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전체동향

전체 44

페이지 2 / 5

게시물검색영역
  • 뉴욕 뉴욕

New York

뉴욕

  • [미국 / 뉴욕] 2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미국 / 뉴욕] 2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 문화예술 정책ㅇ 공연계 동향- 현 LA 필하모닉 음악감독인 구스타보 두다멜 지휘자, 2025-2026 시즌부터 5년 계약으로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음악감독으로 지명되어 제 27대 지휘자로 뉴욕필을 이끌어갈 예정 https://www.nytimes.com/2023/02/07/arts/music/new-york-philharmonic-gustavo-dudamel.html ㅇ 미술계 동향- 2023년 선댄스영화제 다큐멘터리 경쟁 부문에 진출한 아만다 킴(Amanda Kim) 감독의 다큐멘터리 ‘백남준: 달은 가장 오래된 TV(Nam June Paik: Moon is the Oldest TV)’이 오는 3월 24일 뉴욕 맨하탄 필름포럼에서 개봉되며 이에 앞서 뉴욕현대미술관 (MoMA)의 다큐멘터리 영화제(Doc Fortnight/2.22-3.6)에도 공식 초청되었음. 이 작품에는 배우 스티브 연이 백남준의 글을 낭독하고, 윌 엡스타일과 류이치 사카모토가 음악에 참여해 뉴욕의 문화, 예술계에 큰 화제가 되고 있음 https://www.moma.org/calendar/events/8500- 구겐하임 뮤지엄이 최근 뉴욕, 베니스, 빌바오, 아부다비 디렉터, 큐레이터들이 모두 참석한 가운데 글로벌 기자회견을 Zoom 온라인으로 개최, 2023년 특별전 계획을 발표했음. 이 중에 1960-70년대 한국의 실험미술 특별전이 포함되어 눈길을 끌었으며 이 전시는 2023년 9월 1일부터 내년 1월 7일까지 뉴욕 구겐하임 뮤지엄에서 개최됨. 국립현대미술관과 공동으로 개최되는 이 특별전은 이강소, 이건용, 이승택, 김구림, 성능경 등 한국 현대 미술사에서 실험적인 작품 활동을 펼친 작가들이 중심이 되며, 뮤지엄 내 총 4개의 갤러리 공간에 구현될 예정임 https://www.newmuseum.org/exhibitions/view/mire-lee ㅇ 영화계 동향- Kathy Hochul 주지사, 뉴욕의 영화 및 TV 제작에 대한 세금 감면을 연장 및 확대할 것을 제안 ▲예산 감시단은 납세자들이 부유한 산업에 더 많은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지만, 국회의원들은 3월 말에 예정된 예산 협정의 확장을 뒷받침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고 있음 ▲예산은 영화 및 TV 프로젝트에 대한 뉴욕의 4억 2천만 달러 세금 공제 프로그램 규모를 연간 7억 달러로 늘릴 것을 제안 ▲작가와 감독의 급여도 포함 ▲주지사는 TV 프로그램이 뉴욕으로 재배치되도록 더 많은 인센티브 원함 https://nypost.com/2023/02/01/kathy-hochuls-proposed-budget-includes-big-increase-for-film-and-tv-tax-credit/ https://gothamist.com/news/top-lawmaker-backs-ny-film-tax-credit-as-hochul-looks-to-expand-it https://spectrumlocalnews.com/nys/central-ny/ny-state-of-politics/2023/02/09/hochul-wants-to-expand-new-york-s-film-and-tv-production ㅇ 요식계 동향- 뉴욕주 레스토랑 협회(New York State Restaurant Association)는 뉴욕주에서 레스토랑을 포함, 게임 면허를 확대할 것을 의원들에게 촉구함▲온프레미스(On-premises) 베팅은 레스토랑이 가혹한 경제 환경과 계속 어려움을 겪을 때 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 무기를 확장할 것▲최근 설문 조사 결과, 레스토랑 운영자가 직면한 비용 상승, 공급망 중단, 인력 부족 및 낮은 수익성이 드러남▲팬데믹 이전에 레스토랑 산업은 뉴욕에서 500억 달러 규모의 산업이었으며 매년 40억 달러의 판매세 수입을 창출함▲가능한 한 많은 경제 경로를 재건하고 개방하기 위해 레스토랑을 위한 새로운 환경을 만드는 방법 모색 필요 https://totalfood.com/ny-state-restaurant-association-calls-for-expanded-gaming-licenses-to-include-restaurants/ https://www.restaurantbusinessonline.com/financing/ny-restaurants-press-site-gambling□ 한류 동향ㅇ 공연- 2022년 연장 공연몰이를 이어가던 한인 정한솔 극작가의 작품 ‘울프 플레이(Wolf Play)’가 올해 1월 27일, 오프 브로드웨이에서 개막 후 다시 연일 전석 매진행렬을 이어가면서 3월 19일까지 연장 공연 진행 예정 https://playbill.com/article/hansol-jungs-wolf-play-extends-off-broadway ㅇ 영화(드라마)- 필름 앳 링컨센터, 홍상수 감독 영화 <탑(Walk Up)> 오는 3월 24일 상영 https://www.screendaily.com/news/aftersun-rrr-decision-to-leave-tar-among-301-features-eligible-for-oscars/5177930.article- AMC 극장, 임순례 감독 영화 <교섭> 등 지속적인 한국영화 상영ㅇ 한식- 뉴욕타임스, “한국 서울의 숨겨진 핫 플레이스의 빛” 제하 서울 골목길에 위치한 못잔 행-아웃(Hang-out) 식당 등 소개 https://www.nytimes.com/2023/01/18/travel/seoul-hidden-bars-restaurants-clubs.html?- 뉴욕의 한식당 ‘아토믹스’를 비롯하여 ‘마녀 떡볶이’, ‘Wonder Pig K-BBQ’, ‘백정’, “Gen Korean BBQ House’ 등 다양한 한식당 소개 https://ny.eater.com/maps/where-to-find-all-you-can-eat-restaurants-in-nyc https://ny.eater.com/maps/best-new-queens-restaurants-heatmap https://ny.eater.com/maps/best-late-night-restaurants-new-york-weeknight-weekendhttps://ny.eater.com/2023/1/5/23535977/nyc-restaurant-openings-january-2023- 문화원 온라인 한식 요리 특강: 김장, 담그고 나누는 김치, 동영상 에피소드 3편 공개(2/21) □ 교육 분야 동향ㅇ 바이든 정부의 학자금 대출 면제, 대법원 심리를 앞두고 있음- 작년 8월에 바이든 대통령이 총 400조에 달하는 학자금 대출 면제를 제안함에 따라 보수 진영과 학생 단체들 사이에 이견이 계속되고 있음. 바이든 정부와 학생들은 팬데믹으로 인해 어려워진 경제 상황을 이유로 개인당 약 2500만원 정도의 학자금 대출을 면제해주는 방안을 지지하고 있고, 보수 성향의 주정부들은 이를 두고 권력 남용이라고 비판함 https://www.nytimes.com/2023/02/27/business/student-loan-debt-supreme-court.html □ 관광분야 동향ㅇ 미국, 중국 내 코로나 감염 급증에 따라 중국 여행객들에 대한 새로운 조치 시행 고려- 현지시간 화요일(12월 27일), CNBC, CNN, 블룸버그 등 기사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중국 정부가 발표한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자료에 대한 우려를 이유로 중국에서 온 여행객들에게 새로운 코로나 규정 시행을 고려중이라고 밝힘. 화요일 해당 관계자들은 중국 내에서 진행중인 코로나의 급증과 관련 데이터 공유의 투명성 부족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음을 덧붙임- 미국은 공중보건 전문가들의 조언을 따르고, 관련 기관들과의 논의를 통해 자국민을 보호할 수 있는 조치 채택을 고려중이라고 전달함. 또한 미국 관계자들은 인도와 WHO에서 역시 중국 현 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현하는 것을 덧붙이며 일본과 말레이시아의 조치를 언급함. 일본은 중국 내 다시 급증하는 코로나 감염 상황에 따라 12월 30일부터 중국 본토에서 방문한 여행객들을 대상으로 코로나 음성 결과 확인서를 요구하는 지침을 발표함. 또한 유효한 백신접종증명서가 없는 중국 관광객들에게 출발 전 검사를 의무화했음. 대만 역시 1월 1일부터 중국 본토에서 출발하는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코로나 검사를 시행할 것이라고 발표함 ㅇ 미국, 중국 내 코로나 감염 급증에 따라 중국 여행객들에 대한 새로운 조치 시행 고려- 현지시간 수요일(12월 28일), 뉴욕타임즈와 블룸버그, CNN 등 보도에 따르면, 미국은 베이징의 코로나19 지침 완화와 중국 내 코로나 감염 급증 사례에 따라 중국에서 출발하는 모든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비행 전 코로나19 검사 음성 확인서를 제출할 것을 의무화함. 연방 보건 당국 관계자에 의하면, 중국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승객들은 비행 최소 이틀 전, 코로나 검사를 진행하고 비행기 탑승 전 항공사에 음성 결과 확인서를 제출해야 한다고 덧붙임. 테스트는 PCR테스트 혹은 원격의료서비스를 통해 진행되는 항원 자가 테스트도 허용됨- 해당 요건은 중국에서 미국 직항을 이용하는 승객뿐만 아니라 서울, 토론토, 밴쿠버 등의 제 3국 게이트웨이를 이용하는 승객에게도 적용됨. 비행 최소 10일 전 양성을 판정받은 승객의 경우, 음성 확인서 대신 회복을 증명하는 문서를 제출할 수 있음. 본 요건의 시행은 1월5일부터 적용될 예정임- 미국 당국은 최근 코로나 감염 급증 상황 속 정보 공유 투명성의 부족에 깊은 우려를 표함. 또한 CDC는 여행동안 마스크 착용 및 증상에 대한 자가 모니터링과 해외여행 출발 후 3일 간 코로나 테스트를 진행할 것을 권고함 주뉴욕 한국문화원 | 2023.04.05
    상세보기
  • [미국 / 뉴욕] 1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미국 / 뉴욕] 1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 문화예술 정책ㅇ 공연계 동향- 뉴욕타임즈, 2022년 12월 26일~1월 1일간 33개 브로드웨이 작품 총 수입이 총 5,190만달러를 기록하면서 역대 3위의 흥행을 기록, 2019년 연말 이후 3년 만에 최대 흥행을 기록했다고 함 https://www.nytimes.com/2023/01/04/theater/broadway-record-grosses.html-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티켓 판매 부진 등의 타격을 입고 있는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는 그 대응책으로, 비축해둔 기부금으로 재정을 메꾸고 상연 프로그램 또한 고전 보다는 티켓이 더욱 잘 팔리는 생존 작곡가들의 현대극에 더욱 비중을 둘 것이라고 함 https://www.nytimes.com/2022/12/26/arts/music/metropolitan-opera-endowment-contemporary.htmlhttps://www.yna.co.kr/view/AKR20221227072900009 ㅇ 미술계 동향- 뉴욕타임즈가 최근 '미술계의 메카'로 부상하고 있는 한국의 미술시장을 갤러리 딜러, 큐레이터, 아티스트 등 전문가들의 인터뷰와 함께 특집기사로 소개했음. 타임즈는 'Inside South Korea's Art-Mad Capital' 제하 기사에서 코로나로 인해 글로벌 미술시장이 많이 경색된 상황에서 리만머핀, 페이스, 페로틴, 글래드 스톤 등 세계적인 파워 갤러리들이 서울에 지점을 새로 오픈하거나 확장한 사례를 열거하며 한국이 아시아에서 새로운 미술의 메카로 부상하고 있다고 언급함. 한국은 중국이나 홍콩 등 경쟁 위치에 있는 타 아시아 시장에 비해 판매시장 규모 및 컬렉터 비중이 현저히 낮지만 정부 및 기업, 비영리재단 등 공공영역에서의 투자 및 확장 가능성을 높이 평가했음 https://www.nytimes.com/2023/01/05/arts/design/seoul-art-gallery-museum-korea.html- 뉴욕 다운타운에 위치한 현대미술관 뉴뮤지엄(New Museum)은 오는 6월 29일부터 9월 17일까지 이미래 작가의 개인전을 개최한다고 공식 발표했음. 