키예 양국 간의 우정, 문화적 연대를 조명하는 상징적 기회가 되었다. 한국 측 고송문화재단의 소속 Badboss 작가는 ‘안창호ㆍ유관순 연작’을 통해 대한민국의 자랑스러운 독립 운동가들의 숭고한 정신을 알렸고, 김길남 작가는 ‘물결 작품’을 통해 대한민국 국기의 펄럭임을 표현하며 독립을 위해 힘썼던 대한민국 국민들을 기렸다.▲ 빛에 대한 해석과 감성을 담은 작품또한 전시회에 방문한 아피페 카야씨는 “빛을 주제로 한 광복 80주년 기념 전시를 통해 한국이 얼마나 독립을 위해 힘을 썼는지 알 수 있었으며, 옛 독립투사들의 노력으로 현재의 아름다운 나라가 존재하게 된 점에 한국을 사랑하는 한 사람의 튀르키예인으로서 큰 감사를 드린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이처럼 참여 작가들과 방문객들의 긍정적인 반응이 터져 나오는 가운데 모두 500여 명의 방문객이 방문하였다. 주튀르키예공화국 한국문화원 | 2025.08.20
    상세보기
  • 아리랑 실크로드 : 존재의 초월 전시회 개최

    아리랑 실크로드 : 존재의 초월 전시회 개최

    -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 전시회, 한국 현대미술 세계화의 전환점으로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은 칠곡문화예술위원회와 함께한 ‘아리랑 실크로드 : 존재의 초월’ 전시회를 8월 8일에 개최하였다.▲ 아리랑 실크로드 : 존재의 초월 전시 개막식 이 전시는 '아리랑'을 '아(我)·리(理)·랑(朗)'으로 해체한 후, 세 가지 개념적 기둥을 통해 존재론적 사유의 깊이를 더한다. '아(我)'는 '삶의 고통과 인간적 존엄'을, '리(理)'는 '관계의 지혜와 순리의 아름다움'을, '랑(朗)'은 '삶의 근원적 기쁨과 존재의 자유'를 의미하는데, 이는 철학적 실천과 예술적 실험의 통합을 제시한다. ▲ 전시회 개막식에 참석한 현지인 회원들이번 전시에는 한국의 고금화, 박종태, 이정원, 임미미 작가와 튀르키예 출신의 거장으로 현재 프랑스에서 활동하는 코스쿤 작가까지 모두 다섯 명의 예술가가 참여하였는데, 각 작가는 자신만의 독자적인 조형 언어로 '아리랑'의 정서와 존재론적 성찰을 시각적으로 구현했다.▲ 아리랑 실크로드 : 존재의 초월 전시 작품 설명전시 개회식에 참여한 수씨는 “아리랑을 한국 현대 미술로 표현한 작품들에서 정말 아름다움과 내면에서 끓어오르는 감동을 찾아 볼 수 있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튀르키예 문화원에서 개최된 본 전시 단체 사진 주튀르키예공화국 한국문화원 | 2025.08.18
    상세보기
  • 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 사랑은 국경을 넘어 전시회

    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 사랑은 국경을 넘어 전시회

    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은 6월 16일(월)부터 7월 25일(금)까지 문화원 전시실에서 ‘사랑은 국경을 넘어 전시회’를 개최한다. 동 전시는 발달장애 예술가들의 창작활동을 지원하는 아르브뤼코리아 사회적협동조합과 공동으로 주최하며 소속 9명의 작가가 참여하였다. 참여 작가는 권세진, 김기정, 금채민, 박태현, 손제형, 신의현, 정도운, 조영배, 최명은 작가로, 이 가운데 금채민, 박태현, 손제형, 정도운 작가는 개회식에 참여하여 주재국의 한국 예술 관심자들과 만남을 가졌다.▲ ‘사랑은 국경을 넘어 전시회’ 개막식한편 이번 개회식에 참가한 아르브뤼코리아 사회적협동조합 고유정 대표는 “튀르키예분들의 한국 예술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크다”며 “이번 전시가 한국 예술의 아름다움과 매력을 알리는 좋은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또한 참여 작가인 박태현 작가는 “평소 관심을 가지고 방문해 보고 싶었던 튀르키예에서 전시회를 열게 되어 행복하다”고 말하면서 “예술을 통해 튀르키예 국민들과 하나가 될 수 있는 전시회로 성장해가는 것 같아 기쁘다”고 소감을 전했다.▲ 전시회 개막식에 참석한 현지인 회원들▲ ‘사랑은 국경을 넘어 전시회’ 단체 사진전승철 문화원장은 “이번 전시가 아르브뤼코리아 작가들과 함께 튀르키예 주재국민들에게 한국의 예술과 아름다움을 알리는 계기가 되고, 더 나아가 한-튀 양국이 예술로 하나가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주튀르키예공화국 한국문화원 | 2025.07.01
    상세보기
  • 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 ‘제14회 한식경연대회’ 성료

