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전체동향

전체 1,696

페이지 12 / 170

게시물검색영역
  • [스페인] 1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스페인] 1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 문화예술, 문화콘텐츠(문화산업) 정책 및 동향ㅇ 스페인, 2024 멕시코 과달라하라 국제도서전 주빈국 참여 성료- 스페인이 주빈국으로 참여한 2024 과달라하라 국제도서전*(FIL 2024)에 90만명 이상이 방문해 역대 최고기록 갱신(11.30일~12.08일) * 스페인어권 최대 규모 도서전으로, 국제적으로도 가장 중요한 도서전 중 하나 - 스페인관은 테마 ‘Camino de ida y vuelta‘ 아래 지속가능성, 도서 장르 다양성, 문화적 균형 등에 집중해 총 35개의 대담 개최 ※ 출처: 주재국 문화부 홈페이지ㅇ 아스투리아스 지방 사이다 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스페인 북부 아스투리아스 지방의 사이다 문화*(Cultura sidrera asturiana)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24.12.4일)* 아스투리아스 지방 고대 중세시대부터 이어져 온 사이다(Cider) 생산, 유통 및 소비와 관련된 관습 등이 지역 사회 결속을 증진시키는 요소로 인정※ 출처: 주재국 문화부 홈페이지□ 한류 동향ㅇ 마드리드 아마추어 e-스포츠리그 Circuito Tormenta 성료- 스페인 마드리드 최대 규모 박람회장 IFEMA에서 Circuito Tormenta* e-스포츠 토너먼트가 성황리에 마무리(12.13∼12.15일), 방문객 7만여 명 참가 * 주스페인한국문화원, GGTECH Entertainment, 스페인 라이엇게임즈 주최, 현지 신진 게이머들이 참여해 라이엇게임즈의 대표게임 토너먼트 진행 - 한-스페인 간 e-스포츠 교류 촉진 및 우승자에게 한국 여행 기회 제공※ 출처: EuropaPressㅇ 마요르카 팔마에서 첫 한국영화 상영회 개최- 스페인 한국문화원, 바르셀로나 총영사관과 함께 한국영화주간 영화제*를 씨네 씨우타트(Cine Ciutat)에서 개최(12.11일∼12.13일)* 스페인에서 가장 큰 섬인 마요르카 지역에서 처음 개최되는 한국영화 상영회- <파묘(감독 장재현)>, <끝까지 간다(감독 김성훈)>, <곡성(감독 나홍진)>등 상영, 마요르카 시민들에게 한국문화 교감 기회 제공※ 출처: Blog Visual 주스페인 한국문화원 | 2025.01.27
    상세보기
  • [아르헨티나] 2025년 1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아르헨티나] 2025년 1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 문화예술 분야ㅇ2025년 전시 시즌: 박물관과 문화 공간에서 만나는 주요 인물들- 2025년 전시 시즌은 아르헨티나 예술가들을 기리는 회고전과 창작 과정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전시들로 특징 지어짐- 큐레이터 공모를 통해 탄생한 공동 전시, 지역 예술계의 전위적 특성을 보여주는 전시, 과거와 현재의 대화를 엮는 역사적 단독 전시까지 다양한 프로그램 마련 출처: Clarín (https://www.clarin.com/cultura/temporada-exposiciones-2025-ano-nombres-propios-museos-espacios-culturales_0_MDzj7nsUHh.html)ㅇEnzo Traverso와 Luis Felipe Noé, 추모 공간 해체에 대한 국제적 반발- 아르헨티나에 있는 추모 공간이 교육·문화·법적 증거 역할을 하지만, 정부의 인력 감축과 유지 부족으로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음. 이에 대해 법원은 인력 배치와 공간 보존을 명령-아르헨티나 내 예술가, 학자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에서 밀레이 정부의 추모 공간 해체 조치에 대해 비판과 우려가 제기되고 있음. 특히, 이 공간들이 민주주의와 인권의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조치는 국제적으로도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음출처: La Nación(https://www.lanacion.com.ar/cultura/de-enzo-traverso-a-luis-felipe-noe-repudio-internacional-por-el-desmantelamiento-de-los-espacios-de-nid16012025/) □ 산업문화 분야ㅇ 문화 행사, 70% 이상이 민간 주도 또는 공공-민간 협력으로 개최- 아르헨티나 산업문화사업부의 연방 문화 시장 네트워크 조사에 따르면, 2025년에는 기존의 시장, 박람회, 축제를 발전시키고, 성장 가능성이 있는 행사들을 지원해 문화 시장을 강화할 예정출처: Argentina Gob Ar(https://www.argentina.gob.ar/noticias/mas-del-70-de-los-eventos-culturales-fueron-organizados-por-privados-o-con-articulacion) ㅇ 마리아나 엔리케스의 문학, 모든 장르의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다- "Como para no estar muerta con este día" 전시는 엔리케스의 문학 세계를 기리며 천 여 명의 예술가들의 작품을 전시- 조각에서 사진까지, 전시는 그녀의 서사가 현대 예술에 미친 영향을 담고 있어, 작가의 유산에 대한 시적이고, 공포적이며 시각적인 경의를 표하는 전시 출처: Clarín(https://www.clarin.com/cultura/literatura-mariana-enriquez-inspira-artistas-todas-disciplinas-exposicion-unica_0_ZAa81DfHbI.html) □ 스포츠 분야 ㅇ 다니엘 시올리, 마르델플라타 슈퍼 세븐 럭비 대회 관람 후 2025년 스포츠 계획 발표-관광, 환경 및 스포츠 장관 다니엘 시올리는 마르델플라타의 뉴베리 애슬레틱에서 열린 슈퍼 세븐 럭비 대회를 관람하고 2025년에 시행될 다양한 스포츠 정책 발표-'성장하는 클럽', '전국 에비타 스포츠 대회', '체육 입문 학교', '선수 장학금 및 연맹 지원' 등을 통해 스포츠 정책을 강화출처: Argentina Gob