이미래 작가는 서울대 조각과와 동 대학원 미디어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과 암스테르담을 오가며 활동하고 있는 한인 작가로 제 59회 베니스비엔날레, 제 58회 카네기인터네셔널, 2022년 부산비엔날레 등에 참여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이어가고 있는 작가임 https://www.newmuseum.org/exhibitions/view/mire-lee ㅇ 영화계 동향- SAG-AFTRA 및 광고 산업, 3월까지 Covid 안전 프로토콜 연장 ▲SAG-AFTRA와 광고 업계 공동 정책 위원회는 Covid 테스트 및 안전 프로토콜을 3월 31일까지 연장하기로 합의 ▲노조와 JPC는 공동 성명에서 "프로토콜이 시행된 이후 작업장에서 과도한 코로나19 위험으로부터 출연진과 제작진을 보호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됐다"고 밝힘 https://deadline.com/2023/01/covid-safety-protocols-extended-sag-aftra-advertising-industry-1235210405/- Paramount의 Covid 안전 보험 승리로 영화 산업에 희망 제공 ▲Paramount Global의 최근 W.R. Berkley 단위에 대한 Covid-19 보험 승리는 전염병 안전 비용에 대한 환급을 모색하는 다른 영화 및 TV 제작 회사를 위한 로드맵 제시 ▲예전 ViacomCBS로 알려진 Paramount는 보험사인 Great Divide Insurance가 TV 제작 중 Covid-19의 확산 방지 위한 조치에 대해 배상해야 한다는 캘리포니아 연방 법원 판결에서 승소 https://news.bloomberglaw.com/us-law-week/paramounts-covid-safety-insurance-win-gives-film-industry-hope ㅇ 요식계 동향- 뉴욕시가 20% 배달료 한도를 완화할 가능성이 보임 ▲레스토랑이 배달회사에게 지불하던 기존의 배달료에서 추가로 15%까지 배달앱 홍보 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예측됨 https://www.restaurantbusinessonline.com/technology/nyc-could-ease-its-20-delivery-fee-cap- 음식 배달원에게 시간당 23달러를 지불하기 위한 투쟁 ▲배달앱 서비스는 뉴욕시 근로자의 임금을 인상할 경우 배달 비용 또한 증가할 수 있다고 경고 https://www.nytimes.com/2022/12/08/nyregion/nyc-food-delivery-workers-wage-increase.html □ 한류 동향ㅇ 공연- 뉴욕타임즈, 한국계 미국인 희곡작가, 로이드 서(Lloyd Suh)의 작품 세계를 조명 https://www.nytimes.com/2022/12/21/theater/lloyd-suh-far-country-asian-american.html ㅇ 영화(드라마)- 박찬욱 감독 영화 <헤어질 결심>이 12 월 21 일에 발표된 아카데미 시상식 국제 장편영화상 예비리스트 열다섯 편중 한 편으로 선정 https://www.screendaily.com/news/aftersun-rrr-decision-to-leave-tar-among-301-features-eligible-for-oscars/5177930.article- 2023 아시안필름어워즈(Asian Film Awards), 박찬욱 감독의 '헤어질 결심'이 작품상, 감독상, 남/여우주연상 등 10개 부문 후보 https://www.screendaily.com/news/decision-to-leave-leads-asian-film-awards-nominations/5177880.article https://www.highonfilms.com/the-16th-asian-film-awards-nomination-list/ https://variety.com/2023/awards/news/asian-film-awards-nominations-2-1235480620/- 영화 <헤어질 결심>의 김지용 촬영감독 인터뷰 기사 보도 ▲야심찬 촬영, 박찬욱과의 작업, 한국영화 붐 등 https://www.btlnews.com/awards/decision-to-leave-cinematographer-kim-ji-yong-interview/- 영화 <헤어질 결심>,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은 공식 SNS 계정을 통해 발표한 자신이 좋아하는 2022년 총 16편 영화 리스트 중 한국 영화로 유일하게 포함 https://www.washingtonpost.com/arts-entertainment/2023/01/01/obama-movies-2022/ https://www.hollywoodreporter.com/movies/movie-news/barack-obama-favorite-movies-music-books-2022-1235287270/ https://variety.com/2022/film/news/barack-obama-best-movies-2022-top-gun-2-emily-the-criminal-1235472419/ https://www.indiewire.com/2022/12/obama-best-movies-2022-1234794598/- 문화원 온라인 한국영화 상영회-연말을 함께할 2022년 개봉작 특별전(12/23~2023/1/31) 개최 https://www.koreanculture.org/films/2022/12/23/korean-movie-night-at-home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670326632560488&mediaCodeNo=257&OutLnkChk=Y ㅇ 한식- 뉴욕시 코리안 바비큐 식당 17개 및 새로 오픈한 ‘메주’, ‘젠 코리안 바비큐 하우스’, ‘안토’ 등 소개 https://www.theinfatuation.com/new-york/guides/new-nyc-restaurants-openings https://ny.eater.com/2023/1/5/23535977/nyc-restaurant-openings-january-2023 https://ny.eater.com/2023/1/5/23538730/gen-korean-bbq-house-opening-nyc https://www.crainsnewyork.com/restaurants/korean-fine-dining-spot-anto-open-month-upper-east-side https://ny.eater.com/maps/best-korean-barbecue-nyc- 문화원 온라인 한식 요리 특강: 김장, 담그고 나누는 김치, 동영상 에피소드 2편 공개(1/23) □ 교육 분야 동향ㅇ 뛰어난 성능의 인공지능 챗봇 프로그램이 개발됨에 따라 미 교육계가 큰 변화를 맞고 있음- 인공지능 개발 연구소인 OpenAI가 만든 ChatGPT가 작년 11월에 출시되자, 해당 프로그램의 뛰어난 작문 기능을 이용해 학생들이 과제 및 시험을 치르는 등 표절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음. 뉴욕의 중고등학교는 인공지능 챗봇의 사용을 금지하기 위해 교실에서 와이파이 사용을 제한하는 등의 방어적인 대응을 하고 있는 반면, 대학교들은 이러한 정책의 실효성과 정당성을 문제삼으며 변화를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방향으로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음 https://www.nytimes.com/2023/01/16/technology/chatgpt-artificial-intelligence-universities.html □ 관광분야 동향ㅇ CDC, 연휴 동안 마스크 착용 독려- 현지시간 월요일(12월 5일), CNBC 뉴스 기사에 따르면, CDC는 코로나19, 독감, RSV 등 호흡기 질환의 확산을 줄이기 위해 국민들의 마스크 착용을 독려함. CDC 왈렌스키 소장은 마스크 착용이 연휴 기간 동안 호흡기 바이러스의 전염을 줄일 수 있는 예방법 중 하나라고 덧붙였으며, 좋은 품질의 적절한 마스크 착용을 권고함- CDC 자료에 따르면, 12월 첫째 주 금요일을 기준으로 한 주 동안 코로나로 인한 입원률이 27% 증가했으며, RSV 역시 이전보다 더 높아진 어린이들의 입원률을 기록하고 있음- 현재 미국 인구의 약 5%가 높은 코로나 감염으로 인해 CDC가 공식적으로 마스크 착용을 권장하는 지역에 살고 있으며, CDC는 특히 비행기, 기차, 버스 등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마스크를 착용할 것을 지속적으로 권고하고 있음 주뉴욕 한국문화원 | 2023.02.01
    상세보기
  • [미국 / 뉴욕] 12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미국 / 뉴욕] 12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 문화예술 정책ㅇ 공연계 동향- 뮤지엄 오브 브로드웨이(Museum of Broadway), 11월 15일 공식 오픈. 아티스트, 디자이너, 극장 역사가들 등이 대거 참여하여 협업을 통해 브로드웨이의 과거와 현재를 망라하는 역사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랙티브 뮤지엄 형태로 설계되었으며 브로드웨이 한복판에 위치하고 있음 https://www.themuseumofbroadway.com/ ㅇ 미술계 동향- 방탄소년단(BTS)의 리더이자 미술애호가인 RM(김남준)이 뉴욕의 북부 현대미술관 디아비컨(Dia Beacon)에서 펼친 12분짜리 라이브 퍼포먼스 영상이 공개돼 현지 미술계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음. 2003년에 문을 연 디아비컨은 뉴욕 허드슨 강변 비컨에 위치해 있으며 약 6만 평방피트 (15,000 평방미터)의 규모로 미 동부지역에 자리 잡은 최고 수준의 현대미술관 중 하나임. 디아비컨의 블로그에 이번 프로젝트를 함께한 RM과의 인터뷰 및 뮤직비디오 영상이 메인 페이지를 장식하고 있으며 이 인터뷰 내용을 대부분의 메이저 아트 미디어에서 자세히 다루기도 했음 https://www.diaart.blog/ ㅇ 영화계 동향- NYC 의원들은 블록버스터 영화, TV 촬영에 대한 제한을 요구 ▲영화 및 텔레비전 제작진이 Big Apple의 특정 지역에서 촬영할 수 있는 빈도에 상한선을 부과하는 법안을 도입할 예정 ▲뉴요커들이 현장 촬영이 이웃을 혼란에 빠뜨리고 있다는 불만을 제기해 제안된 규칙 https://nypost.com/2022/12/07/new-york-pols-call-for-limits-to-block-busting-film-shoots/ ㅇ 요식계 동향- NYC 17명의 시의원, 배달 회사가 서비스에 대해 더 많은 비용을 청구할 수 있도록 제안된 수정안 지지 ▲그럽허브는 음식 배달 회사가 테이크아웃 주문에 대해 식당에 부과하는 수수료를 제한하는 법안을 개정하기 위해 뉴욕시 의원들에게 조용히 로비 ▲수수료 상한선(현행 15%)을 뒤집기 위해 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중 https://nypost.com/2022/12/07/grubhub-lobbies-to-loosen-nycs-pandemic-era-fee-cap-law-even-as-it-sues-the-city/ □ 한류 동향ㅇ 공연- 브로드웨이 뮤지컬 “KPOP”, 11월 20일 공식 오픈되었으나 개막 후 17회 공연을 끝으로 조기 폐막. 동 작품으로 브로드웨이 데뷔 최초 아시안 여성 작곡가 타이틀을 얻은 헬렌 박 작곡가는 플레이빌지에 심경을 담은 칼럼을 기고함. 또한 “KPOP” 프로듀서들은 인종차별적 내용을 실은 11월 27일자 뉴욕타임즈 기사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 요청을 하기도 하였음 https://www.nytimes.com/2022/12/07/theater/kpop-broadway-closing.htmlhttps://www.nytimes.com/2022/11/27/theater/kpop-review-broadway.html https://playbill.com/article/kpop-producers-respond-to-new-york-times-review-requesting-apology-from-jesse-green https://playbill.com/article/kpop-songwriter-helen-park-reflects-on-a-broadway-run-cut-short - 피아니스트 임윤찬의 반 클라이번 국제콩쿠르 연주가 뉴욕타임즈 선정 ‘올해의 10대 최우수 클래식음악 공연’에 선정됨 https://www.nytimes.com/2022/12/01/arts/music/best-classical-music-performances.html ㅇ 영화(드라마)- 뉴욕타임즈, 2022년 겨울영화: 스트리밍 또는 극장 기사 보도 곧 개봉 보도▲이정재 감독데뷔작 영화 <헌트>, 제75회 칸국제영화제 남우주연상 수상한 배우 송강호 주연의 영화 <브로커> 소개 포함 https://www.nytimes.com/2022/11/03/movies/winter-movies-2022.html- 문화원 온라인 한국영화 상영회-연말을 함께할 2022년 개봉작 특별전(12/23~2023/1/31) 개최 예정 ㅇ 한식- 뉴욕 록펠러 센터 빌딩 내 한식당 ‘나로’를 비롯한 뉴욕시에서 오픈하는 ‘아리아리’, ‘옥동식’, ‘오케이 도그’, ‘케이준’, ‘서울뚝배기’, ‘렛츠 미트’ 등 소개 https://www.nytimes.com/2022/12/12/dining/rockefeller-center-restaurants.html https://www.theinfatuation.com/new-york/guides/new-nyc-restaurants-openings https://www.theinfatuation.com/new-york/guides/new-nyc-restaurants-openings https://ny.eater.com/maps/best-new-queens-restaurants-heatmap https://www.timeout.com/newyork/news/this-famous-korean-restaurant-is-opening-a-pop-up-eatery-in-nyc-111722 https://www.theworldandthensome.com/best-group-friendly-restaurants-in-nyc-perfect-for-celebrating/ https://robbreport.com/food-drink/dining/naro-rockefeller-center-atomix-atoboy-1234767365/ https://ny.eater.com/2022/11/18/23464396/dani-luv-quality-eats-sammys-roumanian-festivus-2022- 문화원 온라인 한식 요리 특강: 김장, 담그고 나누는 김치, 동영상 에피소드 1편 공개(12/19)- 문화원·한국관광공사 공동주최 뉴욕시 공립고등학교 (데모크라시 프렙 할렘-Democracy Prep Harlem High School) 학생대상 <김치 담그기-Let’s Make Kimchi Together> 체험 행사 개최(12/20) □ 교육 분야 동향ㅇ 뉴욕시 공립 학교가 위기에 직면한 반면, 대안학교(Charter School)에 대한 수요는 증가- 전통적인 뉴욕 공립 학교들이 학생 수 및 예산 절감으로 위기에 처한 상황과 상반되게, 대안학교들은 만 명 이상 학생 수가 증가하는 등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음. 현 시장인 에릭 아담스는 전임자였던 빌 드 블라지오와 달리 대안학교를 지지하는 입장. 그러나 민주당 입법자들과 교원 노조가 대안학교의 증가를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라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 https://www.nytimes.com/2022/11/21/nyregion/nyc-charter-schools.html □ 관광분야 동향ㅇ 아사시 자 백악관 코로나19 대응조정관 트리플데믹에 대한 경고- 현지시간 수요일(10월 26일), CNBC 보도에 따르면, 아사시 자 백악관 코로나19 대응조정관이 코로나19, 독감(flu) 및 RSV(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가 동시에 퍼지는 트리플데믹에 대해 경고하였음- 하지만, 그는 CBS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트리블데믹에 대응할 수 있으며 코로나19와 독감에 대해서는 백신이 있으며 RSV에 대해서는 백신은 없지만 손씻기와 같은 조치로 대응할 수 있다고 말함 주뉴욕 한국문화원 | 2023.01.03
