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전체동향

전체 1,573

페이지 156 / 158

게시물검색영역
  • 중국 축구 중장기발전 계획(2016~2050)

    중국 축구 중장기발전 계획(2016~2050)

    □ 주요 내용Ⅰ. 계획 개요Ⅱ. 주요 내용 1. 발전원칙2. 발전목표Ⅲ. 중점 분석 1. 더욱 명확해진 발전시간표2. 보다 계량화 된 발전목표3. 장소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4. 우수한 축구기업 배양5. 강화된 보장 조치6. 건전한 축구문화 조성*주요 내용 목차를 클릭하면 해당 부분으로 이동합니다.Ⅰ. 계획 개요1. 중국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2016년 4월 11일, 오는 2050년에 세계 최강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축구중장기발전계획(2016~2050) 》을 발표함2. 이번 계획은 중국국가발전개혁위원회, 국무원축구개혁발전부처연석회의판공실(중국축구협회), 국가체육총국, 교육부가 함께 참여하여 수립한 것으로3. 이는 중국축구사상 처음으로 명확한 시간적 발전계획이 포함된 보다 명확한 장기발전계획이라고 할 것임Ⅱ. 주요 내용1. 발전원칙ㅇ 지도사상: ;축구굴기의 꿈(夢), 체육강국의 꿈(夢), 민족부흥의 꿈(夢); 실현ㅇ 전략지위: 국민건강/경제의 중요사업, 체육강국의 중요기초, 민족정신의 중요 매개체ㅇ 발전원칙: 순환주기에 맞춘 지속적 발전, 개혁에 발맞춘 창조적 발전, 법과 원칙에 따른 모범적 발전, 발전성과 공유와 개방적 발전2. 발전목표ㅇ 단기목표(2016~2020): 기초실력 배양, 저변인력 배양, 인프라 구축 노력ㅇ 중기목표(2021~2030): 중국축구발전 동력확보, 활력강화, 영향력 확대 추진ㅇ 장기목표(2031~2050): 세계축구 일류강국 실현을 위한 전력 질주Ⅲ. 중점 분석1. 더욱 명확해진 발전시간표ㅇ 지난해 발표한 《중국축구개혁발전총체방안》에서는, 중국축구의 단기ㆍ중기ㆍ장기목표는 ;三步走(3단계 중국경제 발전론); 론을 규정하는데 비중을 두고 구체적 시간표는 공포하지 않았던데 비해, 이번 《중국축구중장기발전계획(2016-2050)》에서는, 단기목표(2016-2020), 중기목표(2021-2030), 장기목표(2031-2050)의 세 단계로 구분하는 등 목표기간을 명확히 하고 있음.ㅇ 중국축구도 중국축구 전문화 개혁을 시작한 뒤로부터, 여러 종류의 ;10개년 발전계획; 목표를 제정하였었으나, 그간 잦은 인원 변동 등으로 인해 눈앞의 이익과 목표에만 급급한 탓에, 부문별 업무에서의 엄격한 수직적;수평적 분할 관리 시스템 등의 이유로, 이러한 계획이 계획으로만 남고 실현되지 못하였던 것임ㅇ 그러나 이번 <계획>은 ;지속적으로 노력으로 장기적 성과를 낸다;는 장기발전 목표의 성격을 충분히 보여주면서, 거시적인 35년의 미래 중국축구의 권위 있는 지표의 국가차원의 축구발전계획을 만든 것으로 보임2. 보다 계량화 된 발전목표ㅇ 이 번 <계획>에는 ;제13차 경제개발계획;의 목표를 설정한 외에, 계획기간별 달성목표량도 구체화하고 있음.- 단기목표(2016~2020): 초?중학생이 평소 참가하는 축구활동의 인원이 3000만 명을 넘고, 전국 축구장의 수량은 7만 개를 넘길 것이며, 만 명마다 0.5-0.7개의 축구장을 갖춤- 중기목표(2021~2030): 만 명 당 1개 축구장 확보- 장기목표(2031~2050년): 축구 일류강국의 목표의 전력적 실현 등ㅇ 이 외에도 <계획>은 8분야의 ;전문칼럼;으로 구분, ;제13차 경제개발계획; 기간의 체제개혁, 교원축구, 축구장, 전문인재 배양 등 방면의 발전목표를 명확히 함. 현존 심판 수 2배 확보, 기초 양호 50개 도시에 축구동호회 시스템 구축 등3. 장소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ㅇ 도시화의 가속회화에도 불구하고, 체육시설의 공급 부족에다, 축구활동의 왕성화에 따라 공휴일에는 축구 할 곳을 찾기 힘들 정도로 축구 할 장소 부족이 매우 심각한 상태에 이름ㅇ 축구 특성화 학교 ;모두 1개 이상의 축구경기장;을 건설할 것을 명확히 함과 아울러, 조건이 갖춰진 대학 역시 ;모두 1개 이상의 표준 축구경기장;을 세워야 한다고 명시함.ㅇ 또한, ;제13차 경제개발계획; 기간에 전국적으로 6만 개의 경기장에 대한 보수 및 개조, 신축하기로 함. 소수 산간지역 외의 모든 현급 행정지역은 최소 두 개의 사회 표준 축구경기장을 확보하고, 중기목표 기간(2021-2030)동안엔 만 명당 한 사람씩 1개의 축구경기장을 갖게 됨4. 우수한 축구기업 배양ㅇ <계획> 중 ;;제13차 경제개발계획; 우수 축구기업 배양;은 ;2-3개 의 아시아 일류이자 세계적으로 유명한 축구클럽 배양, 중국 축구브랜드 구축, 여건이 되는 우수축구기업의 상장 추진 등을 명확히 함.ㅇ 동시에 <계획>의 ;;제13차 경제개발계획; ;축구+인터넷; 혁신행동;에서는 경기 중계 인터넷기술 개발, 핸드폰 앱 및 핸드폰 게임과 애니메이션 작품의 적극 활용 추진을 명확히 하고 있음.5. 강화된 보장 조치ㅇ <계획>은 축구사업 발전의 재정, 금융, 토지공급, 계획, 세금 등의 보장 수위를 더욱 강화함. ;조건에 맞는 축구용품, 경기 및 서비스 등에 대한 기업의 자본시장 진입 및 채권 발행 허용; ;축구경기장시설 건설계획의 도농발전계획 포함 및 토지이용 마스터 플랜의 연도별 용지계획에 포함; 등의 추진ㅇ <계획>은 동시에 4개의 관련 기관(중국국가발전개혁위원회, 국무원축구개혁발전부처연석회의판공실, 국가체육총국, 교육부)이 공동으로 실행에 옮기고 관리감독을하도록 명확히 함.6. 건전한 축구문화 조성ㅇ <계획>에서는 ;낮은 법치 수준, 옳지 않은 행동, 혼란스러운 경기 질서, 유능한 감독의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건전한 축구문화를 조성하고자 함ㅇ 이를 위해 전문적으로 ;축구문화 육성; 이라는 단원에서 ;신뢰도 높이기, 새로운 언론작용과 축구지원자의 정신 발휘 등의 조치를 통해 문명경기를 육성하고, 문명 관객의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하고 있음작성: 주상해 한국문화원(2016.04) 주상해 한국문화원 | 2016.08.05
    상세보기
  • 영국 정규 교육과정 내외 문화예술교육 정책

