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ter in Pyeongchang-gun County (hereinafter Pyeongchang), Gangwon-do Province, offers a magical landscape blanketed in pristine snow. Just a 90-minute KTX ride from Seoul Station, Pyeongchang perfectly captures the essence of Korean winter. Visitors can admire the stunning snow-capped mountains while enjoying winter sports and seasonal festivals. For those who have never experienced winter before, Pyeongchang promises unforgettable memories in a snow-covered wonderland.
Writer. Yeo Ji Hyo
Upon arriving in Pyeongchang, head straight to Barwangsan Mountain. Standing at 1,458 meters, it’s the 12th highest mountain in Korea. The mountain is especially beautiful in winter when visitors can witness both the snow-covered landscape and sanggodae from its summit. Sanggodae refers to frost flowers—white ice crystals that form on tree branches when moisture in the air freezes. These typically appear when temperatures drop below -6° Celsius with humidity above 90% and are most commonly found on high mountains with significant temperature variations. The combined sight of accumulated snow and frost flowers creates a dazzling white spectacle.
© Mona Yongpyong.
While it’s possible to hike to the summit, taking the cable car is recommended due to cold weather and potentially slippery mountain paths. The “Mona Yongpyong” cable car station is a 20-minute taxi ride from KTX Jinbu Station. After purchasing tickets at the second-floor ticket office, board the cable car for the 7.4-kilometer round trip.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s, you’ll first see the smooth white slopes of the ski resort, followed by a panoramic view of the snow-covered forest. The 18-minute journey to the summit is a mesmerizing experience through a silent winter wonderland.
Once the cable car reaches Barwangsan Mountain’s summit, head to the fourth floor to visit the “Gi Skywalk,” known as Korea’s highest observation deck. Standing on this tall, extended skywalk, you’ll feel the strong winds and a thrilling sense of floating in air. Take a deep breath and walk slowly forward to take in the view of snow-wrapped Barwangsan Mountain and Korea’s majestic mountain ranges. To the northeast lie Seonjaryeong Mountain and Hwangbyeongsan Mountain, to the west is Odaesan Mountain and to the southwest is Gariwangsan Mountain. The name Barwangsan means “mountain with the energy of a king,” and indeed, you can feel the mountain’s pure, profound energy.
Below the skywalk lies the “Millennium Yew Forest Trail,” home to ancient yew trees up to 1,800 years old. Korean mountaineers consider trees that have lived for over a thousand years to be sacred, believing they pray for the safety of mountain visitors. Frost flowers adorn every branch of these ancient trees that have stood firm through centuries of wind and snow. Up close, these crystalline formations appear even more mystical than expected, like winter’s own breath. Walking along the winding path through this white landscape, visitors find themselves praying for the well-being of their loved ones.
평창에 도착하자마자 가장 먼저 발왕산으로 향한다. 발왕산은 해발 1,458 m로, 한국에서 12번째로 높은 산이다. 겨울에 특히 아름다운데, 발왕산 정상에 서면 새하얀 산의 풍경과 함께 ‘상고대’를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고대는 공기의 수분이 나뭇가지에 하얗게 얼어붙어 핀 얼음꽃이다. 보통 섭씨 영하 6도 이하, 습도 90% 이상일 때 피며, 기온 차이가 심한 높은 산에서 주로 볼 수 있다. 눈이 소복이 쌓인 눈꽃과 얼음꽃인 상고대가 함께 있는 풍경은 그야말로 눈부신 흰빛이다.
발왕산 정상까지 걸어서 가는 길도 있지만, 날이 춥고 산길이 미끄러울 수 있어 케이블카를 타고 가는 방법을 추천한다. KTX 진부역에서 택시로 20분 거리에 발왕산 케이블카 탑승장인 ‘모나 용평’이 있다. 2층 매표소에서 표를 끊고 왕복 7.4 km 코스의 케이블카를 타면, 투명한 창 너머로 스키장의 희고 매끄러운 경사로가 보인다. 곧이어 눈으로 덮인 숲이 한눈에 펼쳐진다. 정상까지 올라가는 18분 내내 고요한 눈의 세계에 넋을 잃을 정도다.