Ar(https://www.argentina.gob.ar/noticias/scioli-presencio-el-super-seven-de-rugby-de-mar-del-plata-y-anuncio-la-planificacion) ㅇ 강도, 압박, 정확성 부족: 아르헨티나 축구와 상위 리그 간의 격차-최근 몇 년간 인기가 떨어지고 있는 아르헨티나 축구는 기술적 분석보단 구조적 논의만 많음-반면, 전 세계 상위 리그들은 패스 증가, 슈팅 감소, 경기장 환경 개선, 선수 기술 향상, 예상 골(xG) 통계 등의 변화를 통해 경기 양상을 다르게 함출처: La Nación(https://www.lanacion.com.ar/deportes/futbol/como-se-juega-en-el-futbol-argentino-intensidad-presion-y-falta-de-precision-nid23012025/) □ 관광 분야ㅇ시올리: 인공지능의 도움으로 연간 1,000만 명의 국제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아르헨티나 관광, 환경 및 스포츠 장관 다니엘 시올리는 인공지능 기반의 관광 혁신 허브를 구축하고, 관련 전문가들과 협력하며, 관광 투자 가이드를 발행하여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아르헨티나 관광 산업의 잠재력을 알리려는 노력을 강조출처: Argentina Gob Ar (https://www.argentina.gob.ar/noticias/scioli-con-el-aporte-de-la-inteligencia-artificial-esperamos-llegar-los-10-millones-de) ㅇ 크루즈 시즌 기록 갱신-아르헨티나 크루즈 선박이 더 큰 규모로 들어오면서 관광객 수가 증가하고,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침-부에노스아이레스, 우수아이아, 푸에르토 마데린 세 항구 모두에서 크루즈 선박의 도착이 증가했으며, 이로 인해 관광 수입이 2억 달러를 초과하고 25,0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됨출처: Argentina Gob Ar(https://www.argentina.gob.ar/noticias/record-en-la-temporada-de-cruceros) 주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 | 2025.01.27
    상세보기
  • [베트남] 2025년 1월 주재국 문화예술 동향 보고

    [베트남] 2025년 1월 주재국 문화예술 동향 보고

    □ 문화콘텐츠(문화산업) 정책ㅇ "달랏의 꽃 – 색깔의 교향곡"의 주제로 개최한 "제10차 달랏 꽃 페스티벌" 개막식이 12월 5일 럼동성 달랏시 럼비엔 광장에서 열렸다. 달랏시의 꽃 산업 잠재력과 럼동성 시민의 문화·인문 가치를 홍보하기 위해 다양한 문화예술 행사로 포함한 올해 페스티벌이 12월 5~31일 기간 동안 럼동성 전역에서 추진되었다.ㅇ 베트남 문화체육관광부는 꽝찌성 인민위원회와 협력하여 꽝찌성에서 12월 14~16일 3일간 "2024 베트남 민족 문화 축제"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베트남 전국 16개의 성·시에서 온 장인들은 꽝찌성에 모여 각 지방의 전통문화의 아름다움을 홍보하고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ㅇ 베트남 인민군대 창건 80주년을 맞이하는 가운데 베트남 문화체육관광부 영화국은 까오방성에서 영화주간을 추진하였으며, 호치민시는 12월 21~22일 "베트남 인민군대 – 창건, 전투와 성장" 사진전을 개최하는 등 여러 기념행사가 진행되었다. □ 관광 정책 ㅇ 하노이 시는 세계관광어워즈에서 6년 연속으로 수상하였으며, 특히, 올해 하노이는 "아시아 최고의 도시 도착지", "아시아 최고의 단기 관광 도시 도착지", "베트남 최고의 문화 도착지" 등 3개의 부문에서 처음으로 수상하였다. ㅇ "제4회 호치민시 관광주간" 행사는 "신나는 축제의 계절"이라는 주제로 12월 5~12일 걸쳐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는 연말의 관광 활성화는 물론 호치민시의 특색있는 문화가치를 소개하는 핵심행사 중 하나로 진행되었다. ㅇ 2024년 1월~11월 기준으로 베트남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1천580만 명으로 기록되었으며,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41%가 상승한 수치이다. 베트남은 2025년까지 관광 성장 잠재력이 높은 매력적인 목적지로 발전해 나가기 위한 목표로 다양한 활동을 진행 중이다. 베트남 관광산업은 2025년 외국인 관광객 2천200만~2천300만 명과 내국인 관광객 1억2천만~1억3천만 명을 목표로 할 예정이다. □ 체육(스포츠) 정책 ㅇ "2024 세계 태권도 품새 선수권대회"가 12월 4일 중국 홍콩에서 막을 내렸다. 베트남 대표팀은 대회의 마지막 날에 공인 품새 30세 이하 종목 남녀 복식 부문에서 은메달 1개와 자유 품새 17세 이하 단체전 종목에서 동메달 1개를 획득하였으며 총 3개의 금메달, 2개의 은메달, 5개의 동메달을 따내 최종 4위를 차지하였다. ㅇ "제4차 세계 테크볼 선수권대회"가 호치민시 문화체육청, 주호치민 헝가리총영사관의 주최 및 국제테크볼연맹의 전문·운영에 대한 후원 등을 바탕으로 호치민시에서 열렸다. 베트남 대표팀 선수 9명은 95개국에서 온 220명의 선수와 함께 남자·여자 단식, 남자·여자 복식, 남녀 복식 등 5개의 부문에서 경쟁하였다. ㅇ 꽝닌성 스포츠복합단지에서 개최된 "2024 베트남 아시안 오픈 경찰태권도선수권대회"는 4일간 경기를 마치고 12월 9일 막을 내렸다. 베트남 인민공안 스포츠협회 대표팀은 금메달 37개, 은메달 36개와 동메달 33개 등 성적으로 최종 1위를 차지하였다. 인도네시아 대표팀은 금메달 7개, 은메달 6개, 동메달 4개로 2위, 캄보디아 대표팀은 금메달 4개, 은메달 2개, 동메달 1개로 3위를 기록하였다. ㅇ 12월 16일 발표한 2024년 4분기 여자 축구 세계 랭킹에서 베트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랭킹 포인트 1천614.43점을 받아 세계 37위, 아시아 6위, 동남아시아 1위에 자리하였다. 베트남은 또한 국제축구연맹이 발표한 2024년 12월 남자 세계 랭킹에서 전달 대비 2계단이 상승한 세계 114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2024 호치민시 국제무예 페스티벌" 개막식이 12월 21일 호치민시 1군 레러이길에서 진행되었다. 보비남, 고전무예, 등 베트남의 전통무예와 씨름, 태권도, 가라테, 무에타이 등 국제무예를 비롯한 다양한 경기 종목이 펼쳐진 이번 대회는 세계 무예의 정수를 기리고 교류하는 뜻깊은 행사로 치러졌다. ㅇ 베트남 축구 대표팀은 "2024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대회" 결승전에서 태국 국가대표팀을 누르고 최종 우승을 차지하였다. □ 통계ㅇ 언론보도 동향 : 총 201건 보도(기간 : 2024.12.1 – 12.31, 지면보도 위주) 주베트남 한국문화원 | 2025.01.21