    영국 정규 교육과정 내외 문화예술교육 정책

    □ 주요 내용1. 정규 교육과정 내 문화예술교육 과목2. 정규 교육과정 외 문화예술 교육프로그램*주요 내용 목차를 클릭하면 해당 부분으로 이동합니다.1. 정규 교육과정 내 문화예술교육 과목□ 영국의 정규 교과과정에서는 시각예술, 공예, 음악, 연극, 무용 등 5개의 예술 장르가 교육되고 있음. 그러나 초ㆍ중등교육에서 예술 관련 독립 교과목으로 정식 개설된 과목은 시각예술과 공예 장르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미술ㆍ디자인, 음악 등 2개 과목에 한정되어 있으며, 연극의 경우는 영어교과에, 무용은 체육교과에 각각 포함되어 부분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음.▲ 이해를 돕기 위해 한국과 영국의 학제 과정 비교1) 초등교육과정 (Key stage 1 + Key stage 2)가) 미술ㆍ디자인 (Art & Design)- Key stage 1과 2를 포함한 전 초등교육과정에서 의무과목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교육부에서 제공하는 표준교과과정 가이드라인에 의해 자세한 교과 내용이 제시되고 있음.나) 음악 (Music)- Key stage 1과 2를 포함한 전 초등교육과정에서 의무과목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교육부에서 제공하는 표준교과과정 가이드라인에 의해 Key stage별로 교과 내용이 자세히 제시되고 있음.다) 연극과 무용 (Drama and Dance)- 연극과 무용의 경우 독립 교과로 개설되어 있지 않으며, 영어교과(English)와 체육교과(Physical Education) 내에서 제공되고 있음. 표준교과과정에서는 연극과 무용 관련 활동을 영어 및 체육교과에서 다룰 것을 권고하고 있음.2) 중등교육과정 (Key stage 3 + Key stage 4)가) 미술ㆍ디자인 (Art & Design)- Key Stage 3에서는 의무과목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Key Stage 4의 경우 개설 여부는 학교의 자율적 선택에 따름.나) 음악 (Music)- Key Stage 3에서는 의무과목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Key Stage 4의 경우 학교의 재량에 따름.다) 무용과 체육교과 (Dance and PE)- Key Stage 3부터 무용 관련 활동을 체육교과에 포함하여 제공할지에 대한 여부는 학교의 전적인 재량적 판단에 맡김. 따라서 무용은 중등교과과정에서는 선택 과목의 위상을 갖는다고 볼 수 있음.3) 초ㆍ중등교육과정상 예술 과목 및 예술 관련 과목의 교육 시수- 독립 교과 예술 과목을 기준으로 초등교과과정상 음악, 미술ㆍ디자인 수업의 연간 총 교육 시수는 연 30~33시간이며, 중등교과과정에서는 음악, 미술ㆍ디자인 수업이 Key Stage 3까지만 의무사항인 바, 중등과정 첫 3년 동안(Key stage 3) 각 과목의 총 교육 시수는 연간 각각 36시간이며, 총 72시간임.- 각 교과과정은 1년 36주를 기준으로 삼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초등교과과정 학생들은 주당 각각 대략 50~55분의 음악, 미술ㆍ디자인 수업을 받으며, 중등교과과정 학생들은 주당 평균 각각 1시간의 음악, 미술ㆍ디자인 수업을 받음.- 연극과 무용의 경우 각각 영어, 체육교과에 편입되어 있으며, 각 과목의 통합적인 교육 시수는 음악, 미술ㆍ디자인 과목에 비해 월등하게 높지만 해당 교과목 내에서 연극 활동과 무용 활동이 어느 정도의 비중으로 실행되고 있는지는 파악하기 쉽지 않음. ▲ 커리큘럼 단계별 문화예술교육관련 수업 시수 비교2. 정규 교육과정 외 문화예술 교육프로그램□ 학교 내 방과 후 프로그램ㅇ 영국 교육부에 따르면, ;방과 후 학교, 혹은 재량활동(extra-curricular activities); 제공은 의무로 지정되어 있음. 교육부가 발간한 ;Extended Schools: Building on Experience;에 따르면, 모든 초ㆍ중등학교는 교과 학습 보충 지도(homework clubs)를 비롯하여, 스포츠, 음악, 박물관ㆍ미술관 방문, 보육 지원 서비스 등으로 구성된 다양한 ;방과 후 학교(extended schools); 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제공할 의무가 있음. 이는 신노동당 정부하에서 시행되었던 아동청소년교육 정책녹서인 ;Every Child Matters;에서도 지속적으로 강조된 사항이었음.67 더불어 해당활동을 위한 별도의 예산 지원 제도를 시행하여 학교별로 방과 후 프로그램을 적극적 활용하도록 독려한 바 있음.ㅇ 그러나 연합정부 출범 후, 학교의 자율권 신장을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방과 후 프로그램은 학교별 재량적 판단에 의해 학업 성취도 및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중심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2011년 4월 이후 이와 관련된 예산 지원이 공립학교 자체의 행정예산지원액(Standard Funds) 안에 포함되도록 하였음. 정부의 이러한 조치는 곧 각 학교들이 방과 후 프로그램으로서 예술기관 방문 및 다양한 예술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보다 학업 성취도 신장과 관련된 활동을 제공하는 데 집중할 가능성이 커졌음을 시사함.ㅇ 다음의 사례는 일부 원하는 학교를 중심으로 방과 후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운영되는 바, 선별적이고 부분적인 프로그램임.