    상세보기
  • [미국 / 뉴욕] 11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미국 / 뉴욕] 11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 문화예술 정책ㅇ 공연계 동향●카네기홀,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 주요 공연예술기관 대부분은 10월 24일부터 관객들의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권장사항으로 조정함. https://www.nytimes.com/2022/10/17/arts/music/opera-ballet-mask-requirements-new-york.html●시저스 팰리스 카지노가 타임스퀘어로 진출할 가능성이 농후해지면서, 브로드웨이 리그는 타임스퀘어 카지노 승인 반대에 대한 성명서를 발표. 이미 혼잡한 타임스퀘어가 카지노 진입으로 인해 전체 지역을 위험에 빠뜨릴 것에 대한 우려를 밝힘. https://playbill.com/article/broadway-league-responds-to-possible-times-square-casino ㅇ 미술계 동향●아트넷 뉴스가 최근 ‘Promoting Korean Soft Power Is the Most Important- How Korean Corporations Are Bringing Their Country’s Art to the World’s Museums‘(한국 기업들이 자국의 예술을 세계 박물관에 어떻게 가져오고 있는가)라는 제하의 기사를 통해 삼성, LG, 아모레 퍼시픽, 현대자동차 등 한국 기업의 대기업들이 전 세계 미술관에 한국미술을 후원하는 그간의 역사와 사례를 상세하게 소개하는 특집 기사를 실었음. 아울러 한국 정부가 한류 확산을 위해 노력한 역사 및 K-POP, 오징어 게임 성공 등으로 이어지는 세계 컨텐츠 시장에서의 한국 컨텐츠 위상을 비중 있게 소개함. https://news.artnet.com/art-world/korean-companies-art-sponsorships-2022-2197021ㅇ 영화계 동향●할리우드, 주요 스튜디오, 노동조합은 코로나19 제작 프로토콜을 1월 말까지 연장 합의, 일부 요구 사항 완화 성명 발표▲SAG-AFTRA (Screen Actors Guild -The American Federation of Television and Radio Artists), DGA (Directors Guild of America.), IATSE(The International Alliance of Theatrical Stage Employees) 및 기타 노조는 동 협정은 팬데믹 시작 직후부터 영화계 안전을 위한 다면적 접근 방식 유지▲확장은 대부분 영역에서 개선된 조건을 반영하는 사소한 수정 허용. 단, 핵심 프로토콜 유지. https://variety.com/2022/biz/news/covid-hollywood-protocols-sag-aftra-dga-iatse-1235415547/●미국 영화 산업통계-미국 문화와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 ▲할리우드는 여전히 세계 최고의 영화 산업 ▲넷플릭스와 아마존 프라임도 거대하나 코로나19 팬데믹은 업계에 큰 영향 미침○국내 박스오피스 매출: 2019년도 113억 2,000만 달러→2020년도 20억 9000만 달러→2022년도 59억 9000만 달러○2021년 4월 기준, 북미 극장의 60%가 6개월 만에 재개장. 그러나 미국 박스 오피스 수익은 팬데믹 이전 같은 달보다 여전히 76% 낮음. https://www.zippia.com/advice/us-film-industry-statistics/●AFM(American Film Market): 미국에서 대부분 규제되지 않은 보험으로 인해 이미 현금이 부족한 산업의 예산이 급증 ▲팬데믹 프로토콜, 보험, 테스트 비용 등의 재정적 영향은 오랫동안 지속 ▲COVID 프로토콜(정기적인 테스트, 오프 카메라 스태프를 위한 필수 마스크 및 가능한 발병을 억제하기 위해 생산의 다른 섹션을 격리하는 "버블" 시스템)은 표준 관행이었으며 전체 셧다운 위험 크게 줄임 ▲다만, 영화 예산의 최대 10%에 달하는 관련 비용은 심각한 수준. https://www.hollywoodreporter.com/movies/movie-news/covid-costs-burden-independent-film-afm-2022-1235255404/ ㅇ 요식계 동향●NYC 레스토랑 노동자, 노동력 압박 속 휴일·주말 휴무 및 높은 급여와 혜택 요구▲COVID 이후 뉴욕시 레스토랑의 상황은 이전에 없던 신규 직원의 요구에 레스토랑 소유주 굴복하는 상황 전환 https://nypost.com/2022/11/02/nyc-restaurant-workers-increase-demands-amid-labor-squeeze/ □ 한류 동향ㅇ 공연●10월 13일 프리뷰를 시작하여 11월 20일 공식 오프닝을 앞둔 브로드웨이 뮤지컬 “KPOP”이 뉴욕타임즈에 대서특필되고 출연진들이 ABC 방송에 출연하여 하이라이트 공연을 펼치는 등 현지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음. 또한 브로드웨이 공연의 프로그램북이라 할 수 있는 플레이빌 사상 최초로 한국어 페이지가 포함된 플레이빌이 제작되고 관객들에게 배포되고 있음. https://www.nytimes.com/2022/11/04/theater/kpop-musical-broadway.html?smid=nytcore-ios-share&referringSource=articleShare https://youtu.be/JPxcbzHklRk https://www.goodmorningamerica.com/Culture/video/cast-broadway-musical-kpop-perform-live-times-square-91668992 https://playbill.com/article/why-kpops-playbill-is-unlike-any-other-playbill?utm_source=Iterable&utm_medium=email&utm_campaign=WeekendPost https://www.theatermania.com/broadway/news/new-to-k-pop-heres-what-you-need-to-know_94536.html?utm_source=newsletter&utm_medium=email&utm_content=button●국립창극단의 대표작 중 하나인 “트로이의 여인들” 미국 초연이 11월 17~18일, 뉴욕 최고(最古)의 공연장인 브루클린 아카데미 오브 뮤직 “넥스트 웨이브 페스티벌”에 초청받아 공연. https://www.forbes.com/sites/joanmacdonald/2022/11/06/pansori-and-k-pop-electrify-the-timeless-tale-of-the-trojan-women/?sh=4b12c75511d0 ㅇ 영화(드라마)●뉴욕타임즈, 홍상수 감독의 <소설가의 영화> 리뷰 기사 보도. https://www.nytimes.com/2022/10/27/movies/the-novelists-film-review.html●베니티페어, 박찬욱 감독의 영화 <헤어질 결심>: 느와르 걸작 속 감독은 구식 필름 느와르의 언어로 매혹적인 로맨틱 미스터리를 펼치는 새 영화의 6가지 중요한 프레임에 대해 자세히 설명. https://www.vanityfair.com/hollywood/2022/10/awards-insider-decision-to-leave-shot-list-park-chan-wook?utm_source=twitter&utm_social-type=owned&utm_brand=vf&mbid=social_twitter&utm_medium=social●필름 앳 링컨센터, 박찬욱 감독의 <헤어질 결심> 11/17까지 연장 상영. https://www.filmlinc.org/films/decision-to-leave/●문화원 온라인 한국영화 상영회-배우 송강호 특별전 11/28까지 개최. https://www.koreanculture.org/films/2022/10/28/masters-series-song-kang-ho ㅇ 한식●뉴욕시 한식당 주막 반점의 또바, 하나 하우스, 오케이 도그, 어반벨리 및 록커펠러빌딩내 오픈 나로 식당 등 소개. https://ny.eater.com/2022/11/7/23443209/olly-olly-market-opening-bar https://ny.eater.com/2022/11/3/23427303/nyc-restaurant-openings-november-2022 https://www.forbes.com/sites/micheleherrmann/2022/10/31/williamsburg-market-is-the-latest-food-hall-addition-to-new-york-citys-map/?sh=1214f5de7423 https://ny.eater.com/2022/10/31/23433125/opening-naro-atomix-rockefeller-center https://www.nytimes.com/2022/11/01/dining/nyc-restaurant-news.html●뉴욕타임즈 Writer, 에릭 김의 “Beans and Greens Stew with Doenjang’ 레시피 소개. https://cooking.nytimes.com/recipes/1022663-beans-and-greens-stew-with-doenjang □ 교육 분야 동향ㅇ 100개 이상의 뉴욕시 중학교 선별적 입학 심사 중단●뉴욕시 90%의 중학교가 시험 점수에 기반한 학생 선발을 중단하고, 팬데믹 기간 동안 도입된 추첨 방식의 선발을 유지하기로 결정. 학교 관계자들은 이러한 큰 변화가 인종 차별적으로 보이는 현 입시 제도에 다양성을 불어 넣을 것이라고 전망. 그러나 학부모들의 반응은 엇갈리는 상황. 코로나 이후로 계속해서 공립학교의 입학률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추첨식 입시 제도가 계속되면 상황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됨. https://www.nytimes.com/2022/10/26/nyregion/nyc-middle-schools-selective.html □ 관광분야 동향ㅇ 파우치 소장, 올 겨울 코로나19 새 변이 출현 가능성 경고●현지 시간 월요일(10월 3일), 액시오스 보도에 따르면 국립알레르기와 전염병 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 NIAID)의 국장인 앤서니 파우치는 USC 애넌버그 보건 저널리즘 센터(Annenberg Center for Health Journalism)에서 주관한 행사에서 “새로운 코로나19 변이가 올겨울 나타나도 놀랍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음. 또한 “우리가 감염 및 백신접종을 통해 얻은 면역 반응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또 다른 변종의 출현을 예상한다”고 전함.●또한 “현재는 옳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면서도 “호흡기 질환과는 별개로 겨울철이 오고 있으며 확진자는 증가할 수 있다”고 말함. 지난 겨울 오미크론 변이 출현으로 미국에서의 코로나19 감염자가 증가했으며 이후에 여러 하위 계통의 변이가 출현했다고 파우치 소장이 전함.●‘코로나19 종식이 다가왔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소장은 현재 코로나19가 완전히 끝났다고 말하는 것은 무신경(cavalier)한 것이라고 밝힘. 최근 미국의 코로나 감염 사례가 하향세이나 소장은 이번 겨울에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언제든지 다시 급증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함. ㅇ 백악관, 추가 백신 접종 당부●현지시간 화요일(10월 11일) CNBC는 백악관 코로나19 코디네이터, 아시시 자(Ashish Jha)가 “코로나로 미국이 위기를 맞았으며 이는 극복가능하고, 올 겨울 바이러스의 확산은 우리에게 달렸다”라고 말했다고 전함.●CDC에 따르면 코로나로 인한 사망자수가 일일 300명 이상임. 아시시 자는 이 사람들의 70퍼센트는 75세 이상이며 최신 백신을 접종하지 않았거나 권장한 대로 치료를 받지 않았다고 전함. 새 부스터 샷이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와 BA.5 변이 바이러스에 효능을 보이고 있다고 전하면서 자 코디네이터는 가족 혹은 친구들과의 모임을 대비하여 백신 접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력 권고함. ㅇ 코로나19 공중 보건 비상사태를 내년 1월까지 재연장●현지시간 목요일(10월 13일), 로이터통신, 월스트리트저널 등에 따르면 조 바이든 행정부는 코로나19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90일간 연장한다고 전함. 이는 내년 1월 11일까지임. 미국은 2020년 1월에 공중 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한 이래로 90마다 연장해왔으며 지난 7월에 내린 연장이 곧 만료함에 따라 추가 연장함.●지난 달 바이든 대통령이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났다”고 발언하여 정부의 비상사태 선포가 끝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있었음. 그럼에도 비상사태를 연장하는 건 코로나19 오미크론의 하위변위가 여전히 증가 추세이고 이 프로그램이 유지돼야 백신과 검진, 치료제 무료 배포가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보도함. 또한, 월스트리트저널은 비상사태가 연장되면서 저소득층 의료비 지원제도인 메디케이드(Medicaid) 가입자도 의료 혜택을 계속 받을 수 있게 되었다고 전함. 주뉴욕 한국문화원 | 2022.11.23
