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외신 속의 한국

게시일
2020.12.07

한 장에 담은 외신 속 한국 문화 제 43호

이번 주는 중국이 한국 게임의 중국 내 유통 허가 판호를 발급했고 미국 블룸버그가 선정한 '올해의 인물 50인'에 봉준호 감독과 정은경 청장이 뽑혔다는 반가운 소식이 있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한 장에 담은 외신 속 한국 문화' 43호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한 장에 담은 『외신 속 한국 문화』 2020.12.7.(제43호)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게임  중국 4년 만에 한국 게임 유통 허가 영국ㅣFinancial Timesㅣ온라인ㅣ12.3.  ◾중국이 4년 만에 한국 게임 서비스를 허가하면서, 연간 수십억 달러의 수출시장이 다시 열릴 것이라는 기대감 상승. 한국 게임회사 컴투스는 3일 중국이 세계적 히트 게임인 ‘서머너즈 워’의 중국 내 유통 허가 판호를 발급했다고 밝힘. 중국은 2017년 사드 배치 이후 신규 한국산 게임을 비롯한 문화상품의 유통을 제한해왔었음.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행보가 중국의 한국문화 수출제한 완화의 신호탄이기를 기대하고 있음  ◾한국 게임산업의 수출 규모는 2018년 64억 달러에 달했으며, 2017년 이전 중국은 한국 게임 수출의 약 30%를 차지. 전문가는 중국이 한국 문화수출을 본격적으로 허용할지 앞으로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전망       K-푸드 ①  2021년 푸드 트렌드: 한국의 맛이 주류가 된다 미국ㅣForbesㅣ온라인ㅣ12.1  ◾<기생충>, BTS 등 올해는 한국에 문화적으로 대단한 한 해. 스타 셰프 후니 킴(김훈)의 절묘한 음식부터 ‘본촌 프라이드 치킨’에 이르기까지 한식도 큰 주목을 받았는데, 2021년에는 한국의 맛이 한층 더 주류가 될 것으로 보임. 식료품점뿐만 아니라, 한식 전문점을 넘어 일반 레스토랑에서도 한식을 맛보게 될 것 ◾한국식 소스와 김 스낵을 판매하는 『케이팝푸드』는 아마존과 500개 식료품점에서 구매가 가능한데, 올해 3분기 매출이 전기 대비 20% 성장. 공동창업자 테오 리는 “위스콘신, 미시건, 미네소타 등 미국 중서부 지역에서 가장 인기가 있다”며, “한국의 맛이 주류가 될 날이 멀지 않았다. 아주 많은 기회가 있다”고 밝힘       K-푸드 ②  K푸드 인도 델리 강타 인도ㅣIndian Expressㅣ3면ㅣ11.30.   K-푸드 ③  김치, 밭에서 접시로 벨기에ㅣDe Standaardㅣ온라인ㅣ12.1.  ◾주인도한국문화원의 한식 조리 경연대회 심사위원으로 참여하는 대한민국식품명인 이연순 명인은 “인도의 한식에 대한 이해와 기술이 높았던 점이 인상적이었다”고 언급. 한식은 오랜 역사를 지니며, 한방약재를 식재료로 사용하는 등 면역력을 높이는 고품질 음식으로 정평이 나 있음   ◾벨기에 내 발효 음식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 고유 음식인 김치의 인기가 높음. 김치는 한국의 전통문화 한 부분을 차지. 매년 이 맘 때, 김장을 위해 많은 가족이 모이며, ‘김장’은 온 가족의 잔치와 같은 것. AFP 기자 Ed Jones는 배추의 수확부터 김치 담그는 과정을 생생히 기록        인물  올해의 인물 50인 (※봉준호, 정은경 선정) 미국ㅣBloombergㅣ온라인ㅣ12.4.   K-문화원  한국과 멕시코가 음악으로 하나되다 멕시코ㅣK-매거진ㅣ온라인ㅣ11.30.  ◾'기생충'은 비영어권 영화로는 최초로 아카데미 작품상을 받음. 1,100만 달러의 예산을 들였지만 거의 2억 6천만 달러의 글로벌 티켓 판매수익을 내며 상업적 예상도 무너뜨림. 봉 감독은 기생충의 성공을 통해 다른 나라들도 훌륭한 영화를 제작한다는 사실을 근시안적인 미국 관객들에게 상기시킴   ◾주멕시코한국문화원이 <2020 제2회 아리랑 콩쿠르>를 온라인으로 개최. 2018년 1회 때, 50개 팀이 경연을 벌였는데, 이번엔 125개 팀이 참가. 참가자들은 클래식, 재즈, 락, 뉴에이지, 살사, 일렉트릭 팝 등으로 편곡하여 다양하게 선보이면서도 아리랑 고유의 정서를 잘 살려냈다고 평가받음





위 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