    상세보기
  • [오사카] 1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보고

    [오사카] 1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보고

    □ 문화예술 정책ㅇ 후쿠오카시 텐진에 지하 미술관 신설- 후쿠오카시는 차세대 마을 조성 시책의 핵심에 ‘문화·예술의 발신 강화'를 설치한다고 함. 신년도부터 시립 미술관과 박물관의 정비 사업을 본격화시키며 텐진(天神) 지구에 ‘지하 미술관'을 신설할 예정이라고 함. 국보의 ‘금인'을 소장하는 후쿠오카시 박물관의 대규모 개수에도 착수하는 것으로, 방일객의 증가도 노려보면서 도시의 매력 향상으로 연결시키려는 목적이 있음.지하 미술관은 2026년에 폐지될 예정인 경고 공원의 지하 주차장을 전용할 계획으로, 후쿠오카시 간부는 "10년 이내의 오픈을 목표로 하고 싶다"라고 말했음.* 자료출처 : 요미우리신문(24.1.1)https://www.yomiuri.co.jp/local/kyushu/news/20250101-OYTNT50027/ □ 문화콘텐츠(문화산업) 정책ㅇ 나라공원 K-POP 행사 ‘경비 절감'을 한국 측에 요청- 나라현이 우호 제휴를 맺는 한국·충청남도와 올해 10월에 기획하고 있는 문화 교류 이벤트와 관련하여 야마시타 마코토 지사는 7일, 충청남도의 김태흠 지사와 온라인으로 회담하여, 경비 절감 협력을 요청했다고 밝혔음.나라현이 나라 공원에서 K-POP 아티스트가 출연하는 9천 명 규모의 콘서트를 기획하고 있는 것에 대해, 나라현 의회에서 의견이 갈라져 있었음.“현의 어려운 입장을 전해, 경비 절감의 협력을 부탁”한 후, “신청서의 내용을 실현해 나가기 위해서, 쌍방 지혜를 내어 협력해 가는 것”으로 합의. 김 지사는 현의 의향에 이해를 표시해 “할 수 있는 협력은 해 나가고 싶다”라고 대답했다고 함.* 자료출처 : 아사히신문(25.1.8)https://www.asahi.com/articles/AST182PKJT18POMB009M.html?iref=pc_ss_date_article ㅇ 공정거래위원회, 영화·애니메이션 업계의 거래 실태 조사 진행- 공정거래위원회는 29일 영화·애니메이션 업계 크리에이터와 제작사의 거래 문제에 대한 실태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음. ‘다중 하청’이나 ‘저보수’ 등, 업계에 만연하고 있다고 여겨지는 문제점을 밝혀내는 것이 목적. 크리에이터에 초점을 맞춘 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함.후지모토 테츠야 공정위 사무총장은 기자회견에서 "(영화·애니메이션 분야는) 크리에이터가 자유롭게 창작 활동하고 높은 부가가치를 붙이면 일본의 대표적 산업이 될 수 있다. 수익을 환원하는 거래의 적정화를 추진하고 싶다”라고 말했음.* 자료출처 : 마이니치신문(25.1.29)https://mainichi.jp/articles/20250129/k00/00m/040/158000c ㅇ 국내 영화 흥행 수입 7% 감소- 국내 배급 대기업 4사 등으로 만드는 일본영화제작자연맹은 29일, 2024년의 국내 영화 흥행 수입이 전년 비 7% 감소한 2069억 엔이었다고 발표했음.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 이후 4년 만에 감소했음. 일본 영화가 23년 대비 5% 증가한 1558억 엔이었던 반면, 외화는 30% 감소한 511억 엔으로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부터 반감했음.* 자료출처 : 일본경제신문(25.1.29)https://www.nikkei.com/article/DGXZQOUC283JN0Y5A120C2000000/ □ 체육(스포츠) 정책ㅇ 올림픽·패럴림픽 선수를 AI로 강화- 스포츠청이 2032년의 브리즈번 하계 올림픽·패럴림픽까지 내다본 강화 전략을 3월에 개정하여, 선수의 트레이닝에 AI(인공 지능)를 활용하는 방침을 처음으로 명기할 것이 4일 밝혀졌음. 방대한 경기 데이터 처리에 AI를 사용하는 것으로 퍼포먼스를 향상시켜 메달 양산을 목표로 함.스포츠계에서 AI는 선수의 자세 개선이나 컨디션 관리, 전술 입안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체조 경기에서는, 기술을 학습한 AI가 영상을 분석해 채점, 심판원을 보조하는 시스템을 세계 선수권 대회에 도입하였음.관계자는 “세계와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서 AI 이용은 불가결. 다만, AI 이용은 작업 효율을 올리는 도구로, 최종 판단은 인간이다. 선수가 AI가 시키는 대로만 플레이하면 스포츠 자체가 매력을 잃는다”고 말했음.* 자료출처 : 요미우리신문(25.1.5)https://www.yomiuri.co.jp/sports/etc/20250104-OYT1T50129/ □ 관광 정책ㅇ 오사카 간사이 박람회를 맞이하여 공장 견학 포털 사이트 개설- 오사카·간사이 박람회를 앞두고, 공장 견학을 할 수 있는 중소기업의 정보를 집약한 포털 사이트 ‘오사카마치쥬모노즈쿠리 파빌리온'이 주목받고 있음. 오사카로 여행 온 김에 공장 견학을 할 수 있는 곳을 검색할 때도 포털 사이트를 이용하면 편리하게 찾을 수 있다고 함. 또한 외국인의 시찰도 상정해 ‘영어 자료 있음' ‘통역의 동행이 있는 경우 대응 가능'이라고 하는 정보도 게재하고 있다고 함.국내 공장 견학 행사는 소음 등에 대한 민원을 계기로 공장을 알리려고 시작되었음. 그 결과, 인근 주민의 이해가 깊어질 뿐만 아니라, 직원들의 의욕도 향상시킬 수 있었다고 함.* 자료출처 : 산케이신문(25.1.4)https://www.sankei.com/article/20250104-IQMPARZWDRLLVI4BFOVB7VV4YI/ □ 한류 동향ㅇ 요코하마서 한일국교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한 K-POP행사 개최- 2025년 1월 18일(토)·19일(일)의 2일간, 요코하마 K아레나에서, 한일국교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하는 ‘2025 UTO FEST in YOKOHAMA'가 개최됨. 올해로 4회째를 맞는 ‘UTO FEST'는 K-POP 아티스트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일본 최대 행사임.첫날은, 작년 말에 진행된 ‘2024 MAMA 어워드'에서 완전체로 등장하여, YouTube 공개 후 불과 하루 만에 1000만회 재생을 돌파한 빅뱅의 태양이 등장한다고 함.박세영 대표는 “본 행사를 통해 한일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많은 분들과 축하하고 싶다”고 말했음.* 자료출처:라이브도어뉴스(24.12.23) https://news.livedoor.com/pr_article/detail/27820321/ 주오사카 한국문화원 | 2025.01.20