    상세보기
  • [미국 / 뉴욕] 10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미국 / 뉴욕] 10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 문화예술 정책ㅇ 공연계 동향- 1988년 1월 26일에 개막하여 브로드웨이 역사 상 최장 기간 공연되어왔던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이 2023년도 2월 18일, 1만3천925회 공연을 끝으로 폐막될 예정 www.nytimes.com/2022/09/16/theater/phantom-of-the-opera-broadway-closing.html-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상주하는 공연장인 링컨센터 데이비드 게펜 홀(David Geffen Hall), 보수공사 마치고 10월 8일 공식 오픈 https://www.nytimes.com/2022/10/08/arts/music/david-geffen-hall-reopens.html ㅇ 미술계 동향- 최근 ‘프리즈 아트페어’가 서울에 입성하는 등 한국이 글로벌 미술미장에서 더욱더 주목 받고 있는 가운데 세계 최대 미술 시장인 미국에서 국내 근현대 작품 전시가 잇따라 개최되는 등 한국의 순수미술을 가리키는 이른바 ‘K아트’ 확산 움직임이 활발하게 감지됨. 뉴욕 구겐하임미술관에서는 2023년 9월 ‘1960~1970년대 한국의 실험미술’ 특별전이, 2023년 10월에는 필라델피아미술관에서 ‘1989년 이후 한국 현대미술’을 주제로 한 전시가 개최될 예정이며 뉴욕 메트로폴리탄미술관에서도 대한제국과 ‘전환기 예술’을 주제로 전시 기획을 준비 중인 것으로 확인됨. 현재 로스앤젤레스(LA) 주립미술관 라크마(LACMA)에서 미국 최초로 ‘한국 근대미술’ 기획전 개최되고 있으며, 한국 수묵화의 거장 박대성은 지난 9월 19일 보스턴 하버드대 한국학연구소에서, 24일에는 미국 다트머스대 후드미술관에서 개인전을 개막했음. 이 전시는 내년 가을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 메리 워싱턴대로 순회전이 이어질 예정임. 아울러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미술관에서 한국계 미국 작가 마이클 주의 작품이 내년 1월까지 전시되며 뉴욕과 서울을 오가며 활동하는 ‘단추 작가’ 황란은 다음 달 22일부터 플로리다주 베이커미술관에서 개인전을 개최할 예정임※ 출처: 다수 미술 전문 매체 ㅇ 영화계 동향- 2022년 뉴욕영화제에는 팬데믹 이전 수준의 거의 모든 영화 제작자가 작품을 발표하기 위해 옴▲2020년에 칸, 텔루라이드 등이 코로나19로 인해 행사를 취소하기로 결정한 반면, 뉴욕은 온라인 및 드라이브 인 상영으로 대부분 가상 버전을 출시. 지난해 극장이 100% 만석이 되는 것이 허용되었으나 여전히 많은 영화 관객들은 극장으로 돌아가는 것이 불편 https://deadline.com/2022/09/new-york-film-festival-60th-edition-white-noise-return-to-familiar-footing-1235130733/ ㅇ 요식계 동향- 근로자의 권리를 반복적으로 침해하는 패스트푸드 회사는 뉴욕시 의회에서 검토 중인 새 법안에 따라 뉴욕시에서 식품 판매 능력을 상실 ▲뉴욕시 소비자 및 근로자 보호부에서 보건부에 "요식업 시설 허가 갱신을 중지, 취소, 거부 또는 거부"하도록 명령할 수 있게 함 ▲Fair Work Week Law 위반으로 3년 동안 $500,000 이상 지불 ▲법이 제정되면 지난 달 뉴욕시의 공정근로주간법을 반복적으로 위반한 것에 대해 뉴욕시 소비자 및 근로자 보호부와 합의, 13,000명의 근로자에게 2,000만 달러를 지불하기로 합의 ▲근로자에게 예측 가능한 일정과 유급 병가를 제공할 것을 요구 https://gothamist.com/news/council-ramps-up-pressure-on-nyc-fast-food-restaurants-to-protect-workers-rights □ 한류 동향ㅇ 공연- 10월 13일, 브로드웨이 뮤지컬 “KPOP”이 써클 인 더 스퀘어 씨어터(Circle in the Square Theatre)에서 프리뷰 공연을 시작하였음. 동 뮤지컬은 11월 20일, 공식 오프닝을 앞두고 있음 https://kpopbroadway.com/- 1997년 초연한 넌버벌 퍼포먼스 “난타”, 2003년도 “난타”를 초연했던 뉴 빅토리 극장(New Victory Theater)에서 10월 14일부터 30일까지 25주년 기념 공연 개최 www.newvictory.org/tickets-and-events/2223-live-performance-cookin/- 5•18 민주화운동을 다룬 한국 창작 뮤지컬 “광주”, 10월 20일 뉴욕 787 세븐스 (787 Seventh) 극장에서 쇼케이스 공연 개최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573536&ref=A ㅇ Kpop- 뉴욕 패션위크 2023 봄/여름 패션쇼를 휩쓴 케이팝 아이돌 ▲뉴욕 패션 위크에는 전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유명 인사들이 모임으로 이번 시즌, 특히 K-Pop 아이돌들이 모델로 참가하여 이벤트에서 많은 화제 ▲2023 봄/여름 뉴욕 패션에서 K-pop 스타들이 헤드라인 장식 https://www.teenvogue.com/story/k-pop-idols-stole-the-show-at-new-york-fashion-week-springsummer-2023-see-photos ㅇ 영화(드라마)- 필름 앳 링컨센터 주최 “제60회 뉴욕영화제” 개최(9.30~10.16), 박찬욱 감독의 <헤어질 결심>과 홍상수 감독의 <소설가의 영화> 초청 상영▲박찬욱 감독, 영화제 참석 관객과의 Q&A 진행 및 연장 상영 https://www.filmlinc.org/nyff2022/sections/main-slate/- 박찬욱 감독의 영화 <헤어질 결심>, 비평가 및 평론가 극찬 https://www.nysun.com/article/park-chan-wook-gravitates-toward-the-pulpy-with-decision-to-leave https://collider.com/decision-to-leave-park-chan-wook-streaming-theaters/- 홍상수 감독의 영화 <소설가의 영화> 리뷰 기사 http://reverseshot.org/reviews/entry/2996/novelists_film ㅇ 한식- 2022년도 미슐랭 가이드 스타획득 리스트 ▲뉴욕시 한식당 아토믹스, 정식당 2개 스타 획득 / 꽃, 제주 누들바, 주막 반점, 주아, 꼬치, 마리, 오이지 미 1개 스타 획득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2-10-07/nyc-michelin-guide-strips-stars-from-carbone-marea-peter-luger https://ny.eater.com/2022/10/6/23389696/michelin-restaurants-nyc-stars-2022 □ 교육 분야 동향ㅇ 뉴욕시 상위권 학교 입시 규정 부활- 팬데믹 기간 동안 완화되었던 뉴욕시 학교들의 입학 평가 기준이 다시 강화됨으로써, 상위권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성적을 기준으로 학생들을 다시 선발하기 시작함. 코로나 19로 인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저하되었을 당시, 이전 행정부가 추첨 형식으로 중고등학교 입시 규정을 바꿔 저소득층과 흑인, 히스패닉 계열의 학생 비율이 올라간바 있음. 뉴욕시 교육감 데이비드 뱅크스가 9월 29일에 선택적 입학 제도의 부활을 발표하자, 추첨 입학에 반대해온 아시안 학부모 집단은 이를 환영함. 열심히 노력한 학생들이 그에 합당한 결과를 받도록 보장함과 동시에, 학교 내 인종/소득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복합적 방안이 촉구됨 https://www.nytimes.com/2022/09/29/nyregion/nyc-schools-admissions.html □ 관광분야 동향ㅇ 뉴욕, 대중교통 마스크 착용 의무 조치 해제- 현지 시간 수요일(9월 7일), 미국 뉴욕주지사는 실제로 많은 뉴욕 시민들이 따르지 않는 대중교통 마스크 의무 규정을 28개월 만에 해제하겠다고 전함. 뉴욕타임즈(The New York Times, NYT)는 자체 집계에 의거 최근 2주 동안 뉴욕시 코로나 확진 사례가 21%가량 하락하는 등, 코로나19에 대한 경각심이 줄어든 점도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함.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회견을 통해 “현재 코로나 19에 따른 입원이 크게 줄었다”며 “이제 우리의 삶도 정상화가 되어야한다”고 말함- 이에 뉴욕시와 인근 지역 거주자들은 마스크 없이 뉴욕 메트로폴리탄교통국(MTA)이 운영하는 버스와 지하철을 탈 수 있게 됨. 단, 택시와 우버, 리프트는 대상에서 제외됨. 추가적으로 노인 요양 시설과 의료 기관에서의 마스크 착용은 계속 의무화하기로 했다고 전함- 뉴욕 주지사는 “마스크는 권장되지만 선택사항이며, 자신의 책임 하에 마스크를 벗더라도 타인의 마스크 착용을 존중해야한다”고 당부함. 또한 뉴욕 주민들에게 오미크론 변이를 막기 위한 추가 백신 접종을 촉구함 ㅇ 파우치소장 “아직 ‘코로나와 함께 살겠다’고 말할 수준 아냐”- 미국 국립알레르기 전염병 연구소 소장인 앤서니 파우치는 “우리는 아직 ’바이러스와 함께 살겠다‘고 말할 수 있는 지점에 와있지 않다”고 말함. 현재 사망 추이(1일 400명)가 코로나19 정점(1일 3천명)과 비교하면 훨씬 낮으나 여전히 받아드릴 수 없을 정도로 높은 수준이라고 밝힘. 또한 코로나19의 전파력이 강하여 백신 접종에 따른 면역력이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기 때문에 코로나19 박멸이 힘들 수 있다면서 코로나19가 사회질서를 어지럽히지 않는 수준으로 통제하는 것이 최종목표가 되어야한다고 말함- 현지시간 일요일(9월 18일) 조 바이든 대통령이 CBS방송에서 “팬데믹이 끝났다”고 말해 논란이 된 것과 관련하여 파우치 소장은 아직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주문한 것으로 해석된다고 언급함 주뉴욕 한국문화원 | 2022.10.21
    상세보기