어느새 케이블카가 발왕산 정상에 도착한다. 케이블카에서 내린 뒤 4층으로 이동, 한국에서 가장 높은 곳에 설치된 전망대로 알려진 ‘氣(기) 스카이워크’를 찾는다. 우뚝 솟아 길게 뻗은 스카이워크에 올라서자 세찬 바람에 놀라고, 공중에 떠 있는 듯한 아찔함에 놀란다. 심호흡한 뒤, 천천히 걸어가 앞을 보니 눈이 감싼 발왕산과 웅장한 한국의 산줄기가 눈에 들어온다. 동북쪽으로는 선자령과 황병산, 서쪽으로 오대산, 남서쪽으로 가리왕산이다. 문득 발왕산이 ‘왕의 기운을 가진 산’이라는 뜻을 품고 있다는 이야기가 떠오른다. 맑고 깊은 산의 기운을 받는 것만 같은 기분이다.
스카이워크에서 내려오면 ‘천년주목숲길’이 펼쳐진다. 최고 1800년 수령에 이르는 나무인 천년 주목들이 모여 있는 곳이다. 한국의 산악인들은 천 년 이상 살아온 나무를 혼인 깃든 나무라 한다. 산을 찾는 이들의 무탈함을 기원한다고도 믿는다. 오랜 세월, 바람과 눈 속에서 꿋꿋이 서 있는 나무 가지가지마다 얼음꽃인 상고대가 폈다. 가까이 보니 겨울의 숨결인 것만 같아 예상보다 더 신비롭다. 굽이굽이 이어진 길을 따라 거니는 동안, 흰빛 속에서 소중한 이들의 평안을 바라본다.
Pyeongchang, host of the 2018 Winter Olympics, is a popular destination for winter sports enthusiasts. Visitors can enjoy skiing and snowboarding at various ski resorts, including Mona Yongpyong and Phoenix Park, which hosted Olympic ski events. After gliding down the slopes in the crisp winter air, taking a moment to catch your breath brings a thrilling sense of exhilaration and refreshment.
Walking trails surrounded by trees on Barwangsan Mountain and nearby areas / © Mona Yongpyong.
For those needing equipment, rental shops at the ski resorts provide clothing and gear. Beginners can take advantage of ski lessons, though these require advance reservation through the resort’s website or by phone. Those not ready for skiing or snowboarding needn’t worry—snow sledding courses offer a gentler alternative.
After experiencing the winter mountain scenery and skiing, it’s time to immerse yourself in festival atmosphere. Every winter, Pyeongchang hosts the Daegwallyeong Snow Festival, featuring snow sculptures and various winter activities. The festival grounds are just a 10-minute taxi ride from Barwangsan Mountain, making it an easily accessible attraction.
Stepping into the festival grounds reveals a world crafted entirely of snow—white houses, chairs, walls, tunnels and mazes create a scene straight out of a winter wonderland. Here, everyone becomes childlike, regardless of age. Visitors can take photos amidst the snowy displays, make snow angels, build small snowmen and enjoy roasted corn, a signature Gangwon-do Province snack.
The snow and ice sledding experiences are must-try activities. One ride down the ice slide is never enough—despite frozen hands and feet, visitors find themselves wanting just one more run down the slope.
Daegwallyeong Snow Festival in January / © Daegwallyeong Snow Festival.
평창은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겨울 스포츠를 사랑하는 이들에게도 인기 있는 곳이다. 동계올림픽 스키 경기가 열렸던 ‘모나 용평’, ‘휘닉스파크’를 비롯해 다양한 스키장이 있어 스키와 스노보드를 즐길 수 있다. 차가운 공기 속에서 스키를 타고 내려온 뒤, 잠시 숨을 고르고 있으면 짜릿함과 상쾌함이 함께 느껴진다.