- 박물관-학교 연계 프로그램 (Museums and Schools Programme)* 지역 소재 박물관과 학교 간 파트너십 연계 사업으로 교육부의 예산 지원을 토대로 ACE(Art Council England)에서 프로그램을 주관함. 총 100여 개의 학교를 참여 대상으로 삼고 있음.* 현재 10개의 파트너십이 지원되고 있으며, 각 파트너십에서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은 ACE의 National Portfolio Programme (3년간 행정 예산 지원을 받는 기관)에 속한 주요 박물관ㆍ미술관 10개 브리지 기관(일명 bridge organizations 일종의 거점기관)임.* 브리지 기관으로 지정된 주요 박물관은 담당 지역별로 해당 지역 소재 박물관ㆍ미술관과 학교간 파트너십을 매개할 의무를 가지며 이와 관련된 총 3,600,000파운드의 별도 예산을 ACE로부터 받게 됨.* 협력 기관으로 선정된 박물관은 학교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학교별 박물관 방문을 독려하는 방식으로 운영 예정임(학교의 경우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혹은 재량 활동의 일환으로 활용하게 될 예정).* 예산 규모: 2012~2015, 3년간 총 3,600,000파운드, 교육부 지원□ 학교 외 (외부 기관 및 단체 연계)ㅇ 학교 외 외부 기관 및 단체 연계와 관련된 사례는 교육부 및 예술위원회가 발표한 다음의 5개의 예술교육 정책 사업으로 정리됨.1) 뮤직 에듀케이션 허브 (Music Education Hubs)- 사업 개요 : 지역사회의 다양한 음악교육 관련 서비스에 관한 네트워킹과 정보 제공을 통해 청소년들의 음악 관련 예술 활동 기회 제공- 사업 성격 : 음악교육 / 지역-연계 파트너십 사업- 사업 대상 : 지역사회의 모든 5세~18세 청소년- 예산 규모 : 3년간 총 £171 million- 예산 출처 : 교육부(DfE)- 사업 기간 : 2012~2015년- 집행 주체 : Music Education Hubs로 지정된 거점 기관(공모를 통한 선정)2) 국립 미술ㆍ디자인 토요 클럽 (National Art & Design Saturday Clubs)- 사업 개요 : 지역사회의 다양한 미술교육 관련 서비스에 관한 네트워킹과 정보 제공을 통해 청소년들의 미술 관련 예술 활동 기회 제공- 사업 성격 : 미술교육 / 지역-연계 파트너십 사업- 사업 대상 : 지역사회의 모든 5세~18세 청소년- 예산 규모 : 3년간 총 £171 million- 예산 출처 : 교육부(DfE)- 사업 기간 : 2012~2015년- 집행 주체 : National Art & Design Saturday Clubs로 지정된 거점기관(공모를 통한 선정)3) 영국 하모니 시스테마 (In Harmony Sistema England)- 사업 개요 : 사회 소외 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유스오케스트라 사업- 사업 성격 : 음악교육 / 사회 소외 계층 대상 교육 지원 사업- 사업 대상 : 만 4세~11세 청소년(사회 소외 지역 기준으로 선정된 4개 지역 중심)- 예산 규모 : 3년간 총 £500,000 (2012/13: £250,000, 2013/14: £150,000, 2014/15: £100,000)- 예산 출처 : 문화미디어체육부(DCMS), 영국예술진흥원(ACE)- 사업 기간 : 2012~2015년- 집행 주체 : The Sage Gateshead(뉴캐슬지역). Nottingham City Council(노팅엄지역), Opera North(리즈지역), Telford & Wrekin Music(텔포드지역)4) 국립 유소년 무용 아카데미 (National Youth Dance Academy)- 사업 개요 : 무용에 재능 있는 청소년들에게 집중적이고 전문적인 훈련 : 기회를 제공, 전문 무용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양성하는 사업- 사업 성격 : 무용교육 / 예술 영재 사업- 사업 대상 : 지역사회의 모든 5세~18세 청소년(연간 30명 선발 기준, 총 90명 대상)- 예산 규모 : 3년간 총 £171 million- 예산 출처 : 교육부(DfE)- 사업 기간 : 2012~2015년- 집행 주체 : 새들러스 웰스(Sadler;s Wells)/공모를 통해 선정5) 국립 청소년 영화 아카데미 (National Youth Film Academy)- 사업 개요 : 영화에 재능 있는 청소년들에게 집중적이고 전문적인 훈련 기회를 제공, 전문 영화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양성하는 사업- 사업 성격 : 영화교육 / 예술 영재 사업- 사업 대상 : 영화에 재능 있는 만 16세 ~19세 사이의 청소년(총 5,000여명 대상)- 예산 규모 : 연간 £3,000,000씩 향후 3년간 총 £9,000,000 지원- 예산 출처 : 교육부(DfE)- 사업 기간 : 2012~2015년- 집행 주체 : The British Film Institute참고자료1. DCMS (2001) ;Culture and Creativity: the Next Ten Years;2. DfE (2010) ;he Importance of Teaching;3. DfE (2012) ;he Government response to Darren Henley; Review of Cultural Education;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국가별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작성 : 주영국 한국문화원 (2016.4) 주영국 한국문화원 | 2016.08.05
    상세보기
  • 인도 자국어 관련 법률 정책