  • [미국 / 뉴욕] 9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미국 / 뉴욕] 9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 문화예술 정책ㅇ 공연계 동향- 브로드웨이를 비롯한 많은 공연들이 재개되었으나 공연에 참석하는 관객 수는 대부분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음.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 원격근무로 인한 뉴욕시 내 유동인구 감소 등이 요인으로 꼽히고 있음. 카네기홀 등과 같은 비영리 공연예술기관에서는 전체 공연 횟수를 축소하는 방식 등의 운영으로 관객 감소로 인한 재정적 대응을 취하고 있기도 함. www.nytimes.com/2022/08/21/arts/performing-arts-pandemic-attendance.html- 현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얍 판 츠베덴(Jaap van Zweden) 음악감독이 서울시립교향악단 음악감독으로 선임되어 2024년부터 5년간 서울시향을 지휘할 예정. www.nytimes.com/2022/09/06/arts/music/jaap-van-zweden-seoul-philharmonic.html ㅇ 미술계 동향- 아시아 최대 사모투자펀드 운용사인 MBK 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이 뉴욕 메트로폴리탄 뮤지엄(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의 근현대 미술 전시관인 ‘오스카 탕 윙(Oscar Tang Wing)’레노베이션 프로젝트에 미화 1,000만 달러(약 137억원)를 기부했다고 메트 뮤지엄 측이 공식 발표했음. 이에 메트 뮤지엄에는 근현대 미술관의 갤러리 중 하나를 김병주 회장과 부인인 박경아씨의 이름을 따서 ‘김병주∙박경아 갤러리(Michael B. Kim and Kyung Ah Park Gallery)’로 명명하기로 했다고 밝혔음. 1870년 메트로폴리탄 뮤지엄이 설립된 이후 전시실 명칭에 한국계 인사의 이름이 사용된 것은 이번이 처음임.* 김병주 회장: 아시아 사모투자 운용사인 MBK 파트너스의 회장이자 설립자. MBK 파트너스 설립 이전, 김병주 회장은 칼라일 아시아 파트너스의 회장이자, 칼라일 그룹 경영 위원회의 멤버, 살로몬 스미스 바니 아태지역 투자은행의 최고운영책임자(COO), 골드만삭스 디렉터를 역임한 바 있음. 그는 사재출연을 통해 설립한 MBK 장학재단의 이사장이자 하버드 경영대학원, 메트로폴리탙 뮤지엄, 카네기 홀, 뉴욕공립도서관의 이사회 멤버로 활동 중에 있음. 2015년 Bloomberg의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50명'안에 선정되기도 했으며, 2021년 포브스가 선정한 ‘아시아의 자선가’로 선정되기도 했다. 베스트셀러 소설 ‘Offerings’의 작가이기도 함. https://www.metmuseum.org/press/news/2022/gift-from-michael-byungju-kim- 뉴욕을 대표하는 아트페어 행사인 아모리 쇼(Armory Show)가 9월 8일부터 11일까지 뉴욕 자비츠 센터(Javits Center)에서 개최 되었음. 이번 아모리에는 30여개국 총 247개의 갤러리들이 참여하였고, 특히 올해 아모리쇼는 비영리 재단, 10년 이하의 역사를 가진 신진 갤러리들이 참여하는 특별 프로그램 및 US 오픈 테니스 경기장을 비롯하여 도시 전역에 공공미술을 전시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등 공격적인 마케팅과 홍보에 주력하였음. https://news.artnet.com/market/go-to-guide-2022-armory-week-2166963 ㅇ 영화계 동향- 브로드웨이 스테이지(Broadway Stages)의 지나 아르젠토(Gina Argento)는 뉴욕시장이 최근 발표한 "재건, 회복 재창조(Rebuild, Renew, Reinvent)" 계획이 뉴욕의 텔레비전 및 영화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코로나19의 영향 후 다시 정상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표명. https://www.downbeach.com/2022/09/06/gina-argento-of-broadway-stages-discusses-mayor-adams-investment-in-new-yorks-film-industry/ https://www1.nyc.gov/office-of-the-mayor/news/531-22/mayor-adams-makes-major-investments-film-television-industry- 뉴욕시의 팬데믹으로부터 프로덕션 산업이 회복되도록 돕기 위한 노력에 팬데믹 전후 프로덕션 수가 사상 최고 도달▲뉴욕시에서 80개 시리즈 촬영▲2014년 이후 에피소드 제작 34% 증가▲또한 부르클린 소재 부쉬 터미널(Bush Terminal)에 있는 ‘메이드 인 뉴욕(Made In NY)' 캠퍼스를 포함 5개 자치구 전체 거의 1백만 평방피트의 생산 및 관련 공간이 새로 건설 및 개조. https://www.tvtechnology.com/news/nyc-strengthens-efforts-to-attract-tv-film-production ㅇ 요식계 동향- 전국 레스토랑 협회와 뉴욕주 레스토랑 협회(NYSRA)의 연구에 따르면, 뉴욕시의 외식 산업은 COVID-19의 여파로 계속해서 "광범위하고 압도적인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으며 완전한 회복을 위해 힘든 싸움을 할 것임이라 발표 ▲레스토랑은 185억 달러 이상의 가치가 있는 도시의 가장 중요한 산업 중 하나이지만 NYSRA의 최근 설문 조사 결과, 뉴욕 운영자의 41%가 현재 비즈니스 상황이 3개월 전보다 악화 ▲7/14~8/5간 설문조사에 응한 267개 레스토랑 운영업체 중 20%만이 지난 3개월 동안 비즈니스 상황 개선 http://www.chinadaily.com.cn/a/202209/13/WS631fde7aa310fd2b29e77416.html □ 한류 동향ㅇ 공연- 올 10월부터 브로드웨이에 진출하는 뮤지컬 “KPOP”에 출연하는 전체 캐스팅이 공개됨. 이미 공개된 주연배우 루나를 비롯하여 걸그룹 스피카에서 ‘보형’으로 활동했고 현재 듀오그룹 킴보에 소속돼 있는 김보형과 걸그룹 미쓰에이에서 ‘민’으로 함께 했던 이민영, 보이그룹 유키스에서 ‘케빈’으로 활동했던 케빈 우 등 아이돌 출신 가수들이 출연함. 이들을 비롯하여 출연진 중 총 16명의 배우들이 이번 뮤지컬을 통해 소위 “꿈의 무대”로 불리우는 “브로드웨이” 무대에 데뷔하게 됨. www.theatermania.com/broadway/news/kpop-completes-broadway-casting_94199.html ㅇ Kpop- 버라이어티 매거진, 버라이어티 팟케스트 “엄격한 사업(Strictly Business)”의 에피소드에서 케이팝 공연 은 이산가족 상봉과 같다 표현▲미국의 주류 엔터테인먼트 대기업에서 크게 벗어나 K-pop의 성장은 한국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침. https://variety.com/2022/digital/news/kcon-kpop-ateez-enhypen-itzy-strictly-business-1235349393/?fbclid=IwAR3BqIS0eLTZZh9Krs9ohTm_j3kgIP4HI-svS8wpeTLHLG54k1RgUE5wa6g ㅇ 영화(드라마)- 필름 앳 링컨센터 주최 “제60회 뉴욕영화제” 개최(9.30~10.16), 박찬욱 감독의 <헤어질 결심>과 홍상수 감독의 <소설가의 영화> 초청 상영▲박찬욱 감독, 영화제 참석 관객과의 Q&A 진행. https://www.filmlinc.org/nyff2022/sections/main-slate/- 2022 에미상,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의 황동혁 감독과 배우 이정재가 TV 드라마(비영어) 시리즈 부문 감독상과 남우주연상 수상▲이정재 아시아 배우 최초 에미상 수상으로 새역사 기록. https://www.nytimes.com/2022/09/13/world/asia/squid-game-emmy-south-korea.html https://www.bbc.com/news/entertainment-arts-62796137 ㅇ 한식- 뉴욕타임즈, 한국 전통 “김장” 김치 관련 대서특필. ▲“샐러드를 만들 줄 안다면 김치를 만들 수 있다 (If You Can Make a Salad, You Can Make Kimchi)” https://www.nytimes.com/2022/08/22/dining/kimjang-make-kimchi.html- 뉴욕소재 다양한 한식당 오이지 미(Oiji Mi), 꽃(COTE), 큰집(The Kunjip), 초당골 등 추천식당 언론 보도. https://ny.eater.com/maps/best-new-nyc-restaurants-heatmap https://www.theworldandthensome.com/top-15-restaurants-open-on-thanksgiving-in-nyc-that-are-perfect-for-celebrating/ https://www.ft.com/content/43fb474f-1845-4cb2-89b7-0742d40dac07 https://coveteur.com/best-korean-restaurants-nyc □ 교육 분야 동향ㅇ 완화된 팬데믹 규제와 함께 뉴욕시 공립학교들 개학- 9월 8일 뉴욕시 공립학교들이 개학하면서 마스크 의무 착용을 없애고, 매일 작성하던 건강 검진 양식을 중단하는 등 대폭 수정된 규정을 적용함. 학부모들과 학생들도 이러한 변화를 환영하는 분위기. 또한 팬데믹 기간 동안 학생들이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받지 못한데 대해, 그 손실을 회복하려는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음. 뉴욕시 교사 1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베이에 따르면, 팬데믹 이전에 비해 학생들의 학습 수준이 현저히 뒤쳐진 상태. 이러한 손실을 만회해야하는 상황과 반대로 뉴욕시는 교육 예산을 크게 삭감하려고 하고 있어 학부모, 교사들과 갈등을 빚고 있음. https://www.nytimes.com/2022/09/08/nyregion/nyc-back-to-school.html □ 관광분야 동향ㅇ CDC, 코로나 거리두기 및 격리 규제 삭제- 현지시간 11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코로나 관련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발표. 코로나19 초기부터 시행해온 ‘6피트 거리두기’는 더 이상 권고하지 않음. 이전에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노출되면 증상이나 음성 판정 여부와 관계없이 최소 5일간 자가 격리하도록 권고했으나 이제부터는 코로나19에 노출됐더라도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았으면 격리하지 않음.- 다만, 코로나 19 유증상자와 밀접 접촉자 검진 권고는 유지됨. 양성판정을 받았을 경우 자가 격리를 하고 다른 사람을 접할 땐 마스크를 착용해야하는 의무 또한 그대로임. 요양시설 등 고위험군 환경에서는 여전히 정기적인 선별 검사를 하도록 권장하고 있음- 새로운 가이드라인은 거의 모든 미국인들이 백신 접종이나 감염 등으로 어느 정도 면역력을 갖췄다고 판단하여 내린 조치라고 함. 그레타 마세티 CDC 현장역학예방과(Field Epidemiology and Prevention Branch) 수장은 “현 상황은 지난 2년간의 상황과 매우 다르다”면서 “높은 수준의 집단 면역 덕분에 사람들이 코로나19 중증에 걸리지 않도록 중점을 둘 수 있게 됐다”고 전함.- CNN은 이에 “새 방역 지침은 2년 전 대유행이 시작된 이후 얼마나 상황이 달라졌는지 보여주는 신호”라며 “장기적으로 코로나19와 공존해야 한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전함 주뉴욕 한국문화원 | 2022.09.14
    상세보기
  •  [미국 / 뉴욕] 8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미국 / 뉴욕] 8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 문화예술 정책ㅇ 공연계 동향- 7월 1일부터 브로드웨이 극장 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는 해제되었음. https://www.nytimes.com/2022/06/21/theater/broadway-mask-mandate.html ㅇ 미술계 동향- ARTnews가 지난 6월, 그룹 BTS의 리더 RM이 미국의 예술기관과 미술계에 미치는 광범위한 영향력에 대한 특집기사를 게재한데 이어 최근에는 RM과의 심층 인터뷰 기사를 소개하는 등 음악시장을 넘어 글로벌 문화예술계 전반에서 BTS의 가치와 문화적 파급력을 확인할 수 있었음. 이번 기사에는 RM의 아트바젤 팟캐스트 출연 소식 및 Google과의 협력 등 그가 최근 세계 미술계에서 차지하는 영향력에 대한 소식과 더불어 개인 인스타그램에 작품을 올리는 이유 및 방문하고자 하는 미술관, 작가를 선정하는 기준, 앞으로의 계획 등을 자세히 다루고 있음.https://www.artnews.com/list/art-news/news/btss-rm-has-sent-k-pop-fans-flooding-to-art-museums-thanks-to-his-instagram-1234632793/bts-rm-art-influence/ https://www.artnews.com/art-news/news/btss-rm-interview-kpop-fine-art-1234635267/ ㅇ 영화계 동향- 뉴욕시장, 영화 및 텔레비전 산업에 대규모 투자 ▲영화 및 TV 부문의 포용적 성장 주도 ▲뉴욕의 창조 경제에 투자 ▲업계를 보장하는 "재건, 갱신, 재창조" 경제 회복 청사진의 세 가지 핵심 구성 요소 발표 ▲제작 정책 및 프로그램을 조언하기 위해 만들어진 최초의 영화 및 텔레비전 제작 산업 위원회의 도입 포함 https://www1.nyc.gov/office-of-the-mayor/news/531-22/mayor-adams-makes-major-investments-film-television-industry- 스트리밍 서비스가 지역 영화관 비즈니스에 위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대중을 끌어들여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하는 것과 관련하여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생각하기 시작 https://www.nbcnewyork.com/entertainment/local-movie-theaters-in-ny-rethink-experience-as-streaming-services-impact-business/3799296/ ㅇ 요식계 동향- 뉴욕 시의회는 NYC의 Zoning Resolution에 대한 Open 레스토랑 구역화 텍스트 수정안을 승인 ▲영구적인 야외 식사를 도시 생활의 일부로 만들기 위한 중요한 단계 ▲구역 수정안은 야외 식사가 모든 NYC 이웃으로 고려될 수 있는 영역을 확장 ▲식당 소유주에 대한 관료주의를 줄이기 위해 제안된 입법 변경 사항에 합류 