    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 ‘제14회 한식경연대회’ 성료

    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은 지난 6월 14일에 12명의 본선 진출자와 100여명의 관객이 참가한 가운데 한국문화원 야외공연장에서 제14회 한식 경연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2025년 제14회 한식 경연대회 심사▲ 2025년 제14회 한식 경연대회 본선 ‘한국의 장‘을 활용한 한-튀 퓨전요리를 주제로 펼쳐진 이날 경연에서 12명의 참가자들은 각자 자신이 준비한 음식을 요리하며 긴장감 넘치는 경연을 펼쳤다. 참가자들이 경연하는 모습을 통해 한국의 장을 어떻게 튀르키예 요리에 접목 할지 고민한 흔적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었다. 참가자들은 각자 자신만의 방식으로 한국의 장을 활용하여 튀르키예 가지요리, 수프, 튀김 등 다양한 요리를 선보였다.▲ 2025년 제14회 한식 경연대회 본선 2▲ 2025년 제14회 한식 경연대회 참가자 음식80분간의 12명의 경연자들의 경연이 마무리 되고 수상자를 발표하는 순간에는 경연장에 고요한 정적이 흘렀다. 수상자를 발표할 때마다 참가자들의 얼굴에는 희비가 엇갈렸다. 정연두 주튀르키예 한국 대사가 1등 수상자의 이름을 부르자 1등을 수상한 알라눌 악테페(Alanur Aktepe)씨는 자신이 수상 할 줄 몰랐다는 표정으로 어안이 벙벙한 상태에서 단상에 올랐다. 이날 경연에서 1등을 수상한 알라눌 악테페(Alanur Aktepe)씨는 “오늘 경연에서 너무 떨렸다. 처음에는 그렇게 떨리지 않았는데 경연이 진행되면서 너무 떨렸다. 중간에 가스레인지에 문제가 생겼지만 요리가 잘 되었다. 1등을 수상 할 각오로 경연에 참가했고 1등을 수상하게 되어 너무 기쁘다”라며 수상소감을 전했다.▲ ‘제14회 한식경연대회’ 단체 사진 주튀르키예공화국 한국문화원 | 2025.07.01
    상세보기
  • 튀르키예 앙카라서 ‘한국 발전상 알리기 역사 세미나’ 성황리에 개최

    튀르키예 앙카라서 ‘한국 발전상 알리기 역사 세미나’ 성황리에 개최

    주튀르키예 대한민국 대사관은 지난 6월 13일(금), 앙카라 소재 Tevfik Fikret 고등학교에서「한국 발전상 알리기 역사 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한국의 역사, 문화, 경제 등 다양한 분야의 발전상을 현지 교육 관계자와 학생들에게 소개하고, 양국 간 교육·문화 교류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한국 발전상 살리기 역사 세미나 진행 이날 행사에는 중·고등학교 교직원과 학생, 교육부 관계자 등 총 400여 명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였는데, 특히 정연두 주튀르키예한국 대사가 직접 연단에 올라 한국 발전상을 주제로 특별 강연을 진행해 의미를 더했다.▲ 한국 발전상 살리기 역사 세미나 축하공연 진행 이어진 프로그램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게임’을 주제로 한 한국문화체험행사가 마련되어 참가자들로부터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체험 부스에서는 전통 놀이와 함께 한국 관련 소품을 직접 보고 만질 수 있는 포토존이 운영되었으며, 참가자 전원에게는 한식 다과가 제공되어 ‘보고, 듣고, 맛보는’ 종합적인 한국 문화 체험의 장이 펼쳐졌다.▲ 한국 문화 체험 오징어게임 진행 주튀르키예한국 정연두 대사는 “이번 세미나는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튀르키예 교육 현장에서 한국을 보다 가깝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소중한 계기가 되었다”며 “향후 튀르키예 교육부와의 협력을 통해 현지 교과서에도 한국의 발전상이 보다 폭넓게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 문화 체험 오징어게임 진행 2 주튀르키예공화국 한국문화원 | 2025.06.27
    상세보기
  • 2025 MIKTA 영화제 개최