    인도 자국어 관련 법률 정책

    □ 주요 내용1. 자국 언어와 관련된 주재국 내 관련법률;공공기관;주요정책 현황2. 한글 관련 상품 홍보;판매할 수 있는 언어 및 문자 관련 전시;박람회 행사 현황 및 개최 일정3. 한글 관련 홍보를 위해 접촉할 수 있는 공공기관 및 주요단체 현황참고. 자국 언어와 관련된 기타 언어사용 법률1. 자국 언어와 관련된 주재국 내 관련법률;공공기관;주요정책 현황- 전달의 수단과 교육으로써 언어는 아주 중요하다. 언어의 발전은 교육과 프로그램에 관련된 국가 정책에 중요한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인도정부는 힌디어를 비롯하여 헌법에 열거된 산스크리트어와 우르두어 등 21개의 언어들의 개발과 발전에 주목을 하고 있다. 이러한 헌법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해 고등교육부는 자치조직과 하부행정기관으로부터 도움을 받고 있다.① 자국 언어와 관련된 주재국 내 관련법률국회에서 사용되는 공식적인 언어는 힌디와 영어이다. 최고 행정법원장과 하원의장 등 이에 준하는 직책을 맡은 사람은 힌디와 영어를 사용한다. 경우에 따라 모국어로써 힌디 또는 영어로 적절하게 연설을 할 수 없는 사람을 허용하기도 한다.* 관련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에서 전체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음.Homepage: http://deity.gov.in/content/official-language-acthttp://www.languageinindia.com/april2002/constitutionofindia.html② 자국 언어와 관련된 주재국 내 공공기관ㅇ 언어 교육 주관 부서* The Government Department dealing with Language Education in India is Ministr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Homepage: http://mhrd.gov.in - Address: Deputy Director General (Statistics), Shastri Bhawan, New Delhi ; 110001- E-mail: bn.tiwari@nic.inㅇ 언어 교육 관련 대학1. Shri Lal Bahadur Shastri Rashtriya Sanskrit Vidyapeetha, New Delhi- Homepage: http://www.slbsrsv.ac.in/home.ASP- Address: Qutub Institutional Area, New Delhi ; 110016- Contact: 011-46060606(30 Lines)2. Rashtriya Sanskrit Vidyapeetha, Tirupathi- Homepage: http://rsvidyapeetha.ac.in- Address: Tirupati-517507, Andhra Pradesh, India- Contact: 0877-2287649/2287690/2288644/2286686/22861773. English and Foreign Languages University, Hyderabad- Homepage: http://www.efluniversity.ac.in- Address: The EFL University, Hyderabad -500 007, India- Contact:91-040-27098131,27689400,276896474. Mahatama Gandhi Antarashtriya Hindi Vishwavidyalaya, Wardha- Homepage: http://www.hindivishwa.org- Address: Gandhi Hills, Hindi Vishwavidyalaya, Wardha- 442005, Maharashtra, India- Contact: +91-7152-2309025. Maulana Azad National Urdu University, Hyderabad- Homepage: http://www.manuu.ac.in/Eng-Php/index-english.php- Address: Gachibowli, Hyderabad - 500 032- Contact: 91-040-23006612 ; 156. Rashtriya Sanskrit Sansthan, New Delhi- Homepage: http://www.sanskrit.nic.in- Address: Deemed University, 56-57, Institutional Area, Janakpuri, New Delhi-110058- Contact: 011-28520977/28521994/28524993/28524995*더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작성: 주인도 한국문화원(2016.04) 주인도 한국문화원 | 2016.08.04
    상세보기
  • 아르헨티나 한글 산업화를 위한 해외 언어관련 정책 조사

    아르헨티나 한글 산업화를 위한 해외 언어관련 정책 조사

    □ 한글 관련 상품 홍보를 위해 활용 가능한 행사 현황 및 계획ㅇ 한글 관련 상품을 홍보․판매할 수 있는 언어 및 문자관련 전시․박람회 행사 현황 및 개최일정* 부에노스 아이레스 국제도서전(Feria Internacional del Libro de Buenos Aires)- 설립년도: 1975년- 개최시기: 매년 4월 (2016년 제 42회 행사 일정: 4월 21일~5월 9일)- 운영주체: Fundaci;n El Libro- 행사기간 내, 평균 방문객: 1,200,000 명- 스페인어권 최대 규모, 세계 5대 규모의 국제도서전으로, 매년 부에노스 아이레스 시내에서 개최됨. 문화적 특성 상 책에 관심이 많은 아르헨티나에서 상기 박람회와 연계한 한글 관련 상품 홍보가 가능할 것으로 보임. 한국문화원은 매년 참가하여 한국관을 통해 한국의 주요 아이템을 소개하는 전시를 선보여 왔음* 아르헨티나 문화산업마켓(Mercado de Industrias Culturales Argentinas ; MICA)- 설립년도: 2011년- 개최시기: 홀수년도, 9월 3일 ~ 6일 (2015년 기준)- 운영주체: 아르헨티나 연방문화부- 전화: +54 (011) 3754-0376 / 0371- 주소: A. Alsina 465 7;piso, C1087AAE, Ciudad Aut;noma de Buenos Aires, Argentina- 이메일: mica@cultura.gov.ar- 홈페이지: www.mica.gob.ar- 2011년 첫 행사 개최 이후, 자국의 다양한 문화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격년제로 시행되고 있는 대규모 문화산업마켓. 공연예술, 시청각 프로덕션, 출판, 디자인, 게임 분야를 중심으로 한 워크숍, 쇼케이스, 컨퍼런스, 비즈니스 미팅 등이 열림※ 2015 MICA 카탈로그 다운로드:http://mica.cultura.gob.ar/wp-content/uploads/2015/09/CatalogoMICA2015web1.pdf ㅇ 향후 한글 관련 상품 홍보를 위해 접촉 가능한 주재국 내 공공기관 및 주요 단체 현황* 부에노스 아이레스 국립대학 - 디자인 및 건축학부(UBA;Universidad de Buenos Aires ; FADU)- 설립년도: 2011년- 개최시기: 홀수년도, 9월 3일 ~ 6일 (2015년 기준)- 운영주체: 아르헨티나 연방문화부- 전화: +54 (011) 3754-0376 / 0371- 주소: A. Alsina 465 7;piso, C1087AAE, Ciudad Aut;noma de Buenos Aires, Argentina- 이메일: mica@cultura.gov.ar- 홈페이지: www.mica.gob.ar- 2011년 첫 행사 개최 이후, 자국의 다양한 문화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격년제로 시행되고 있는 대규모 문화산업마켓. 공연예술, 시청각 프로덕션, 출판, 디자인, 게임 분야를 중심으로 한 워크숍, 쇼케이스, 컨퍼런스, 비즈니스 미팅 등이 열림* 부에노스 아이레스 메트로폴리탄 디자인 센터(Centro Metropolitano de Dise;o (CMD))- 주소: Algarrobo 1041, Barracas, Ciudad Aut;noma de Buenos Aires- 전화: (+54) 11 4126 - 2950- 이메일: distritodediseno@buenosaires.gob.ar- 홈페이지: http://www.buenosaires.gob.ar/cmd- 부에노스 아이레스 시가 운영하는 문화예술 관련 연구센터로 디자인 관련 창조산업을 지원하고 홍보하는 시정부의 창조산업부처 산하 기관. 장르 간 융복합을 장려하며, 디자인 및 문화산업 분야의 발전, 내수 및 해외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음.작성: 주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2016.04) 주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 | 2016.08.04
    상세보기
  • 아르헨티나 예술작품 지원 선정을 위한 심의제도 관련 조사