https://www.6sqft.com/nyc-council-approves-zoning-amendment-in-move-toward-permanent-outdoor-dining/- 7월 29일, Big Apple 거주자 그룹(35명)은 전염병 동안 시작된 야외 길거리 식사 프로그램에 반대하는 소송 ▲과도한 소음, 교통 및 보도 혼잡, 쓰레기 및 통제되지 않은 설치류 개체수 등 다양한 불만 사항을 오픈 레스토랑 프로그램 종료 사유 ▲맨해튼, 브루클린, 퀸즈, 브롱스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이 야외 좌석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COVID-19 발생 기간 동안 식당과 Bar가 살아남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임시 오픈 레스토랑 프로그램에 도전하는 사람들에 의해 제기 https://nypost.com/2022/08/01/nyc-pandemic-era-outdoor-dining-sheds-destroying-quality-of-life-with-rats-drugs-noise-suit/https://www.amny.com/news/lawsuit-to-end-outdoor-dining-new-york-city/ □ 한류 동향ㅇ 뉴욕공립도서관 주최 “댄스 파티 NYC”, K팝을 대표 이벤트로 개최- 뉴욕공립도서관을 주축으로 퀸즈, 브루클린 공립도서관 등이 협업하여 뉴욕시 5개 보로 전역에서 8월 6일 하루 동안 펼쳐진 “댄스 파티 NYC”행사에 뉴욕한국문화원이 공동으로 K팝을 테마로 개최한 “댄스 파티 NYC: 아이러브댄스 & DJ 감마 바이브” 행사가 메인 이벤트로 선정되어 맨해튼 42번가 & 5 애비뉴 뉴욕공립도서관 야외 광장에서 개최됨. www.nypl.org/events/programs/2022/08/06/dance-party-nyc-i-love-dance-dj-gamma-vibes ㅇ 링컨센터 & 뉴욕한국문화원, 뉴욕 최초 대규모 K-인디음악 콘서트 개최- 뉴욕한국문화원과 링컨센터가 공동주최로, 뉴욕 최초 K-인디 밴드 음악을 소개하는 대규모 야외 콘서트, “K-인디 뮤직 나이트”를 성황리에 개최. 한국을 대표하는 인디 밴드인 그룹사운드 ‘잔나비’와 ‘안녕바다’가 참여하여 K팝을 넘어 K-인디음악을 소개하는 첫 공연을 펼쳐 4천 여 명의 뉴요커들을 사로잡음. https://www.kocis.go.kr/kocc/view.do?seq=1042335&page=1&pageSize=10&photoPageSize=6&totalCount=0&searchType=menu0023&searchText=&ctrcode=CTR0004 ㅇ 센트럴파크를 뜨겁게 달군 K팝의 열기, “코리아 가요제” 개최- 뉴욕한국문화원과 뉴욕시공원재단이 공동주최로, 뉴욕을 대표하는 여름 연례 야외 축제인 썸머스테이지(SummerStage)의 메인 무대인 센트럴 파크 공연장에서 최초로 K팝만으로 구성된 라인업의 콘서트, “코리아 가요제”를 성황리에 개최. 2017, 2018년도에 이어 3회째 개최된 이번 〈코리아 가요제>에는 미국인 K팝 가수인 “알렉사(AleXa)”, 보이그룹 “골든차일드”, 걸그룹 “브레이브걸스”가 참여, 5천 여 명의 뉴요커들을 사로잡음. https://www.kocis.go.kr/kocc/view.do?seq=1042102&page=1&pageSize=10&photoPageSize=6&totalCount=0&searchType=menu0023&searchText=&ctrcode=CTR0004 ㅇ K-POP- 뉴욕의 샌트럴파크에서 SummerStage, '코리아 가요제'는 뉴욕한국문화원 공동으로 K-POP 콘서트로 알렉사, 골든차일드, 브레이브걸스를 초청 개최 https://www.billboard.com/music/pop/summerstage-inaugural-korea-gayoje-k-pop-concert-1235114280/ https://www.allkpop.com/article/2022/07/brave-girls-golden-child-and-alexa-perform-at-korea-gayoje-in-nyc ㅇ 영화 (드라마)- 영화감독 봉준호, 새로운 SF 영화 가제 제작 준비 발표 ▲영국의 Warner Bros. Studios Leavesden에서 작업 시작 https://epicstream.com/article/parasite-director-bong-joon-ho-new-film-renowned-filmmakers-3rd-english-language-movie-mickey7-starts-shooting- 2022 뉴욕아시안영화제 개최(7.15~7.31), 한국 영화, 배우 등 ‘최고의 연기상’, ‘최고의 액션상’, ‘최고의 관객상’, ‘국제 라이징 스타상’ 등 각종 상 수상 https://www.thenews.com.pk/latest/975455-famous-korean-celebrities-become-award-recipients-at-the-new-york-asian-film-festival https://www.soompi.com/article/1536481wpp/jang-hyuk-kim-hye-yoon-and-ryu-seung-ryong-announced-as-award-recipients-and-attendees-of-new-york-asian-film-festival https://www.screendaily.com/features/its-hard-to-be-so-angry-all-the-time-koreas-kim-hyeyoon-on-playing-the-girl-on-a-bulldozer/5172838.article- 포브스, 2022 뉴욕아시아영화제 한국영화 'Alienoid'와 'Confession' 등 상영 소개 https://www.forbes.com/sites/joanmacdonald/2022/07/10/2022-new-york-asian-film-festival-features-alienoid-and-confession/?sh=54d89288468d ㅇ 한식- 뉴욕 한식당 아토믹스(Atomix), 세계 50개 최고 식당에 33위로 선정 https://www.cnn.com/travel/article/worlds-50-best-restaurants-2022/index.html https://www.eater.com/worlds-50-best-restaurants-awards/22960670/worlds-50-best-restaurants-2022-list-winners https://www.bonappetit.com/story/worlds-50-best-restaurants-2022-winners https://www.forbes.com/sites/ceciliarodriguez/2022/07/19/the-worlds-50-best-restaurants-2022-revealed-geranium-in-copenhagen-at-the-top/ □ 교육 분야 동향ㅇ 대법원, 뉴욕시 공립학교 예산 삭감 재고 명령- 교육부가 뉴욕시 공립학교 예산을 2억 달러 가량 대폭 삭감한데 반대하여 학부모들과 교사들이 소송을 제기한데 대해, 대법원 판사인 Justice Frank는 시의회에 본 건을 재고할 것을 명령함. 따라서 시의회가 예산 삭감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까지 교육부는 작년도 예산에 따라 뉴욕시 공립학교에 대한 지원을 계속하게 됨. 올해 5월 에릭 아담스 시장은 비상 선언(Emergency Declaration)을 통해 예산 삭감안에 대한 시의회의 찬성을 얻은바 있지만, 학부모와 교사 집단은 이로 인해 충분한 정보가 사전에 제공되지 않았음을 지적하며 절차상의 문제가 있었다고 비판함. https://www.nytimes.com/2022/08/04/nyregion/school-budget-cuts-new-york-city.html □ 관광분야 동향ㅇ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대응 방식 변화- 현지시각 18일 뉴욕타임즈는 미국에 오미크론 하위 변이 BA.5로 인한 코로나 19가 다시 확산되고 있다며 자체 집계에 따르면 미국의 최근 일주일간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는 12만 6,454여명으로 2주전에 비해 20퍼센트 증가함. 같은 기간 하루 평균 입원 환자 수도 올해 3월 초 이후 4개월 만에 4만 명을 넘어섬. 하루 평균 사망자도 2주전에 비해 9퍼센트 증가함.- 많은 보건 전문가들은 최근 확진자수가 급증하는 가운데 코로나19 경고 수준을 ‘높음’으로 상향 조정함. 다음 달의 상황이 어떻게 될지 예상하기 힘들다면서 코로나 확산 방지 대책 실행에 대해서 바이러스가 병원을 마비시킬 상황인지 보고 정하겠다는 입장임 주뉴욕 한국문화원 | 2022.08.17
    상세보기
  • [미국 / 뉴욕] 7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미국 / 뉴욕] 7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 문화예술 정책ㅇ 공연계 동향- 2022년도 제75회 토니어워드가 지난 6월 12일 뉴욕 라디오 씨티 뮤직 홀에서 아리아나 드보스(Ariana DeBose) 배우의 사회로 개최됨. 뮤지컬 부문 최우수 작품상은 극장 안내원으로 일하며 극작가를 꿈꾸는 흑인 동성애자의 좌절과 내적 갈등을 다룬 마이클 R. 잭슨의 자전적 이야기 “스트레인지 루프(A Strange Loop)”, 연극 부문은 투자회사 리먼브러더스의 흥망성쇠를 다룬 “리먼 3부작(The Lehman Trilogy)”이 차지함. 한편, CJ ENM이 공동 프로듀싱한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의 음악과 생애를 다룬 최초의 뮤지컬 “MJ”도 남우주연상 등 4관왕을 달성함 https://www.tonyawards.com/ https://www.nytimes.com/2022/06/12/theater/broadway-tony-awards-2022.html-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차기 대표 및 단장(President and Executive Director)으로 현 워싱턴 DC 내셔널 심포니 오케스트라 단장 게리 긴슬링(Gary Ginstling)을 임명함. 현 데보라 보다(Deborah Borda) 대표는 2023년 6월 30일에 사임 예정 www.nytimes.com/2022/06/17/arts/music/new-york-philharmonic-gary-ginstling-new-director.html ㅇ 미술계 동향- 메트로폴리탄 뮤지엄이 7월 1일부터 입장료를 인상, 종전 일반 입장료가 $25에서 $30, 노인은 $17에서 $22, 학생은 $12에서 $17로 각각 $5씩 올랐음. 하지만 뉴욕과 뉴저지, 커네티컷 거주민과 학생들은 메트 뮤지엄 매표소에서 신분증을 제시하면 무료로 입장할 수 있는 Pay as You Wish 정책은 유지한다고 밝혔음. 이번 입장료 인상은 2011년 이후 처음이며, 이로써 메트로폴리탄 뮤지엄은 뉴욕에서 가장 비싼 미술관이 되었음. 현재 뉴욕현대미술관(MoMA), 구겐하임뮤지엄, 휘트니뮤지엄은 성인 입장료가 $25로 책정되어 있음 https://www.metmuseum.org/visit/plan-your-visit ㅇ 요식계 동향- 뉴욕시 식당업계, 구체적인 야외 다이닝 계획 없어 답답함 호소, 주민 쓰레기 및 야외 테이블 설치물에 도로주차 부족 등 불평 https://www.thecity.nyc/2022/6/14/23168357/nyc-restaurants-wait-for-concrete-outdoor-dining-plan □ 한류 동향ㅇ 센트럴파크 썸머스테이지(SummerStage)에서 K팝 특집 공연, “코리아 가요제” 성황리에 개최- 7월 10일, 뉴욕한국문화원과 뉴욕시공원재단(City Parks Foundation) 공동주최로 “코리아 가요제” K팝 특집 공연이 5천여 명의 관객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 브레이브걸스, 골든차일드, 알렉사 등 3팀이 참여 https://kr.koreanculture.org/performing-arts/2022/07/10/korea-gayojeㅇ ABT 한인 무용수 한성우 & 박선미, 솔로이스트 승격- 아메리칸 발레 씨어터(ABT)는 ABT에서 활동 중인 한인 무용수 한성우와 박선미가 오는 9월 1일부터 솔로이스트로 승격됨을 발표(7.12). 현재 ABT에는 서희, 안주원 무용수가 수석무용수로 활약 중이며 코르드발레에는 서윤정이 활동 중임 https://www.abt.org/2022-promotions-announced/ www.nytimes.com/2022/07/12/arts/dance/ballet-theater-promotions-daniel-camargo-catherine-hurlin.htmlㅇ 한인 피아니스트 임윤찬, 미국 반 클라이번 콩쿠르 우승- 한인 임윤찬 피아니스트가 제16회 미국 반 클라이번 국제 피아노 콩쿠르(Van Clibur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에서 60년 역사상 역대 최연소로 우승을 차지함. 2017년 동 대회에서 선우예권 피아니스트에 이어 연속으로 한국인 피아니스트가 우승을 거머쥐었음. 