    상세보기
  • [캐나다] 2025년 1월 주재국 문화예술 동향보고

    [캐나다] 2025년 1월 주재국 문화예술 동향보고

    □ 캐나다 예술가 재판매 권리(Artist’s Resale Right, ARR) 제도 도입 추진⚬ 배경- 캐나다에서 예술 작품이 재판매될 때, 작품의 원작자에게는 그 수익이 돌아가지 않는 현실에 대해 많은 예술가가 목소리를 내고 있음- 이를 개선하고자, Artist’s Resale Right (ARR) 제도를 도입하자는 캠페인 이루어짐- ARR 제도란 시각 예술가가 작품이 재판매될 때, 재판매 금액의 5%를 로열티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 이 제도는 이미 90개 이상의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캐나다에서도 이러한 법적 변화를 통해 예술가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경제적 상황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ARR 제도의 핵심 내용- 적용 대상: 1,000달러 이상의 가격으로 판매된 예술 작품- 로열티 지급 비율: 판매액의 5%- 적용 기간: 작가의 생애 동안 및 사후 저작권이 유지되는 기간 동안- 책임자: 판매자와 중개 에이전트가 로열티 지급의 공동 책임. 지급은 저작권 관리 기관인 CARCC (Copyright Visual Arts – Droits d’auteur Arts visuels)를 통해 이루어짐. ⚬ ARR 제도의 의의- 예술 작품의 가치가 종종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승하는 특성을 고려, 예술가가 작품의 가치 상승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함- 예시: 이누이트 예술가 Kenojuak Ashevak의 작품은 1960년에 24달러에 팔렸으나 이후 158,500달러에 재판매 됨. 하지만 당시 Ashevak는 해당 재판매로부터 아무런 수익을 얻지 못함. ARR 제도는 이러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 ⚬ ARR 제도의 기대효과- 원주민 예술가에게 큰 혜택을 줄 것. 원주민 작가에게 종종 일어나는 불공정한 상황을 개선하고, 원주민 예술가의 경제적 자립을 돕는 중요한 역할- 고령 예술가에게 혜택. 캐나다 예술가들의 평균 연간 소득은 20,100달러에 불과, 많은 예술가가 자영업자로 활동하고 있어 경제적으로 어려움. 은퇴 연령이 되어도 캐나다 연금 제도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ARR은 그들의 노후 생활에 큰 도움이 될 것.- 캐나다의 예술 시장과 국제 예술 시장의 연결을 강화하고 예술가들의 창작 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경제적 기회를 제공 ⚬ 국제적 동향과 영향- ARR 제도는 1920년 프랑스에서 처음 도입, 현재 영국, 호주, 프랑스 등 90개 이상의 국가에서 시행.- 최근 뉴질랜드는 영국과의 무역 협정을 통해 ARR 제도를 도입, 2022년에는 5천만 유로 이상의 로열티가 작가에게 지급됨.- 이런 국제적인 사례가 캐나다의 ARR 제도 도입에 큰 기폭제가 됨 ⚬ 캐나다 정부의 움직임- 정부는 2021년에 저작권법 개정안에 ARR 제도를 포함시킬 것을 약속. 이를 위해 관련 법안을 마련하는 중.- 2023년에는 캐나다 문화유산부에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예술 시장의 의견을 수렴하고 ARR 제도의 필요성과 효과를 검토 ⚬ 결론- ARR 제도의 도입은 캐나다 시각 예술가들에게 중요한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며, 그들의 창작 활동에 대한 보상을 공정하게 지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할 것- 특히 원주민 예술가와 고령 예술가들의 경제적 조건을 개선하고 국제적 공정성을 도모하는 중요한 시도- 예술가의 권리 보호와 경제적 자립을 이루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 (출처: The Globe and Mail https://www.theglobeandmail.com/politics/article-canadian-artists-set-to-receive-portion-of-sales-when-their-work-is/, 캐나다 예술가 권익회 CARFAC https://www.carfac.ca/campaigns/artists-resale-right/) 주캐나다 한국문화원 | 2025.01.16
    상세보기