    아르헨티나 예술작품 지원 선정을 위한 심의제도 관련 조사

    □ Fondo Argentino de Desarrollo Cultural (문화진흥기금, 2014년 신설)은 오픈콜 방식을 통한 온라인 지원을 받아, 각 분야별(시청각, 공연예술, 시각예술, 출판, 음악, 멀티섹터 등) 해당 전문가 그룹에 의한 심의 진행※ 담당기관: 연방문화부(Ministerio de Cultura Presidencia de la Naci;n)- 전화 : (+54) 11-4129-2400- 주소 : Av. Alvear 1690, Ciudad de Buenos Aires, Argentina- 이메일 : info@cultura.gov.ar- 홈페이지 : http://www.cultura.gob.ar※참고자료: 아르헨티나 연방문화부가 펴낸 공공 문화예술 펀딩 가이드- PDF 가이드북 다운로드: Descargar gu;a (.pdf)ㅇ 연방 문화부는 국가에서 지원하는 모든 문화예술 관련 공공 지원금을 소개하는 책자로, 장르별 기금과 다장르 기금(23개)으로 분류되며, 총 125개의 펀딩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 장르는 공연예술(24개), 시각예술(11개), 시청각 산업(28개), 문학 및 출판(20개), 그리고 음악 분야(19개)로 나뉘어져 있음ㅇ Fondo Nacional de las Artes (아르헨티나 국립예술기금)은 문화예술 활동에 필요한 자금의 대출, 비영리 기관이나 정부 문화기관 등을 대상으로 하는 보조금, 오픈콜을 통한 수상제도, 문화예술 연구 활동을 위한 장학금 제도 등의 방식으로 지원함. 각 제도에 따라 다른 심의제도를 채택. 장학금의 경우 이사회에 의해 임명된 심사위원에 의한 심의※ 담당기관: 아르헨티나 국립예술기금 Fondo Nacional de las Artes- 전화 : (+54) 11 4343-1590- 주소 : Alsina 673 - CP 1087, Ciudad Aut;noma de Buenos Aires- 이메일 : fnartes@fnartes.gov.ar- 홈페이지 : www.fnartes.gov.ar작성: 주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2016.04) 주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 | 2016.08.04
    상세보기
  • 스페인 언어 관련 정책 조사 결과

    스페인 언어 관련 정책 조사 결과

    1. 해외 자국어 보급기관 운영 사례□ 세르반테스 문화원 (Instituto Cervantes, IC)ㅇ 기본현황ㅇ 설립근거ㅇ 기관 주요사업ㅇ 조직구성ㅇ 해외 세르반테스 문화원 운영 ※ 참고 : 세르반테스문화원 운영 포털 사이트ㅇ 스페인어 사이버교실(Aula Virtual de Espanol); 스페인 국내에서는 이민자를 위한 스페인어 강좌로 활용; 스페인 국외에서 활동의 예:2009년 AVE(스페인어 온라인 강좌)가 Starbuks사 내부 서버에 게시되어 미국내의 스타벅스사 종사자들이 스페인어 강좌를 들을 수 있도록 협정을 맺음2011년 4월 한국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에 개설되어DELE 시험, 스페인어 온라인 강좌 및 교사 양성강좌 등 운영자료 열람 및 타 기관과 협력하에 영화상영, 음악회, ;스페인의 날; 등 문화행사를 기획스페인어 전문가와 스페인어권 국가들의 문화보급과 관련된 단체의 활동지원 등http://ave.cervantes.es/ㅇ (세르반테스 사이버 센터)Centro Virtual Cervantes; 전시, 특수전문연구, 교육자재 등 스페인 언어 및 문화 관련 검색 사이트http://cvc.cervantes.es/ㅇ Circulo de Amigos del Instituto Cervantes; 기업이나 기관들을 대상으로 세르반테스 문화원을 후원하는 프로그램http://www.circulocervantes.es/ㅇ 스페인 언어 국제 학술대회; 1997년부터 2013년 스페인 및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에서 개최된 학술대회http://congresosdelalengua.es/ㅇ 스페인어 인증시험(DELE);1988년부터 시행된 외국어로서의 스페인어 능력시험A1, A2, B1, B2, C1, C2 등 총 6 단계로 구성http://dele.cervantes.es/ㅇ Espanol en Espana;스페인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스페인어 과정을 진행하는 센터 데이터 베이스http://eee.cervantes.es/es/index.aspㅇ 스페인어 교사 및 교수법 양성;외국어로서의 스페인어 교습관련 전반http://cfp.cervantes.es/default.htmㅇ HISPANISMO;스페인 언어(문학) 연구자 , 센터, 협회 등 소개;인터넷 상 히스패니즘 참고 센터 역할로 다음과 같은 정보 수집에 용의:* 스페인어가 배치되어 있는 대학 연구센터 서치* 스페인어 교사 및 스페인어권자 연합* 스페인어 관련 세미나, 국제 학술대회, 컨퍼런스 등 정보* 장학금, 특별 코스, 구직 정보* 관련된 링크 연계 등http://hispanismo.cervantes.es/ㅇ Sistema de Acreditacion de Centros Instituto Cervantes;세르반테스 문화원이 인증한 국제사회에서 스페인어 어학원 인증 정보 소개 사이트http://acreditacion.cervantes.es/ㅇ 세르반테스 문화원 비디오 사이트http://videos.cervantes.es/2. 언어 및 문자 관련 박물관 현황□ 스페인 언어박물관 (Museo de la Palabra)http://www.museodelapalabra.comㅇ 기관현황ㅇ 소재지ㅇ 설립목적ㅇ 주요활동 3. 언어 및 문자 관련 주요 기관□ 스페인 왕립 학술원(Real Academia Espanola, RAE)ㅇ 기관소개ㅇ 주요사업ㅇ 기관구성 및 운영※ 참고 : 범스페인어권 협력 추진*더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작성: 주스페인 한국문화원(2016.04) 주스페인 한국문화원 | 2016.08.04
    상세보기
  • 스페인 2016년 문화산업진흥정책 발표