    2025 MIKTA 영화제 개최

    개막작 김혜영 감독의 ‘괜찮아 괜찮아 괜찮아’ 등 MIKTA 5개국 영화 상영회 성황리에 마쳐주튀르키예 한국문화원은 지난 5월 30일에 ‘2025 MIKTA 영화제’를 성황리에 개최하였다. 이번 영화제에서는 개막작인 ‘괜찮아 괜찮아 괜찮아’를 비롯해 멕시코 영화 ‘The Thin Yellow Line’, 인도네시아 영화 ‘Maybe Tomorrow or Someday’, 튀르키예 영화 ‘Son Hasat’ 및 호주 영화 ‘Red Dog’ 등이 상영되어 각 국 외교단 및 현지 영화팬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었다.▲ 에르칸 타르한 튀르키예 문화관광부 예술부국장 축사▲ 2025 MIKTA 영화제에 참석한 관객튀르키예 앙카라에서 열리는 MIKTA 영화제는 2021년 대한민국 주최로 시작되었고 이후 매해 회원국들이 번갈아 주최하면서 올해로 5회째를 맞이하였다. 올해 2025년도 의장국은 다시 대한민국으로서, 주튀르키예대한민국대사관 및 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의 주최로 앙카라 Cepa 백화점 Paribu Cineverse 영화관에서 개최되었고, 5.30 열린 개막식에는 정연두 한국대사, 르자 카안 이을마즈 튀르키예 외교부 국제경제정책실 과장, 에르칸 타르한 튀르키예 문화관광부 예술부국장이 축사를 하였으며 호세 루이스 마르티네스 에르난데스 멕시코대사, 아흐메드 리잘 푸르나마 인도네시아대사, 이사벨 크로포드 호주대사관 2등 서기관 등 많은 외교단 및 현지 영화애호가 및 한류팬들이 참석하였다.▲ 영화제 개막작인 ‘괜찮아 괜찮아 괜찮아’ 주튀르키예공화국 한국문화원 | 2025.06.11
    상세보기
  • 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 ‘K-뮤직 Festival’  개최

    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 ‘K-뮤직 Festival’ 개최

    튀르키예 문광부 수도문화거리 축제 행사 연계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은 지난 5월 31일(토) 오후 3시, 앙카라 메브쉬라 공연장에서 한국문화의 다채로운 매력을 만날 수 있는 “K-뮤직 Festival”을 성황리에 개최했다.이번 행사는 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과 튀르키예 문화관광부가 공동으로 기획하고, 앙카라의 대표 문화축제인 '수도문화거리 축제'와 연계하여 진행됐다. 현대적인 K-POP의 매력과 전통문화의 멋이 어우러진 이번 페스티벌은 한국 문화를 사랑하는 현지인들에게 특별한 문화적 감동을 선사했다.▲ K-Pop Cover Dance Festival 정연두 대사 인사말씀행사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서울신문사 공동으로 주최한 ‘K-Pop Cover Dance Festival in Turkiye’였다. 열정 가득한 무대에 참가한 튀르키예 케이팝 커버 댄서들은 자신들이 사랑하는 K-POP 아티스트들의 안무를 완벽하게 재현하며 관객들의 환호를 이끌어냈다. 현지 한류 팬들의 열렬한 응원 속에 공연장은 뜨거운 열기로 가득 찼고, 한국 음악에 대한 깊은 애정을 확인할 수 있는 순간이었다. 동 행사의 심사위원으로는 원밀리언 스튜디오 소속 댄서겸 안무가인 예찬, 튀르키예 유명 안무가 귤샤 알란이 참석을 하며 팬들을 위해 축하 무대를 선보였다. 이날 1등의 영예는 노바 크루(NOVA CREW)의 에즈기 에제빗(Ezgi Ecevit) 씨가 이끄는 팀에게 돌아갔다. 그녀는 수상 소감에서 “K-POP 커버댄스를 통해 한국의 음악뿐 아니라 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더욱 깊어졌다”며, “작년 대회에서 아쉽게 2위를 차지했기에, 올해는 더 열심히 준비했다”고 밝혔다.▲ K-Pop Cover Dance Festival 단체 사진▲ K-Pop 공연 보는 관객들의 모습아울러 이날 행사에는 공연 외에도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들이 마련 되어 관람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K-네일아트, K-한글 캘리그래피, K-푸드, 한복 착용 체험 등 한국의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프로그램은 물론 넷플릭스 인기 드라마 ‘오징어 게임’으로 잘 알려진 딱지치기, 제기차기, 살구놀이, 투호 등 한국 전통놀이도 현장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었다. 많은 참가자들은 사진을 찍으며 소중한 추억을 남기기도 했다.▲ 한식의 맛을 볼 수 있는 K-푸드 체험 주튀르키예공화국 한국문화원 | 2025.06.11
    상세보기
  • 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 튀르키예 순회하며 한국문화 전파