  • [튀르키예공화국] 1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튀르키예공화국] 1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 문화예술, 문화콘텐츠(문화산업) 정책 및 동향ㅇ튀르키예 최대의 ‘손으로 쓴 역사적 서적’ 컬렉션, 2025년에 나온다(출처: 듄야, ’25.01.01)- 50년 동안 사업가 아타울라 아르바스(Ataullah Arvas)에 의해 수집된 ‘손으로 쓴 역사적 서적‘들이 새해에 새로운 주인을 기다리고 있다. 대부분이 유일무이한 특성을 가진 이 서적들은 문화유산 및 박물관 총국(Cultural Heritage and Museums General Directorate)에 의해 등록되어 있다. 이 서적 컬렉션에는 1,000여 권의 인쇄본과 400여 권의 손으로 쓴 원본이 포함되어 있다.https://www.dunya.com/kultur-sanat/turkiyenin-en-buyuk-el-yazmasi-tarihi-kitap-koleksiyonu-2025te-muzayedeye-cikacak-haberi-758979#google_vignette ㅇ에스키셰히르 시립극장, 10만 관객 달성(출처: IHA, ’25.01.09.)-에스키셰히르 시립극장은 지난 10년 동안 이어온 전통을 그대로 이어가며 2024년 동안 상연한 모든 공연을 만석 관객과 함께 마쳤다.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15개의 성인 및 아동 연극을 상연한 이 기관은 약 300회의 공연을 진행했으며, 연말에는 100,000명의 관객을 돌파했다.- 아이셰 윈뉘체(Ayşe Ünlüce) 에스키셰히르 대도시 시장의 예술적 목표와 전폭적인 지원을 받으며, 에스키셰히르에서의 공연 외에도 안탈리아, 앙카라, 이스탄불 등지에서 수차례 투어를 진행하며 예술 애호가들과 만났다. 이 과정에서 큰 관심과 호평을 얻었고, 모든 공연을 만석으로 채우며 관객 기록을 경신했다.https://www.iha.com.tr/eskisehir-haberleri/eskisehir-sehir-tiyatrolari-100-bin-seyirci-sayisina-ulasmayi-basardi-173045594 □ 체육(스포츠) 정책ㅇ 국가대표 스키 선수 세렌 레이한 일디림, 동메달 획득!(출처: Fanatik, ‘2025.01.09)-청년 및 스포츠 지방청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튀르키예를 대표하여 에르주룸 TOHM 소속 선수인 세렌 레이한 일디림이 대회에서 동메달을 차지했다. 청년 및 스포츠 지방청의 레벤트 차크무르 국장은 국가대표 선수 일디림의 성공을 축하하며, “이 길의 끝이 올림픽이 될 것이라 믿습니다.”라고 말했다.https://www.fanatik.com.tr/kayak/milli-kayakci-ceren-reyhan-yildirimdan-bronz-madalya-2569216 □ 경제ㅇ 터키항공, 승객들에게 유네스코 튀르키예 여행 키트 제공(출처: 듄야, ‘2024.12.20)- 터키항공(THY)은 기내에서 승객들에게 배포될 '유네스코 튀르키예 시리즈'라는 여행 세트 컬렉션을 공개했다. 이 여행 키트는 튀르키예의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목록에 있는 네므루트, 괴베클리테페, 카파도키아, 에페스, 아니, 트로이 지역을 기반으로 하며, 네 가지 다른 에브루 디자인과 세 가지 전통적인 카펫 모티프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다.https://www.yenisafak.com/foto-galeri/ekonomi/thyden-yolcularina-unesco-turkiye-serisi-seyahat-kiti-4667134 ㅇ THY의 승객 수, 지난해 8500만 명을 초과(출처: 하베르 튀르크, ‘25.01.08)- 터키항공은 2024년 12월 승객 수 결과를 공시 플랫폼(KAP)에 발표했다. 2023년 12개월 동안 8340만 명이었던 THY의 총 승객 수가 2024년 같은 기간 동안 2.1% 증가하여 8520만 명으로 기록되었다고 보고되었다.https://www.haberturk.com/thy-nin-yolcu-sayisi-gecen-yil-85-milyonu-asti-3754343-ekonomi ㅇ 지난해 80개국에 1억4100만 달러 규모의 꽃 수출 (출처: 아나돌루 통신, ‘25.01.13)- 관상용 식물 및 제품 수출업체 협회 회장인 İsmail Yılmaz은 AA 특파원에게 관상용 식물이 튀르키예의 거의 6만 데카르에 달하는 지역에서 생산된다고 말했다. 따라서, 전년도에 비해 해외 매출이 2% 증가했다고 밝혔다.https://www.aa.com.tr/tr/ekonomi/turkiye-gecen-yil-80-ulkeye-141-milyon-dolarlik-cicek-ihracat-etti/3448597 ㅇ 2024년 11월, 상업 및 소매 판매액이 전년 대비 증가 (출처: 하베르 튀르크, ‘25.01.13)- 튀르키예 통계청(TÜİK), 2024년 11월에 대한 상업 판매 규모 지수를 공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11월의 상업 판매 규모는 전월 대비 0.9% 증가했다. 이 기간 동안, 자동차 및 오토바이의 도매 및 소매 거래와 수리 관련 판매 규모는 0.2% 증가했으며, 소매 거래 판매 규모는 1.9%, 도매 거래 판매 규모는 0.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https://www.haberturk.com/ticaret-ve-perakende-satis-hacmi-kasim-2024-te-yillik-bazda-artti-3755570-ekonomi 주튀르키예공화국 한국문화원 | 2025.01.16
    상세보기
  • [튀르키예공화국] 12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튀르키예공화국] 12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 문화예술, 문화콘텐츠(문화산업) 정책 및 동향ㅇ국립도서관에 66개 도시에서 접근 가능(출처: 엔티비, ’24.12.26) - 메흐메트 누리 에르소이(Mehmet Nuri Ersoy) 문화관광부 장관은 "국립도서관이 2,500만 건의 자료를 디지털화했다"고 밝히며, "국립도서관이나 전자정부를 통해 여러 도시의 공공도서관에 회원 가입하고, 국립도서관의 디지털 아카이브에 접근할 수 있다"고 했다.- 약 2,500만 장의 사진 촬영 작업이 완료되어 시각 및 청각 자료의 디지털화 과정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프로젝트 일환으로 설립된 국립디지털도서관 접근 스테이션은 각 지역 및 시립 도서관에서 서비스 제공하고 있다.https://www.ntv.com.tr/n-life/kultur-ve-sanat/milli-kutuphaneye-66-ilden-erisim-saglanabilecek,f7jWGRP6ok-wt0kivW0uoA ㅇ 순교자 및 참전용사 자녀를 위한 무료 연극 교육(출처: 예니 샤파크, ’24.12.26.)-엘라지에 위치한 알라 예술학원은 순국선열과 참전용사 자녀들에게 무료로 연극 교육을 제공할 예정이다. 교육 후 연극 공연도 계획하고 있는 에르한 카라타쉬(Erhan Karataş) 학원장은 교육을 마친 후 계속 참여하고자 하는 아이들을 학원에 소속시킬 것이라고 전했다.https://www.yenisafak.com/hayat/sehit-ve-gazi-cocuklarina-ucretsiz-tiyatro-egitimi-4665552 □ 체육(스포츠) 정책ㅇ 국가대표 수영선수, 튀르키예 및 세계 주니어 기록(출처: Sputnik, ‘24.12.10)-국가대표 수영선수 쿠제이 툰첼리가 세계쇼트코스선수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17세의 툰첼리는 튀르키예 및 세계 주니어 기록을 경신했다. 