임윤찬은 또한 신작 최우수 연주상과 관객상 또한 차지함 www.nytimes.com/2022/06/19/arts/music/cliburn-pianists-south-korea-russia-ukraine.html ㅇ K-POP- BTS 팬들, 업계 그룹 중단이 '한국 음악 산업의 미래'에 해를 끼칠 것이라고 주장한 후 분노 https://www.rollingstone.com/music/music-news/bts-hiatus-backlash-korea-singers-association-lee-ja-yeon-1372231/?fbclid=IwAR1CUFcyYfgSA0PKywsXSnQ_DkLRSk4n56buFvyMFbAOx5xp5QnqoMbmIIM- KCON LA 2022, 두 번째 헤드라이너 세트 공개 https://nextshark.com/kcon-la-2022-reveals-second-set-of-headliners/ ㅇ 영화 (드라마)- 트라이베카영화제(Tribeca Film Festival) 개최(6.8~6.19), 한인영화 감독의 영화 <오마주>, <리커스토어 드림> 등 상영 및 특별 프로그램인 “Missing Pictures”에 이명세 감독 초청 및 에피소드 소개 ▲영화감독 초대하여 영화의 몇 가지 요점, 영화가 그들에게 중요한 이유, 제작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하는 기회 제공 https://tribecafilm.com/festival/film- ‘트라이베카 이머시브((Tribeca Immersive)’ 전시, 이명세 감독이 <미싱픽쳐스(에피소드4): 아버지가 사라졌다>로 참여한 VR프로젝트 <미싱픽쳐스>가 초청 https://tribecafilm.com/films/missing-pictures-episodes-3-5-2022- 트라이베카영화제, 전시회장에서 관람객 사이에서 인기가 많았던 새로운 트렌드와 혁신적인 작업을 보여주는 VR 작품에게 수여하는 ‘스토리스케이프(Storyscape)’상에 권하윤 작가의 <구보, 경성 발랑> 수상 http://www.innerspacevr.com/blog/kubo-awards https://variety.com/2022/tv/awards/emmys-nominations-list-2022-1235313788/- 미국 TV 최고의 상인 에미상(Emmy Award) 후보 발표▲넷플릭스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주연상, 조연상, 미술, 음악, 스턴트 등 14개 부문 후보 선정 https://variety.com/2022/tv/awards/emmys-nominations-list-2022-1235313788/ https://news.koreadaily.com/2022/07/12/life/artculture/20220712225534432.html- 북미 12개 상영관 개봉 영화 <마녀2>, 첫 주말에 4만 7천만 수익 https://deadline.com/2022/06/well-go-usa-lands-rights-toalienoid-hansan-rising-dragon-more-1235051012/- 한국 컨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KOCOWA,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채널로 합류 ▲KBS, MBC, SBS, SK 텔레콤의 벤처 캐피탈 스트리밍 플랫폼 https://deadline.com/2022/06/korean-content-streamer-kocowa-brings-k-pop-k-drama-and-film-library-to-amazon-prime-video-1235046524/- 한국 영화 <독전 2> 넷플릭스 오리지널로 제작 확정 https://variety.com/2022/film/asia/netflix-korean-action-movie-believer-2-1235298659/- 파라마운트 플러스, 한국 티빙을 통해 런칭 https://variety.com/2022/streaming/asia/paramount-korea-tving-streaming-1235295921/ ㅇ 한식- 현지 언론 보도 ▲NYC의 K-Town 가이드: 최고의 K-Beauty, K-BBQ 및 K-Pop ▲야심 찬 이은지 페이스트리 셰프가 Flatiron에서 선보이는 자신의 프렌치-코리안 디저트 팰리스 ▲미슐랭가이드, 한식당 포함 25개 뉴욕시 식당 추가 소개 등 https://www.thetravel.com/guide-to-koreatown-in-nyc/ https://ny.eater.com/2022/6/28/23186337/lysee-pastry-shop-eunji-lee-manhattan-opening https://www.timeout.com/newyork/news/a-french-korean-dessert-gallery-just-opened-in-flatiron-063022 https://www.forbes.com/sites/melissakravitz/2022/07/13/michelin-guide-adds-25-new-restaurants-to-its-new-york-city-selections/?sh=52a74c12f352- 문화원, 현지 최근 미국인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한국식 핫도그, 호떡, 프라이드 치킨 등 다양한 한국의 길거리 음식을 모아 가정에서도 쉽게 요리하여 즐길 수 있도록 요리 시연 동영상 제작하여 소개 https://www.koreanculture.org/cuisine-tourism/2022/06/24/korean-street-food-06 □ 교육분야 동향ㅇ 뉴욕시 공립학교의 학생 수가 급감하고 재정적 지원이 감소됨에 따라 수 백명의 교사들이 해고될 위기에 처함. 팬데믹 기간 동안 연방 정부의 보조금에 의해 유지되어 오던 뉴욕시 공립학교들의 예산이 7월 1일부로 삭감되었는데, 이는 에릭 아담스 시장과 시의회가 전임자의 정책을 뒤집고 새로운 시 예산에 합의한 결과. 그에 따라 2천억 원에 육박하는 공립학교 재정이 축소되어야 하는 상황이어서 교사들의 수를 크게 줄이는 것이 불가피함. 이로 인해 한 반에 배정되는 학생 수가 증가하거나 음악/미술과 같은 특별 프로그램이 없어지는 등 학생들이 제공받는 교육의 질이 떨어질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학부모들과 교육자 집단 사이에서 나오고 있음 https://www.nytimes.com/2022/06/28/nyregion/nyc-schools-budget-cuts-teachers.html □ 관광분야 동향ㅇ 외국인 관광객 유치 위해 입국절차 간소화 추진- 현지시각 6월 6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코로나19 이후 각종 여행 제한으로 큰 타격을 입은 관광산업을 활성화할 ‘국가 여행·관광 전략'을 발표할 예정임. 이번 발표에는 코로나19 엔데믹 속에서 국경 제한을 해제하는 추세에 발맞춘 조치가 포함될 것으로 예상됨ㅇ 해외입국자 코로나19 검사 의무 폐지- 현지시각 6월 10일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12일(미국 동부시간 기준)부터 미국에 입국하는 해외 여행객들에 대한 코로나19 검사 음성 결과 제출 의무가 폐지됨. 이번 조치는 항공사들을 비롯해 여행업계에서 강력히 요구해온 내용이어서 여행업계에서는 이번 조치로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한편, 이번 조치와 관련하여 미국 입국 시 백신 의무접종요구는 여전히 유지하고 있으며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CDC는 90일마다 상황을 재평가하여 코로나19 음성 결과 제출 의무 폐지를 지속할지 결정할 것이라고 밝힘 주뉴욕 한국문화원 | 2022.08.12
    상세보기
  • [미국 / 뉴욕] 6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미국 / 뉴욕] 6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 문화예술 정책ㅇ 공연계 동향- 브로드웨이리그, 뉴욕시에 COVID-19 고위험 경고가 선언됨에 따라 브로드웨이 극장 내 마스크 착용 의무는 적어도 6월 30일까지 지속될 것임을 발표 (5.20) https://www.nytimes.com/2022/05/20/theater/broadway-masks.html- 2022년도 제75회 토니어워드가 뉴욕 라디오 씨티 뮤직 홀에서 아리아나 드보스 (Ariana DeBose) 배우의 사회로 개최 (6.12) https://www.tonyawards.com/ ㅇ 미술계 동향- 한국 브랜드 LG가 지난 6월 1일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2027년까지 5년간 구겐하임 미술관을 후원하고 현대미술의 혁신적인 예술가를 지원하는 내용의 'LG-구겐하임 글로벌 파트너십'을 발표했음. LG Guggenheim Art &Technology Initiative는 디지털시대 예술+기술의 융합을 발굴/지원하기 위한 중장기(5년+) 프로젝트임. 이번 파트너쉽에는 기존 구겐하임 뮤지엄을 대표하던 Hugo Boss Prize 후속으로 LG Guggenheim Award 라는 연례 어워즈가 제정되었고, 이외에도 총 4개국의 구겐하임 뮤지엄에서 LG 브랜드 홍보관 구축, 가장 핵심 지역인 뉴욕 구겐하임 (유네스코 헤리티지 지정 건축물)을 중심으로 연례 이벤트, 컨텐츠 파트너쉽, 대규모 전시(2026년)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라고 발표했음https://www.guggenheim.org/press-release/lg-and-guggenheim-establish-research-initiative-and-award-for-art-and-technology ㅇ 요식계 동향- 뉴욕타임즈, 뉴욕시 보건국, 주민들의 실내 마스크 착용 및 추가 예방조치 취할 것을 촉구 보도https://www.nytimes.com/live/2022/05/16/world/covid-19-mandates-vaccine-cases- ‘SWEAT(절도에 대비한 임금보장 법안-맨해튼 하원의원 Linda Rosenthal이 후원)' 임금 절도 법안을 둘러싼 뉴욕 레스토랑의 전쟁 ▲뉴욕주 상원은 직원들이 임금 청구를 제기할 때 고용주(또는 고용주가 주장하는) 자산에 대해 임시 유치권을 얻을 수 있도록 뉴욕의 유치권법을 수정하는 직원 친화적인 법안을 통과시킬 태세https://totalfood.com/new-york-restaurants-set-for-battle-over-sweat-wage-theft-bill/ □ 한류 동향ㅇ 로이드 서 극작가 연극 “중국여인” 드라마 데스크 어워드 후보- 한인 극작가 로이드 서의 연극 “중국여인(The Chinese Lady)”이 최우수 연극상을 비롯하여 드라마 데스크 어워드 5개 부문 후보에 지명됨. www.theatermania.com/broadway/news/2022-drama-desk-nominations-announced_93746.htmlㅇ ABT 여름 시즌 개막작 “돈키호테” 한인 수석무용수 공연- 아메리칸 발레 씨어터(ABT)의 아시안 최초 수석무용수로 발탁된 서희, 안주원 한인 무용수가 여름 시즌 개막작 “돈키호테”의 남녀 주인공으로 6월 13일, 링컨센터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하우스에서 공연http://ny.koreatimes.com/article/20220525/1416969ㅇ 바이올리니스트 김봄소리, 뉴욕필 “콘서트 인 더 파크” 협연-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연례 무료 여름 콘서트인 “콘서트 인 더 파크”의 협연자로 한인 김봄소리 바이올리니스트가 선정되어 6월 14일부터 19일까지 뉴욕시 4개 보로 공원 및 스테이튼 아일랜드 공연장에서 공연https://nyphil.org/parksㅇ “악단광칠” 한국 창작 국악밴드, 링컨센터 공연- 한국 대표 창작 국악밴드인 “악단광칠”이 링컨센터 여름 시즌 기획 공연 프로그램 메인 야외 무대에 초청받아 6월 15일 공연 https://www.koreanculture.org/performing-arts/2022/06/15/adg7 ㅇ Kpop- 빌보드, BTS, 백악관 기자 브리핑에서 아시아인을 겨냥한 증오 범죄에 강력한 메시지 전달 보도https://www.billboard.com/music/music-news/bts-white-house-press-briefing-1235079234/- 빌보드, 'BTS 라디오', Apple Music에서 2022년 최대 쇼 기록 경신 보도https://www.billboard.com/music/music-news/bts-radio-breaks-record-apple-music-1235079371/ ㅇ 영화(드라마)- 필름 앳 링컨센터, 홍상수 감독 회고전 개최(5/4~10), 감독과의 Q&A 관련 내용 소개 및 필름 앳 링컨센터 발간 <필름코멘트(Film Comment)> 매거진에 ‘뉴욕영화제’의 아티스틱 디렉터 데니스 림의 “홍상수 감독 회고전” 기획 및 홍감독의 영화세계 관련 기사 게재https://www.filmlinc.org/series/the-hong-sangsoo-multiverse-a-retrospective-of-double-features/https://www.filmlinc.org/daily/its-hong-oclock-somewhere-photos-from-the-hong-sangsoo-multiverse/https://www.filmcomment.com/blog/tale-of-cinema-dennis-lim-excerpt/- 한국영화 <범죄도시 2>, CGV·AMC 등 북미 15개 극장 한정 개봉, 리뷰 등https://screenanarchy.com/2022/06/from-south-korea-the-roundup-opening-in-us-movie-theaters.htmlhttps://www.voicesfromthebalcony.com/2022/06/02/the-roundup-2022-review/https://www.yahoo.com/entertainment/roundup-review-rip-roaring-sequel-052021012.html- 트라이베카영화제(Tribeca Film Festival) 개최(6.8~6.19), 한인영화 감독의 영화 <오마주>, <리커스토어 드림> 등 상영 및 특별 프로그램인 “Missing Pictures”에 이명세 감독 초청 및 에피소드 소개 ▲영화 감독 초대하여 영화의 몇 가지 요점, 영화가 그들에게 중요한 이유, 제작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하는 기회 제공https://tribecafilm.com/festival/filmhttps://tribecafilm.com/films/missing-pictures-episodes-3-5-2022 ㅇ 한식- 현지 언론 보도 ▲맨해튼 한식당 <마리(Mari)>, ‘핸드롤 오마까세로 전통을 뒤집다’라고 보도 ▲뉴욕시 꼭 가봐야하는 Top 10 한국 BBQ 식당 소개 ▲미전국내 최고 한식당 소개 ▲한인타운 베이커리 <베어도넛)> 소개 ▲한인셰프 에스터 최 운영 <먹바(Mokba)> 소개 ▲미슐랭 가이드, 뉴욕시 추천에 한식당 , 포함 21개의 새로운 레스토랑 추가 소개 등https://ny.eater.com/2022/6/1/23143308/mari-korean-handroll-temaki-kimbap-review-nyc-restaurantshttps://gothammag.com/best-korean-bbq-nychttps://www.mashed.com/800595/the-absolute-best-korean-bbq-restaurants-in-the-us/https://www.timeout.com/newyork/news/this-new-spot-in-koreatown-serves-bubble-shaped-donuts-051722https://dc.eater.com/2022/6/7/23157359/a-new-riverdale-food-hall-nets-nycs-hit-korean-eatery-mokbarhttps://www.forbes.com/sites/melissakravitz/2022/05/11/michelin-guide-adds-21-new-restaurants-to-new-york-city-recommendations/?sh=72dda8ec4c53 - 문화원, 현지 최근 미국인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다양한 한국의 길거리 음식을 모아 가정에서도 쉽게 요리하여 즐길 수 있도록 요리 시연 동영상 제작하여 소개https://www.koreanculture.org/cuisine-tourism/2022/05/27/korean-street-food-05 □ 교육분야 동향ㅇ 올 가을부터 뉴욕시에 위치한 1800여개의 초중고 학교들이 아시아계 미국인 공동체의 역사와 사회적 기여, 문화에 대해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시범운영함. 