옷과 장비가 필요할 경우 스키장 내 렌탈샵에서 빌릴 수 있으며, 초보자를 위한 강습 프로그램이 있으니 이용해 봐도 좋겠다. 단, 강습 프로그램은 스키장 홈페이지나 전화로 사전 예약이 필요하다. 아직 스키나 스노보드를 타는 게 무섭다면 눈썰매를 타는 코스가 있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겨울 산의 풍경과 스키까지 즐겼다면 이제 온몸으로 축제를 경험해 볼 차례다. 평창에서는 매년 겨울, 눈으로 만든 작품을 구경하고 다양한 겨울 놀이를 할 수 있는 ‘대관령눈꽃축제’가 열린다. 발왕산에서 택시로 10분 거리에 위치해 가벼운 마음으로 방문할 수 있다.축제 현장에 들어서자 온통 눈으로 만든 세상이다. 하얀 집, 하얀 의자, 하얀 벽, 하얀 터널, 하얀 미로 등 겨울왕국에 들어선 것만 같다. 이 순간만큼은 나이에 상관없이 어린아이가 된다. 눈 구경을 하며 사진을 찍고, 눈 위에 누워 팔을 휘저어 보고, 작은 눈사람도 만들어본다. 강원도의 대표 간식인 쫀득한 옥수수를 구워 먹는 곳이 있어 입까지 즐겁다.
눈썰매와 얼음 썰매 체험도 빼놓을 수 없다. 얼음 미끄럼틀을 타고 쌩쌩 내려오는 기분은 한 번으로는 부족하다. 꽁꽁 언 손과 발을 잊고 자꾸만 더 타고 싶은 마음이다.
When the cold starts to seep in, thoughts turn to warm, comforting food. A natural choice is gamjaongsimi (potato ball soup), one of Gangwon-do Province’s signature dishes. The region is famous for its delicious potatoes, thanks to its mountainous terrain and cool climate. To make gamjaongsimi, finely ground potatoes are shaped into small, round balls about the size of bird eggs and cooked in a warming anchovy broth.
Spooning up the gamjaongsimi, you’re greeted with the rich, clean taste of the broth and the chewy texture of the potato balls. It feels like comfort food made with care, wrapping you in warmth. During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this dish became a favorite among international athletes—it’s easy to understand why.
Hwangtaegui (grilled dried pollack) is another iconic Gangwon-do Province dish. Pollack becomes hwangtae through a process of repeated freezing and thawing in the cold weather, turning yellow as it dries. To prepare hwangtaegui, the dried fish is cleaned, grilled once, then brushed with gochujang (red chili paste) seasoning and grilled again on both sides. One serving of this sweet and spicy dish, crispy outside and tender inside, is enough to chase away the winter chill.
The memories of this journey linger long after. A winter trip to Pyeongchang in Gangwon-do Province, surrounded by white snow, might remain in memory as a time when the fierce cold, paradoxically, brought warmth to the heart.
추위 속에 한참을 있다 보니 따뜻한 음식 생각이 간절하다. 무엇을 먹을까 고민하다 강원도 대표 음식인 ‘감자옹심이’를 찾는다. 강원도는 산이 많고 서늘한 덕분에 맛있는 감자가 나오는 것으로 유명한데, 감자옹심이는 이 감자를 이용해 만든 음식이다. 곱게 간 감자를 새알 크기 정도로 작고 둥글게 뭉친 뒤, 따뜻한 멸칫국물에 익혀 나온다.
숟가락으로 감자옹심이를 떠 입에 넣자, 고소하고 담백한 국물이 퍼지며 쫄깃한 식감이 느껴진다. 정성을 다해 만든 무언가를 먹는 듯 포근한 기운이 몸을 감싼다. 평창동계올림픽 당시 외국 선수들에게 인기 있는 음식으로, 감자옹심이가 꼽힌 이유를 알 것만 같다.황태구이도 강원도 하면 떠오르는 음식이다. 생선인 명태가 추위에 얼고 녹고를 반복해 노랗게 건조되면 황태가 된다. 이 황태를 손질해 팬에 한 번 구운 뒤, 고추장 양념을 발라 앞뒤로 다시 구운 것이 황태구이다. 매콤달콤하면서 겉은 바삭하고 속은 부드러운 황태구이 하나면 추위도 곧 사라진다.
여행의 여운은 오래도록 남는다. 강원도 평창에서 흰 눈과 함께하는 겨울 여행은 매서운 추위 속에서 오히려 마음을 따뜻하게 덥혀준 기억으로 남을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