튀르키예 수영 연맹에서 발표한 성명에 따르면, 국가대표 수영선수 쿠제이 툰첼리가 헝가리 수도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세계쇼트코스선수권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https://anlatilaninotesi.com.tr/20241210/milli-yuzucu-kuzey-tuncelliden-turkiye-ve-dunya-gencler-rekoru—1091380766.html ㅇ Yusuf Dikeç가 상위 10위 안에 들어가(출처: 예니샤팍, ‘24.12.27)- 유수프 디케치(Yusuf Dikeç) 국민 사격 선수는 불가리아 통신사가 51번째로 주최한 ‘발칸 반도의 선수‘상 최종 후보 10명 중 하나였다.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 흔적을 남긴 국가대표 사수 유수프 디케치도 발칸 반도 통신사 협회 - 남동부 유럽(ABNA-SE) 회원들의 투표로 결정된 ’발칸 반도 선수‘ 상에 후보로 올랐다.https://www.yenisafak.com/spor/yusuf-dikec-ilk-10da-4665905 □ 경제ㅇ 소비자 신뢰지수 1년 반 만에 최고치로 상승(출처: 듄야, ‘24.12.20)- 튀르키예 통계청(TUIK)은 12월 소비자 신뢰 지수 데이터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TURKSTAT와 튀르키예중앙은행이 공동으로 실시한 소비자성향조사 결과로 나온 소비자신뢰지수는 12월 81.3으로 1.9% 증가한 81.3을 기록했고, 11월에는 79.8을 기록했다.https://www.dunya.com/ekonomik-veriler/tuketici-guven-endeksi-15-yilin-en-yuksek-seviyesine-cikti-haberi-757517 ㅇ 이스탄불 공항, 유럽 1위에 올라서다(출처: 테레테 하베르, ‘24.12.15)- 압둘카디르 우랄로을루 교통 및 인프라부 장관은 발표에서 EUROCONTROL의 12월 2일부터 8일 사이로 개요 보고서를 평가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이스탄불 공항은 하루 평균 1,352편의 항공편으로 유럽에서 가장 분주한 공항이라고 언급하며, "이스탄불 공항은 런던, 암스테르담, 파리 등 유럽 주요 도시의 공항들을 제치고 정상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사비하 괵첸 공항은 하루 평균 662편의 항공편으로 같은 목록에서 10위에 올랐다."라고 나왔다.https://www.trthaber.com/haber/ekonomi/istanbul-havalimani-avrupanin-zirvesinde-891611.html ㅇ 4,360개 풍력 터빈으로 에너지 생산 (출처: 밀리옛, ‘24.12.28)- 튀르키예는 278개의 풍력 발전소와 총 4,360개의 풍력 터빈으로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으며, 연말까지 총 설치 용량이 13,000메가와트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튀르키예 풍력 산업 시설에는 7개의 타워, 4개의 블레이드, 4개의 발전기 및 기어박스 시설이 있으며, 수백 개의 다양한 풍력 산업 관련 기업들이 활동하고 있다.https://www.trthaber.com/haber/ekonomi/turkiyede-4-bin-360-turbinle-ruzgardan-enerji-uretiliyor-891817.html 주튀르키예공화국 한국문화원 | 2025.01.16
    상세보기
  • [멕시코] 12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보고

    [멕시코] 12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보고

    □ 문화예술 ○ 멕시코 정부, 예술·문화 교육기관 개혁 통합 프로젝트 발표▶ 출처: 문화부, 2024/12/13 -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은 2025년 예산에서 문화부에 30억 페소(약 3천억 원)를 추가로 배정. 이 예산은 국립인류학역사연구소(INAH), 국립예술문학원(INBAL), 그리고 예술·문화 교육기관의 개혁과 개선에 사용될 예정임*개혁 내용- 인프라와 설비 개선: 예술·문화 교육기관의 인프라와 장비를 현대화- 커리큘럼 업데이트: 학업 계획과 프로그램을 개편하여 교육 품질 강화지역사회 연결 강화: 지역 사회와 연계된 예술 교육 체계 구축무상 교육 보장: 등록금 및 재등록금을 전면 폐지하여 교육비 무료화 ○ 멕시코 정부, 14,000여 점의 문화재를 성공적으로 본국으로 반환▶ 출처: 문화부, 2024/12/20 - 최근 10년간 북미, 남미, 유럽, 오세아니아 국가들로부터 멕시코의 국가 소유 문화재 14,000여 점이 반환됨. 이는 불법 문화재 거래와의 단호한 대처 및 대중 인식 제고 덕분에 이루어진 성과임- 멕시코 문화부, 외교부, 국가검찰청(FGR), INAH(국립인류학역사연구소) 등이 반환 작업에 협력. INAH는 특히 이탈리아 카라비니에리와의 협력을 통해 반환 절차를 강화- 이 캠페인은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전 대통령 시절 시작되었으며,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이 이를 계승함- 현재 600점 이상의 문화재가 반환을 위한 준비 단계(평가, 포장, 반환 절차 진행 중)에 있음. 반환된 유물은 INAH 소속의 국가, 지역, 도시 박물관에 보관 □ 관광 ○ 협력과 소통, 성공적인 관광정책의 핵심▶ 출처: 관광부, 2024/12/03 - 멕시코 관광부 장관 호세피나 로드리게스 사모라가 멕시코에서 가장 중요한 1000대 기업 서밋 폐막식 주재함. 이번 행사는 Grupo Mundo Ejecutivo 주최로 진행되었으며, 공공 및 민간 부문 대표들이 참여함- 경쟁이 치열한 관광 환경에서 소통은 전략적 축으로, 광고 캠페인과 디지털 홍보가 멕시코를 매력적인 관광지로 자리매김하게 하는 도구로 강조푸에블로스 마히코스(Pueblos Mágicos) 디지털화 프로젝트를 통해 200개 이상의 지역을 국내외 시장과 연결함. 