아시아계 미국인 아동·가족 연합 (Coalition for Asian American Children and Families, CACF)의 선임 교육 정책 코디네이더 카베리 센굽타 (Kaveri Sengupta)는 해당 교육 프로그램이 반아시아 증오를 없애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언급함. 정규 교육 과정은 교사들과 관련 커뮤니티로부터 피드백을 수렴한 이후인 2024년 봄부터 개시될 예정. 코네티컷, 뉴저지, 일리노이와 같은 타주들도 공립학교에서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역사에 대한 교육을 의무적으로 시행도록 하는 법을 통과시킴 https://www.nbcnews.com/news/asian-america/nyc-teach-asian-american-pacific-islander-history-1800-schools-rcna31247 ㅇ 5월 24일에 텍사스 유밸디 (Uvalde)에 위치한 한 초등학교에서 19명의 학생들과 2명의 교사를 무차별 총격하여 숨지게 한 사건이 일어나, 미국 전역의 학교 내 보안 규정이 강화되고 있음. 그러나 유밸디 학군은 이미 자체 경찰력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셜 미디어 모니터링, 위협 신고 시스템 등을 갖추고 있어 안전 계획을 재점검하는 것이 과연 총기 사고를 줄이고 학생들을 보호하는데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큰 상황임 https://www.cnn.com/2022/06/01/us/school-safety-nationwide-post-uvalde/index.html□ 관광분야 동향ㅇ 괌,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해제- 5.2일, 괌 주지사 루 레온 게레로가 5.3일부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해지함을 발표하며 코로나19 관련 방역 조치를 지속적 완화 및 폐지할 계획임을 밝힘- 또한, 급증하고 있는 여행 수요에 맞추어 현지 관광기반시설 운영을 재개할 것이며, 괌의 주요 관광지를 순환하는 트롤리 버스도 5.1일부터 재개함- 다만, 괌 정부는 면역 저하자, 백신 미접종자 등 고위험군은 마스크를 착용하기를 적극 권고하며 주민들이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길 바란다고 덧붙임 주뉴욕 한국문화원 | 2022.06.15
    상세보기
  • [미국 / 뉴욕] 5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미국 / 뉴욕] 5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 문화예술 정책ㅇ 뉴욕 공연계 동향- 브로드웨이리그, 5월 1일부터 대부분의 브로드웨이 극장에서 백신 접종 증명 체크는 더 이상 하지 않으나 41개 모든 브로드웨이 극장 내 마스크 착용 의무는 적어도 5월 31일까지 지속될 것임을 발표(4.15).* www.nytimes.com/2022/04/15/theater/broadway-coronavirus-mask-vaccine.html- 2022 토니어워드 후보작 발표(5.9). “스트레인지 루프(A Strange Loop)”가 11개 부문으로 최다 부문 후보 선정, “MJ”와 “파라다이스 스퀘어(Paradise Square)”가 10개 부문에 선정되는 등 흑인들의 이야기를 다룬 뮤지컬이 후보작으로 돋보이면서 문화예술계 BLM(Black Lives Matter) 영향력을 보여줌.* https://www.nytimes.com/2022/05/09/theater/tony-awards-nominees.html ㅇ 뉴욕 미술계 동향- 블룸버그 필란트로피에서 수행한 연구에서 최근 거리의 공공미술품(Public Art)이 교통사고 발생률을 현격하게 감소시킨다는 결과가 발표되었음. 약 2년간 뉴욕 포함 미국내 17개 도시의 도로, 횡단보도 및 지하도의 아스팔트 미술(asphalt art)과 교통사고의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 충돌사고가 약 1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연구에 따르면 이 같은 공공미술은 보행자들과 운전자들을 보다 여유롭게 만들어 사고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실제 ‘보행’ 표시가 없는 횡단보도에서도 예술작품이 있을 경우 운전자가 보행자에게 양보할 가능성이 27% 더 높게 나타났음https://hyperallergic.com/725316/public-art-decreases-traffic-accidents-report-finds/ㅇ 영화계 동향- TV, 영화 제작은 스트리밍 붐의 도움으로 Covid-19 이전으로 돌아가고 있음▲Covid-19 제한이 완화되고 있어 할리우드의 프로덕션 증가 추세https://finance.yahoo.com/news/film-tv-production-back-at-pre-pandemic-levels-aided-by-streaming-studio-ceo-201932125.html □ 한류 동향ㅇ 가수 알렉사, 미국 NBC ‘아메리칸 송 콘테스트’ 우승- 미국 출신 K팝 가수 알렉사(AleXa), 미국 NBC 방송 음악 경연 프로그램 ‘아메리칸 송 콘테스트(American Song Contest)’에서 우승을 거머쥐며 5월 15일 개최되는 빌보드 뮤직 어워드(Billboard Music Awards) 출연ㅇ Kpop- 전 세계 K팝 팬, 싸이와 BTS 슈가의 콜라보레이션 '댓댓' 감탄 ▲1주 만에 Spotify에서 거의 1,500만 스트리밍 기록 ▲뮤직 비디오 1억 이상 조회 수 기록https://www.billboard.com/music/music-news/suga-psy-paved-way-k-pop-bts-1235067985/- 문화원, 링컨센터 공동주최 DJ KDOTLIM 초청 “K-Pop Dance Night” 공연 개최https://www.koreanculture.org/performing-arts/2022/05/13/k-pop-dance-night-featuring-dj-kdotlim ㅇ 영화(드라마)- 필름 앳 링컨센터, 홍상수 감독 회고전 개최(5/4~10)https://www.filmlinc.org/series/the-hong-sangsoo-multiverse-a-retrospective-of-double-features/ ㅇ 한식- Bon Appetit, 떡볶이 등 레시피 소개https://www.bonappetit.com/recipe/tteokbokki-spicy-korean-rice-cakeshttps://www.bonappetit.com/sponsored/recipe/korean-rice-dumplings-with-raos-homemade-arrabbiata-sauce- 현지 언론 보도 ▲뉴욕시 Top 5 한식당 소개 ▲뉴욕시 최고 모던 한식당 소개 ▲미드타운 맨해튼 이탈리안 풍미가 가미된 전통한식당 소개https://original.newsbreak.com/@restaurant-review-1453573/2599084846834-top-5-most-popular-korean-restaurants-in-new-york-new-yorkhttps://ny.eater.com/2022/5/10/23056679/oiji-mi-opening-flatiron-nyc-may-2022https://www.timeout.com/newyork/news/this-midtown-restaurant-serves-traditional-korean-food-infused-with-italian-flavors-050622- 문화원, 현지 최근 미국인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한국식 핫도그, 호떡, 프라이드 치킨 등 다양한 한국의 길거리 음식을 모아 가정에서도 쉽게 요리하여 즐길 수 있도록 요리 시연 동영상 제작하여 소개https://www.koreanculture.org/cuisine-tourism/2022/04/29/korean-street-food-04 □ 교육분야 동향ㅇ 미국 대법원이 버지니아에 위치한 명문고 토마스 제퍼슨 과학기술 고등학교의 새로운 입학 규정을 승인하여 논란이 되고 있음.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 이후, 해당 고교는 인종적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표준화된 시험 성적을 평가항목에서 제외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 아시아계 미국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반발을 사고 있음.- 2021년부터 새로운 입학 규정이 적용됨으로써, 아시아계 미국 학생들의 입학 비율은 73%에서 54%로 크게 줄어들음.- 반면, 흑인 학생들의 입학 비율은 2% 미만에서 7%로 증가하고, 히스패닉 계열의 학생들은 3%에서 11%로 늘어났으며, 백인 학생들 또한 18%에서 22%로 증가함. https://www.nytimes.com/2022/04/25/us/politics/supreme-court-admissions-race.html?searchResultPosition=2 ㅇ 바이든 대통령이 학생들의 학자금 대출을 경감해주는 방안을 면밀히 살피고 있다고 발언하여 관심이 모아지고 있음. 그는 대선 캠페인을 펼치는 동안 모든 학생들이 $10,000에 해당되는 금액의 학자금 대출을 면제받게 될 것이라고 약속함.- 따라서 취임 후 지금까지 총 4회에 걸쳐 학자금 상환 유예를 해왔지만, 최종 결정이 계속해서 지연되자 지지자들로부터 많은 압박을 받아옴. 실제로 민주당원들 및 지지자들은 경제적, 인종적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50,000 이상의 대규모 면제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음. https://www.nytimes.com/2022/04/28/us/politics/biden-student-loan-relief.html?searchResultPosition=1 □ 관광분야 동향ㅇ 미 국토안보부, 육로/해로 외국인 여행객 대상 백신 규정 연장- 4.17일, 미 국토안보부(DHS)는 미국에 육로 혹은 해로로 입국하는 비시민권 국제여행객들에 대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확인 지침인 Title 19를 연장할 것이라 발표하였으며 만료 기한은 미정이라 함- 따라서 육로 혹은 해로를 통해 미국에 입국하고자 하는 외국인들은 앞으로도 입국 시 코로나19 백신 접종 기록을 제시하여야 함. 단, DHS는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협의 하에 코로나19 테스트 결과는 요구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하였다고 밝힘- 한편, 항공편으로 미국에 입국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코로나 백신 증명서와 코로나19 테스트 결과를 여전히 제시해야 함 ㅇ 델타 항공, 마스크 착용 거부 고객들을 비행금지 목록에서 제외- 4.20일, 델타항공은 마스크 착용을 거부해 비행금지 명단에 오른 사람들을 비행금지 목록에서 제외하여, 다시 항공편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 밝힘- 이는 연방법원이 대중교통 마스크 의무화 무효 판결을 내리며 마스크 착용이 선택 사항으로 지정된데 따른 조치임- 다만, 델타 항공은 단순히 마스크 착용을 거부하는 것보다 위반이 심각한 수준의 고객들의 경우에는 항공편 이용을 다시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 밝힘 주뉴욕 한국문화원 | 2022.05.24
    상세보기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