    스페인 2016년 문화산업진흥정책 발표

    □ 주요 내용1. 스페인의 문화창조산업 현황2. 문화창조산업의 강점 및 약점 분석3. 2016년 문화창조산업진흥계획 주요내용*주요 내용 목차를 클릭하면 해당 부분으로 이동합니다.□ 스페인 교육문화체육부는 최근;2016년 문화창조산업진흥정책;을 발표(2016.3월)하고 다양한 문화예술분야의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발전을 위한 정부의 지원을 강화하기로 함. 이는 문화창조산업(ICC, Industrias Culturalres y Creativas) 분야를 21세기 주요 전략산업으로 지정한 유럽위원회의 ;유럽전략 2020;에 바탕을 둔 것임.ㅇ 이는 문화창조산업을 국가경쟁력과 고용창출을 위한 중요한 전략적 산업으로 인식하고 관광산업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분야인 문화창조산업을 집중 육성하겠다는 정부의 정책의지와 계획을 표명한 것으로 분석됨. 1. 스페인의 문화창조산업 현황ㅇ 주재국 문화창조산업은 국내 GDP의 3.5%를 차지하고 있으며, 종사자수 511,800여 명과 관련기업은 107,922개로 집계되었으며, 문화상품 수출액은 6억8천만 유로, 수입액은 8억유로로 주요 수출은 유럽지역(51%)과 중남미 지역(25.9%)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유럽지역 내에서 75.3%의 수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발표함.ㅇ 또한 가구당 문화소비는 전체 가구소비의 2.4%로 나타났으며 소비액은 가구당 653유로, 1인당 260유로 수준이며 선호 문화활동은 음악감상(87.2%), 독서(62.2%), 영화감상(54%), 문화유산방문(41.4%), 전시(39.4%)의 순으로 나타났음. 가장 성장하는 문화산업분야는 비디오게임 분야로 파악되었으며 유럽 제4위의 시장규모로 전년대비 6.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됨.2. 문화창조산업의 강점 및 약점 분석ㅇ 주재국 문화사업의 강점으로는 자국 문화예술의 풍부한 유산 및 전문가 집단, 자국 문화에 대한 대외적 명성과 인지도 등 풍부한 문화적 자산을 강점으로 지적함.ㅇ 다만, 경제위기 등에 타른 지원 재원 부족과 산업간 협업 체계 미비, 디지털 산업 모델로의 변화 노력 부족을 가장 큰 약점으로 적시하였으며 저작권 등 문화창조산업의 새로운 규범에 대한 적응 부족 등으로 인식함.ㅇ 이와 같은 정책환경 하에 문화창조 분야는 새로운 기술의 발전과 증가되는 디지털 수요 등이 제2외국어로 스페인어가 같는 세계적 위상과 규모, 세계 제3위의 관광국가가 갖는 문화적 기반을 토대로 2016년 3월부터 시행된 문화산업 분야의 세금감면 혜택(개인소득세 및 법인세 완화)과 맞물려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함. 3. 2016년 문화창조산업진흥계획 주요내용가. 정책목표ㅇ 세계 시장에서 우월적 지위를 확보하고 안정적 운영을 위한 수익과 효율성이 보장되도록 비영리단체 및 법인을 지원하여 관련기업 육성을 제고함.ㅇ 기관, 단체 등 관련 기관의 네트워크와 협업 체계의 구성을 장려하고 문화창조산업 내의 기술협력을 강화함.ㅇ 문화와 관련 전 분야에서 일자리를 창출하고 안정화하며 해당 분야의 대중적 인지도와 사회참여도를 높임.ㅇ 특히 주재국은 출판산업의 현대화 및 경쟁력 강화를 문화창조산업의 중요한 분야로 인식하고 지원하며 저작권 강화 등 지적재산권의 가치를 분석ㆍ제시 추진함.나. 주관부서 및 추진체계ㅇ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문화분야)가 총괄을 하며 부 전체과와 소속 수행기관이 추진하는 체계 마련- 도서문화산업정책국, 예술ㆍ문화재ㆍ박물관ㆍ도서관국 등 2개 국과 각 사업과 및 영상예술원(ICAA, Institute of Cinematogaraphy and Audiovisual Arts)와 공연예술원(INEAEM, National Institute of Performing Arts and Music) 등에서 협력정책 수행다. 주요 추진사업ㅇ 문화창조산업 혁신화 및 현대화 지원사업 (3,764,190 유로)- 문화 디지털콘텐츠 창작 및 보급을 위한 투자 홍보, 문화관련 기업의 해외진출 사업 지원, 기술 발전 및 혁신사업 지원, 일자리 창출 지원 등ㅇ 히스파넥스 지원사업 (180,000 유로)- 해외 학술기관에서 활동하는 연구자에게 스페인 문화 및 언어 관련 사업 지원 해외홍보 활동 지원ㅇ 이베렉스 지원사업 (80,000 유로)- 이베로아메리카 지역의 젊은 문화인력을 주재국 주요예술기관에서 인턴쉽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ㅇ 출판지원사업 및 서점 현대화, 번역사업 지원 등 (2,735,000 유로)- 스페인어 도서출판 활성화를 위해 작품 출간을 지원하고 서점의 인증제, 서점의 문화공간화 지원, 스페인어 작가의 작품 외국어 번역지원 추진ㅇ 문화창조산업 대출 및 보증사업 (11,260,000 유로)- 문화산업 창업 활성화를 위한 대출 및 보증지원ㅇ 인력양성 지원 사업 (742,490 유로)- 문화부 산하 기관에 실무인력 파견 사업 및 문화 인력 해외파견 사업 실시ㅇ 기타사업 - 스페인 문화포털 운영(www. spainculture.com), 저작권을 준수하고 양질의 문화서비를 제공하는 기업에게 우수기업 인증(Cultura en Positive) 제도 실시- 기업의 메세나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법안을 마련하고 동 가치에 대한 사회적 확산을 장려하는 사업 지원- 국제 문화산업 시장에서의 지위 향상을 위한 행사 및 전시회를 개최하고 해외마켓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홍보활동 지원 추진 등작성: 주스페인 한국문화원(2016.04) 주스페인 한국문화원 | 2016.08.04
    상세보기
  • 스웨덴 학교 예술교육 조사 결과