지역 가치 사슬을 강화하고, 지역 개발과 번영 촉진함기업, 지역사회, 정부 간 협력을 통해 멕시코를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이며, 창의적이고 경쟁력 있는 글로벌 관광 리더로 자리매김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음. 관광 산업이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자 국민의 복지 증진 수단으로 역할하도록 강조 ○ 멕시코, 국제 관광객 증가: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정부의 첫 달 성과▶ 출처: 관광부, 2024/12/17 - 2024년 10월,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 임기 첫 달 동안 멕시코는 370만 명의 국제 관광객을 유치함. 이는 2023년 같은 기간에 비해 15.9% 증가(320만 명에서 증가)한 수치임- 10월 국제 관광에서 발생한 외화 수익은 19억 8천만 달러를 초과함. 이는 전년 동월 대비 6.8% 증가한 수치임- 관광 산업을 일자리 창출과 국민 복지 증진의 주요 동력으로 확립.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의 비전에 따라 지역사회 관광과 번영의 공유를 촉진하는 데 주력함 □ 체육(스포츠)○ 멕시코, 2026~2028년 "양궁 월드컵 결승" 개최지로 선정▶ 출처: 국가체육위원회, 2024/12/16 - 멕시코는 2026년부터 2028년까지 3회의 양궁 월드컵 결승을 개최하게 됨. 이번 결정은 CONADE(국가체육위원회)와 멕시코 양궁협회(WAMEX)의 노력과 협력으로 이루어진 성과로 볼 수 있음- CONADE와 WAMEX는 2028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더 많은 멕시코 선수가 출전하도록 지원. 국제 대회를 자국에서 개최함으로써 멕시코 선수들에게 국제 경험과 올림픽 출전권 확보를 위한 랭킹 포인트 획득 기회 제공- 대회 개최를 통해 스포츠 관광을 활성화하고, 호텔, 레스토랑, 서비스업 등 다양한 부문에서 경제적 효과 창출- 멕시코는 2022년(틀락스칼라), 2023년(소노라), 2024년(틀락스칼라) 양궁 월드컵 결승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경험이 있음 주멕시코 한국문화원 | 2025.01.15
    상세보기
  • [인도네시아] 12월 주재국 문화예술동향

    [인도네시아] 12월 주재국 문화예술동향

    □ 문화예술 정책ㅇ 인도네시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3개 등재(CNN Indonesia, 12.4.)- 12.3. 파라과이에서 개최된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제19차 정부간위원회 회의에서 인도네시아의 전통 공연예술인 레오그 포노로고(Reog Ponorogo)가 인도네시아의 14번째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됨.- 파들리 존 문화부 장관은 정부와 지역 사회의 문화유산 보존 노력의 결실이라고 말했으며, 유네스코 주재 모하마드 우마르 인도네시아 대사는 동 문화유산은 문화적 정체성을 미래 세대에게 계승하는 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강조함.ㅇ 문화부 장관, 역사기록 수정 예정(공영통신사 Antaranews, 12.14.)- 파들리 존 문화부 장관은 12.14. 반둥에서 열린 인도네시아 역사학회 학술회의에 참석해 독립 80주년을 맞이하여 역사기록을 수정할 계획이라고 밝히면서, 최신 연구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지역의 문명 역사가 알려진 바보다 더 길다고 발언함.- 아구스 물야나 역사학회장은 최신 역사학 및 고고학 연구에서 발견된 데이터를 반영해 역사기록의 수정이 이루어질 것이라며, 이를 통해 국가와 국민이 자신감을 고취하는 긍정적 에너지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함.□ 관광 정책 ㅇ 관광부, 2025년 외국인 관광객 1,800만 명 유치 목표(Kompas.com, 12.6.) - 니 루 푸스파 관광부 차관은 자카르타에서 열린 관광부 회의에서 2025년 외국인 관광객 1,800만 명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이를 위해 관광 홍보, 인프라 개선, 비수기 관광객 유치, 지역 간 연결성 강화 사업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라고 언급함.- 또한, 동인은 디지털을 통한 인도네시아 관광 정보의 홍보 전략을 제시하며, 최신 정보 업데이트가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관광업 발전을 통해 외화 수입을 이끌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함.□ 한류 동향ㅇ 노벨 문학상과 우리의 독자 이야기(Kompas, 12.29. 텡수 차요노 브라위자야대학교 교수 칼럼)- 고영훈 한국외국어대 교수는 한강 작가의 2024 노벨문학상 수상에 대해 그 작품이 한국 시민들에게 사랑받고 국가로부터 큰 지원을 받은 덕분에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고 설명함.- 인도네시아의 경우, 노벨문학상 유력 후보자로 수차례 올랐던 프라무디아 아난타 토르 작가는 ‘인간의 대지(Bumi Manusia)’ 4부작을 통해 식민시대에 뿌리 뽑힌 인도네시아의 민족 정체성을 회복하고자 하였으나 그의 작품은 정치적 이유로 금서로 지정되는 등 국가로부터 외면당해왔음.- 오늘날에도 동 작품은 학교 필독서가 되지 못하고, 국가 정체성에 있어서 중요한 작품으로 받아들여지지 못하고 있음.- 필자는 훌륭한 문학이 세계 시장에서 인정받기 위해선 국내 독자들의 관심과 지지가 필요하고 국가가 문학을 존중해야 한다며, 한강과 프라무디아의 사례 비교를 통해 문학의 주요 기능은 단순 오락이 아닌 인간의 깊은 내면과 사회적 문제를 탐구하는 것이라며, 국내 독서문화가 더욱 발전되어야 함을 강조함. □ 통계ㅇ 인도네시아 외국인 관광객 입국 통계(2024.10. 기준, 관광창의경제부, 12.2.)- 2024년 10월 외국인 관광객 입국자는 총 1,193,867명으로 전년도 동기 대비 22.01% 증가했으며, 국적별 입국자는 말레이시아 194,099명, 호주 150,512명, 싱가포르 106,307명, 중국 95,299명, 동티모르 76,566명 순임.- 주요 공항별 입국자는 응우라라이(발리) 공항 554,892명, 수카르노 하타(자카르타) 공항 218,170명, 바탐 공항 109,864명 순임. 주인도네시아 한국문화원 | 2025.01.15