    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 튀르키예 순회하며 한국문화 전파

    튀르키예 지방도시에서 종합 한국문화 행사 개최지난 5월 12일~16일 튀르키예 내 3개 도시(에르진잔, 시바스, 요즈가트)에서 카라반 한국문화의 날 행사가 개최되었다. 그동안 문화원은 2013년부터 매년 튀르키예 내 2~3개 도시를 순회하며 튀르키예 81개 주 중 66개 주에서 카라반 한국문화의 날 행사를 개최하면서 한-튀 양국의 문화적 교류를 증진시키고 한국의 아름다운 문화들을 소개해 왔다.▲2025년 카라반 행사 전통 부채춤 공연▲2025년 카라반 행사 전통 부채춤 공연 2올해 진행된 카라반 한국문화의 날 행사에는 한국의 전통놀이 및 한복을 체험 할 수 있는 부대행사와 더불어 전통 부채춤 공연, K-POP 댄스 공연, K-발라드 공연 등이 준비되었다. 전체 행사 기간 동안 1,500명이 넘는 관객들이 참석한 카라반 한국문화의 날 행사를 통해 튀르키예의 지방도시에서도 한류에 대한 열기를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어린아이들부터 대학 교수들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관객들이 행사에 참석하였고 공연 내내 무대 위 공연자들의 화려한 퍼포먼스에서 눈을 떼지 못하였다.▲ FL4C K-Pop 댄스 퍼포먼스 ▲ FL4C K-Pop 댄스 퍼포먼스 2공연의 마지막 무대가 끝나자 관객들은 매우 아쉬워하는 모습을 보였고, 이어진 공연자들과의 포토타임 시간에는 사진을 찍으려는 관객들이 줄을 서 무대가 인산인해를 이루는 등 한국문화 공연에 대한 높은 만족도가 엿보였다.▲ 가수 마은진 K-발라드 공연하는 모습▲ 가수 마은진 K-발라드 공연하는 모습 2 주튀르키예공화국 한국문화원 | 2025.05.29
    상세보기
  • 어린이 문화축제 단체사진

    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 어린이 문화축제 성황리에 개최

    주튀르키예한국문화원은 앙카라 가족사회복지국과 공동주최한 어린이 문화축제 행사가 성황리에 종료되었다.▲ 어린이 문화축제 행사에서 한복을 입어본 아이들4월 26일 현지 어린이날 주간에 맞추어 한국문화원에서 개최된 행사에는 앙카라 가족사회청 소속 보육원생 50여 명이 참가하여 다양한 한국문화를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다.6~12세로 구성된 보육원생들은 들뜬 마음과 빛나는 눈빛으로 문화원에 도착하였다. 한국 동요, 한글 이름쓰기, 한국 전통놀이, 한복 입어보기, 한식 체험, 전통 공연 및 K-pop 댄스 공연 등 한국을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아이들의 한국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졌다. 제기를 차기 위해 헛발질을 계속하는가 하면 한복을 입고 친구들과 사진을 찍는 모습을 보이는 등 놀이공원에 온 아이처럼 매우 신나게 한국문화를 체험하였다.▲ 문화원 카페테리아에서 한식 체험 시간▲ 문화원 강사와 같이 한글 이름쓰기한글 동요를 체험하는 강의실에는 보육원생들이 부르는 한국 동요 ‘산토끼’소리가 들려왔고 한글 체험 강의실에서는 색연필로 자신의 이름을 한글로 쓰는 아이들을 볼 수 있었다.▲ 한국 동요 ‘산토끼’ 수업을 듣는 아이들의 모습이어서 진행된 전통 무용 공연과 K-pop 댄스 공연에서는 아이들의 박수소리가 연이어 나왔다. 전통 부채춤을 추는 공연자를 입을 벌린 채 바라보는 한편 K-pop 댄스 공연이 끝난 후에는 아이들이 무대에 올라가서 즉석에서 K-pop 춤을 추기도 하였다.▲ 야외 공연장에서 부채춤 공연하는 모습▲ K-Pop 공연을 보는 아이들의 모습전승철 문화원장은 “이러한 문화 체험은 단순한 즐거움을 넘어, 한-튀 양국의 상호 이해와 우정을 키우는 밑거름이 될 것이며, 오늘 이 자리에 함께 한 어린이 여러분이 앞으로 튀르키예와 한국을 잇는 다리가 되어줄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주튀르키예공화국 한국문화원 | 2025.04.29
    상세보기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