    스웨덴 학교 예술교육 조사 결과

    □ 주요 내용1. 스웨덴 학교 예술교육 제도2. 학교급 별 예술교과(음악, 미술) 교육내용과 수업 방식3. 스웨덴 학교 예술교육에 예술인 참여 사례4. 스웨덴 문화부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사업*주요 내용 목차를 클릭하면 해당 부분으로 이동합니다. 1. 스웨덴 학교 예술교육 제도ㅇ 스웨덴 교육제도 운영은 각 지자체가 담당하고 있는 바, 교육청은 과목별로 의무교육기간(Grundskola, 1-9학년) 중 달성해야 할 학습 목표와 이수 시간을 제시하며, 각 기초지자체(Kommun)는 이를 기반으로 지역 내 초중등학교의 학년별 과목당 수업시간을 자율적으로 배분< /p>[1학년에서 9학년까지 과목별 총 이수시간]󰋯음악: 230시간(전체 교과목 총 이수시간의 약 3%)󰋯미술: 230시간(전체 교과목 총 이수시간의 약 3%)* 총 이수시간 상위 3과목- 스웨덴어: 1,490시간 / 수학: 1020시간 / 사회(지리,역사,종교 등): 885시간* 기타 과목- 체육: 500시간 / 영어: 480시간ㅇ 학교 정규수업과정 이외에 각 기초지자체는 예체능 분야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시립문화학교(Culture school)를 운영하여 학생들의 예체능 교육 지원, 또한, 기초 지자체는 지역 소재 문화단체가 취학전학교 및 초중등학교 수업시간을 운영하는 프로그램 지원ㅇ 고등학교의 경우, 음악․미술 등의 예술 수업은 의무가 아닌 선택제 2. 학교급 별 예술교과(음악;미술) 교육내용과 수업방식가. 음악ㅇ 1학년에서 9학년에 이르기까지 전 학년 과정을 통틀어 가창과 악기연주, 청음, 음악 부호, 작곡 등 실기 위주의 기초 음악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디지털 음악 기기를 도입하는 등 새로운 교육방식 추진ㅇ 수업 목표- 음악 창작 및 감상 기술 향상- 표현과 소통 수단으로써의 음악을 습득하는 기회 제공- 다양한 형태의 목소리, 악기, 디지털 음악 기기, 이론적 개념 및 음악 부호에 대한 지식 습득- 가창과 악기 연주 교육 및 음악적 창의력 개발ㅇ 1학년에서 9학년까지 총 230시간 이수(전체 교과목 총 이수시간의 약 3%)나. 미술ㅇ 1학년에서 9학년에 이르기까지 전 학년 과정을 통틀어 이미지 프로세싱, 그림 도구, 그림 분석 이라는 커다란 틀 안에서 자신의 경험과 이야기에 기초한 그림 그리기, 사진 촬영, 그림을 통한 감정 표현, 다양한 도구를 이용한 2D 및 3D 이미지 창조와 활용, 사회;역사;도덕적 과점에서의 그림 및 이미지 분석 방법 등을 교육ㅇ 수업 목표- 그림이나 이미지를 통한 감정 및 메시지 표현 능력 향상- 디지털 기기, 다양한 도구 및 재료를 이용하여 그림과 이미지 창조- 역사적;현대적인 그림 및 이미지의 표현방식, 내용 및 기능 분석ㅇ 1학년에서 9학년까지 총 230시간 이수(전체 교과목 총 이수시간의 약 3%) 3. 예술인의 예술교육 참여ㅇ 스웨덴동부지역(스톡홀름, 웁살라, 외레브로, 달라나 등)작가협회(F;rfattarcentrum ;st)는 희망하는 학교에 작가를 파견하여 읽기 및 작문 수업을 진행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바, 학교에서는 수업 1회(60분 진행) 당 875 크로나(약 13만원)를 지불 4. 스웨덴 문화부의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관련 추진 사업ㅇ 스웨덴 문화부는 문화부산하 예술위원회(Swedish Arts Council)에 어린이 및 청소년의 예술 교육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 학교(유치원, 초중등학교 및 고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 확대 사업(Skapande skola)을 수주한 바, 2008년부터 매년 문화예술교육에 예산을 편성하여 투자ㅇ 2016년에는 약 1.8억 크로나(약 264억 원)가 상기사업에 편성되어 각 학교에 보조금 배정ㅇ 각 학교는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자체예산에 정부의 보조금을 더하여 음악, 미술, 문학과 관련된 수업을 확충하거나 각종 박물관 및 음악회, 연극 관람 등 다양한 문화 체험 활동 편성작성: 주스웨덴 문화홍보관(2016.04) 주스웨덴 문화홍보관 | 2016.08.04
    상세보기
  • 아르헨티나 국립예술기금 세부지원 내역

    아르헨티나 국립예술기금 세부지원 내역

    2016년 4월 14일(목), 아르헨티나 국립예술기금(별첨 참조)은 2016년 예산 규모와 주요 증액 사업을 발표하는 기자 간담회를 개최.※ 아르헨티나 연방문화부 홈페이지 관련공지 링크:"El Fondo Nacional de las Artes triplica sus beneficios"□ 주요 발표내용ㅇ 2016년 총 8천 만 아르헨티나 페소 (한화 약 64억원) 예산 투입- 2016년 실질 지원기금 예산: 약 4천 5백만 페소(36억원)- 2015년 과거 정권아래, 국립예술기금이 간접비용에 3천 5백만 페소(28억원) 지출한 것에 비해, 지원액 실지출은 천 4백만 페소(11.2억원)에 그친 점을 지적. 과거 정부와의 차별성 강조ㅇ 지원 분야에 ;디자인(Dise;o);및 ;문학(Letras); 분야 신설ㅇ 기금 후원을 위한 국가법(Ley Nacional de Mecenazgo) 제정 추진ㅇ ;독립 200주년 기념 특별 창작지원금(BECAS BICENTENARIO A LA CREACI;N);을 2015년도 책정 지원액의 약 3배인 건당 5만페소(4백만원)로 증액 (※ 2015년 지원금 규모: 건당 7천 ~ 1만 7천 페소)ㅇ 공모전(CONCURSOS) 모집분야를 2015년 10개에서 2016년 20개로 대폭 확대ㅇ 2016년 각 분야 공모전 평균 상금액 작년대비 40% 증액- 대상의 경우 기존의 4만페소의 5배인 20만페소(16백만원)로 대폭 증액ㅇ 7개 공로상 (상금: 1인당 10만 페소), 1개 공로대상 (상금: 20만 페소)ㅇ 예술가를 위한 저금리 대출 제도에 3개의 세부항목으로 구분1) 최대 3만페소(240만원)까지 무담보 소액대출 (고정 연금리 16.5%, 최장 24개월 분할상환)- 대출을 희망하는 예술가는 자신의 고정 수입을 증명할 필요 없이, 대출 신청 가능2) 개인 예술가에게 최대 15만페소(12백만원)까지 대출 (고정 연금리 16.5%, 최장 60개월 분할상환)- 대출을 희망하는 예술가는 수입 증명 필수,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보증인 필요3) 부동산을 담보로 최대 50만페소(40백만원)까지 대출 가능한 모기지론 (고정 연금리 7.5%, 최장 120개월 분할상환)<참고> 국립예술기금의 예술가를 위한 대출제도는 아르헨티나 국립은행에서 실시하고 있는 비슷한 형태의 대출상품의 금리에 비해 절반정도의 낮은 저금리로, 예술가들에게 큰 혜택을 주고 있음.ㅇ 부에노스 아이레스 내 독립 극장들의 조명 등 전기장치 재설치를 위해 필요한 비용을 저금리로 대출해주는 제도 신설 예정 (최대 15만 페소(12백만원), 고정 연금리 16%, 60회 분할상환)□ 현지 반응ㅇ 이는 지난 2월, 마끄리 정권에 의해 선출된 새 위원장인 까롤리나 비꾸아르드(Carolina BIQUARD)가;국립예술기금이 아르헨티나의 예술가들을 위한 전략적 투자자로서 나아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취임사를 발표한 이후에 이루어진 공식적인 첫 행보라 아르헨티나 문화예술계의 이목을 끌었음ㅇ 라 나시온, 클라린 등 아르헨티나 내, 주력 일간지들은 발표 직후인 4월 15일자 신문에 국립예술기금 증액 관련 발표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특집기사를 게재함- 라 나시온: ;Nuevos directores y m;s dinero para incentivar la actividad cultural;- 클라린: ;El Fondo Nacional de las Artes dar; m;s plata a los creadores;※ 2016년 아르헨티나 국립예술기금 지원 세부 정보 [별첨] 아르헨티나 국립예술기금 (FNA;Fondo Nacional de Artes)주 소: A. Alsina 673, C1087AAI, Ciudad Aut;noma de Buenos Aires, Rep;blica Argentina전 화: +54 (11) 4343-1590이메일: fnartes@fnartes.gov.ar홈페이지: http://www.fnartes.gov.ar/아르헨티나 국립예술기금(Fondo Nacional de las Artes)은 아르헨티나 내 예술가들의 문화예술 창작 활동을 지원하고 고무하기 위해 1958년에 창설되었다. 아르헨티나 국립예술기금의 선도적인 시스템과 설립취지는 1974년 유네스코 국제 문화 진흥 기금(IFPC: International Fund for the Promotion of Culture)과 같은 국제기금 및 다른 여러 나라의 문화예술진흥기금 관련 기관의 설립에 있어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아르헨티나 연방정부 문화부가 기금의 운영주체이며, 다양한 형태의 지원기금과 공모전, 대출제도 등을 통해서 아르헨티나 문화예술의 성장 및 확산을 지원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의 문화예술위원회(Arko)와 그 역할이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재정 지원 외에도 국립예술기금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국립예술기금의 문화예술도서관에는 13,000여 종의 단행본과 정기간행물, 전시 카탈로그 등이 소장되어 있으며 공모를 통한 전시 및 공연 진행, 영상물 대출, 워크숍 개최 등 다양한 형태로 문화예술 활동을 촉진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런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은 부에노스아이레스 및 지방 여러 곳에서 기금이 운영하고 있는;문화의 집(Casa de la Cultura)'에서 진행된다.현재 위원장 직은 사회적 기관의 경영 및 재정관리 스페셜리스트인 Carolina Biquard가 맡고 있으며, 각 분야 전문가들이 위원회를 구성하고 있다.작성: 주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2016.04) 주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 | 2016.08.04
    상세보기
  • 스웨덴 문화유산 및 언어관련 정책 조사 결과