    상세보기
  • [남아프리카공화국] 12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남아프리카공화국] 12월 주재국 문화예술 등 동향 보고

    □ 주재국 문화 일반 ㅇ 2025년 G20 의장국 남아공, 공식 유튜브 채널 개설 및 홍보 영상 공개 - 2025년 11월로 예정된 G20 회의의 의장국인 남아공은 지난 12.4 공식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고 홍보 영상을 공개 - 해당 홍보 영상은 남아공이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폐지 이후 30년을 맞은 ‘신생’ 국가임과 평화와 정의를 수호하고 다양한 문화가 조화롭게 번성하는 민주주의 국가임을 강조 - 2025년도 회의 주제로 아프리카 대륙의 ‘우분투’ 정신에 기반을 둔 ‘연대, 평등, 지속가능성’ 내걸어 * 출처: G20 남아공 공식 유튜브 (https://youtu.be/hO2Ik53H8u4?si=TJjneofXNQ47WMm7) ㅇ 남아공 대표 신문 Mail & Guardian, 2024년 내각 ‘성적표’ 공개…문화부 C+, 관광부 A - 남아공의 대표 신문으로 불리는 Mail & Guardian지가 지난 12.20일 2024년도 내각의 이른바 ‘성적표’를 공개. 해당지는 만델라 당선 이후 매년 이 같은 ‘성적표’를 공개해왔으며 이는 각 내각의 당해 실적 및 성과를 평가하는 척도로 인용 되어온 바 있음. - 무장 강도 범죄로 8년을 복역한 범죄자에서 성공한 사업가로 공개 강연을 통해 유명세를 얻은 후 정치에 입문한 체육예술문화부 장관은 불필요한 예술인 지원 예산 삭감 등으로 대중의 이목을 끌었으나 정작 본인의 파리 올림픽 관람에 6천만원 이상의 예산을 사용하는 등 논란이 있었으며, 2024년 최대 국민적 관심사로 오른 ‘미스 남아공’ 출전자의 국적 논란을 두고 배타적이고 차별적인 발언을 해 구설수에 오른 바 있음. 해당지는 C+ 성적 부여. - 관광부 장관은 겸손한 자세와 안정적인 대처 능력으로 A 등급을 받음. 해외 관광객 유입 확대를 위한 비자 체계 개선에 성과가 있었던 것으로 평가되며 2025년도 해당 비자 체계 개편의 성공적 마무리가 큰 과제로 남음. * 출처: 남아공 Mail & Guardian (https://mg.co.za/cabinet-report-cards-2024/) ㅇ 남아공 지리명위원회 회의 개최 - 남아공 지명위원회(South African Geographical Names Council)는 지난 12.9일 체육예술문화부 장관 주재로 국가 지명을 논의하기 위한 회의를 개최. - 한편 남아공은 식민 지배의 잔재를 제거하기 위해 기존 지명을 토속 언어로 변경하는 국가 사업을 이어오고 있음. * 출처: 남아공 체육예술문화부 공식 X (https://x.com/SportArtsCultur/status/1866089773594501585) ㅇ 남아공 체육예술문화부, 젠더기반폭력 근절 위한 청소년 캠프 개최 - 남아공 체육예술문화부는 지난 12.5~8일 총 4일간 최근 남아공에 가장 큰 사회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젠더기반폭력(Gender-Based Violence and Femicide, GBVF)’ 근절을 위해 청소년 캠프를 개최. - 본 행사에는 200여 명의 청소년 남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해당 의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한편 참가자들이 사회의 책임 있는 성인으로 성장하기 위한 다양한 멘토링 프로그램 등이 제공됨. - 한편 남아공은 사회에 만연한 젠더기반폭력을 근절하기 위한 정부 및 민간 차원 다양한 캠페인을 벌이고 있으며, 특히 이번 행사에는 체육예술문화부 장관이 직접 참석해 연설 및 멘토링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등 해당 의제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해결 의지를 강조함. * 출처: 남아공 체육예술문화부 공식 누리집 (https://www.dsac.gov.za/%20Golekane%20Mentorship%20Camp%20%202024) □ 체육(스포츠) 분야 ㅇ 남아공, F1 유치 준비위원회 출범 - 남아공 체육예술문화부 장관은 지난 12.18일 공식 브리핑을 통해 F1 유치추진위원회 출범을 발표하고 남아공이 본격적인 준비 절차에 들어갈 계획을 전함. - 남아공은 지난 1993년 F1 대회를 개최한 바 있음. * 출처: 남아공 체육예술문화부 공식 누리집 (https://www.dsac.gov.za/Minister%20McKenzie%20Announces%20Formula%20One%20Bid%20Steering%20Committee) □ 관광 분야 ㅇ 2024년 관광 숙박업 수입 지난해 대비 7.5% 증가 - 남아공 관광부는 지난 12.18일 통계 발표를 통해 2024년 10월 기준 관광 숙박업 분야에서 발생한 수입이 지난해 대비 7.5% 증가했다고 밝혀 - 한편 숙박업 전체에서 발생한 수입은 지난해 대비 10.5% 증가 * 출처: 남아공 관광부 공식 X (https://x.com/Tourism_gov_za/status/1869345433467896312) □ 한류 동향 ㅇ ‘오징어 게임’ 시즌 2 공개에 남아공 언론, 한국 정치 혼란 가운데 “픽션이 현실과 만나” - 전 세계적인 화제를 모은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시즌 2 공개를 앞두고 남아공 언론은 최근 불거진 한국의 정치 상황을 지칭하며 픽션 현실과 만난 격이라며 비교 분석 - 한편 해당 언론은 ‘오징어 게임’이 한국 사회의 분열과 불평등 문제를 주요 주제로 다뤄 전 세계인으로부터 큰 관심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고 덧붙임 * 출처: 남아공 News24 (https://www.news24.com/life/arts-and-entertainment/tv/fiction-meets-reality-squid-game-s2-premieres-amid-south-korean-political-turmoil-20241210) 주남아프리카공화국 한국문화원 | 2025.01.13
    상세보기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