    스웨덴 문화유산 및 언어관련 정책 조사 결과

    1. 조사 분야ㅇ 문화유산 등 박물관 소장 자료 확보를 위한 해외통관 규정ㅇ 언어․문자 관련 박물관 및 유사 박물관 현황ㅇ 언어․문자 발전 및 진흥을 위한 각종 정책 현황ㅇ 한글 산업화 기반 조성을 위한 해외 언어 관련 정책 및 사업 현황2. 세부 내용□ 통관규정(EU Council Regulation(EC) No 1186/2009)ㅇ 각 조직, 협회, 갤러리 또는 박물관이 상업목적이 아닌 교육․과학․문화적 목적으로 물품 수입을 할 경우 관세당국의 승인을 얻어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음.- 해당 물품으로 진행할 행사가 기술된 면세 승인 신청서를 관세 당국에 제출해야 하며, 각 물품은 개별적으로 기술되어야 하고 시청각 자료의 경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설명을 포함해야 함.- 면세 승인 신청서는 관세신고서를 포함해야하며, 신청자는 면세 조건 및 관련 의무 규정에 대해 숙지해야 함.- 승인된 통관 물품은 지체 없이 기술된 목적지로 배달해야 하며 모든 물품은 물품목록에 빠짐없이 기재되어야 함.□ 언어․문자관련 박물관 및 유사 박물관 현황(국․공립박물관)ㅇ 해당 없음(스웨덴 내 관련 박물관 부재)□ 언어․문자 관련 법률 및 관련 공공기관ㅇ 법률 : 언어법(Language Act, 2009)ㅇ 공공기관 : 문화부(Ministry of Culture) 산하 언어 민속 연구소(Institute for Language and Folklore)□ 자국 언어 발전을 위한 국가 정책 및 관련 사업 추진 현황ㅇ 언어 관련 정책 및 관련 사업은 주로 언어 민속 연구소에서 집행- 사 무 소 : 스톡홀름, 웁살라, 예테보리 소재- 주요사업 : 언어 관련 조사연구, 강연, 자문, 출판, 쉬운 언어 사용 기관 시상식 개최 등- 세부내용․언어정책 : 사회 내 언어 사용 현황에 대한 분석, 언어법 집행에 대한 모니터링, 공공기관에서의 쉬운 언어 사용 권장* 언어법 목적 : ⓛ스웨덴어와 다른 언어들의 상황과 사용에 대한 명시화(스웨덴어는 스웨덴의 국어, Finnish, Yiddish, Me;nkieli(Tornedal Finnish), Romany Chib and Sami 등 국가적 소수 언어 지정), ② 스웨덴어 및 언어 다양성에 대한 보호, ③ 모든 개인의 언어에 대한 접근권 신장․방언 : 방언 사전 및 교재 편찬,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명칭 : 스웨덴에서 역사적으로 사용된 명칭(이름, 지명 등), 명칭의 의미, 철자 및 발음에 대한 조사수집, 데이터베이스 구축, 지명의 적절한 형태에 대한 자문 제공 등․민속 : 19세기부터 현재까지의 수렵 및 농경사회 삶에 관한 이야기 등 주요 문화에 대한 아카이브 구축□ 한글 관련 상품 홍보를 위해 활용 가능한 행사 현황 및 계획ㅇ 한글 관련 상품을 홍보;판매할 수 있는 언어 및 문자관련 전시․박람회 행사 현황 및 개최일정 * 예시) 런던언어박람회, 문자관련 디자인 페어 등- 해당 없음ㅇ 향후 한글 관련 상품 홍보를 위해 접촉 가능한 주재국 내 공공기관 및 주요단체 현황- 언어 민속 연구소(Institute for Language and Folklore)홈페이지: http://www.sprakochfolkminnen.se전 화: +46 18 65 21 60이 메 일: registrator@sprakochfolkminnen.se작성: 주스웨덴 문화홍보관(2016.04) 주스웨덴 문화홍보관 | 2016.08.04
    상세보기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